표제지
목차
국문 요약 27
I. 서론 30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0
2. 연구사 33
2.1. 한국어 한·중 모음의 음운론적 대조분석에 관한 연구들 33
2.2. 한·중 모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대조분석 연구들 34
2.3. 한국어 모음에 대한 청취와 발음 실험에 관한 연구들 36
2.4. 한국어 모음에 Prator의 난이도 위계를 적용한 연구들 37
3. 연구내용 및 방법 39
II. 한국어 모음 발음 교육을 위한 이론적 배경 46
1. 대조분석 가설(CAH: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46
1.1. 대조분석 가설의 생성과 토대 46
1.2. 강설과 약설 47
1.3. 전이(transfer)와 간섭(interference) 49
2. 청취와 발음 실험의 이론적 근거 간섭(interference) 49
3. 음향음성(Acoustic phonetic) 대조분석 51
3.1. 음향음성학적 대조실험의 필요성 51
3.2. 음향음성학적 실험의 원리 51
3.3. 모음의 포먼트 값 53
4. 난이도 위계(Model of Hierarchy of Difficulty: MHD) 54
III.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론적 대조분석 57
1. 한국어의 모음 체계 57
1.1. 한국어의 모음 57
1.2. 한국어의 단순모음 체계 58
1.3. 한국어의 이중모음 체계 60
2. 중국어의 모음 체계 63
2.1. 중국어의 모음 63
2.2. 중국어의 단순모음 체계 65
2.3. 중국어의 이중모음 체계 67
3. 한국어와 중국어의 모음 체계 대조 69
3.1. 한국어와 중국어의 단순모음 체계 대조 69
3.2. 한국어와 중국어의 이중모음 체계 대조 72
IV. 한국어와 중국어 모음의 음향음성학적 대조분석 및 오류 예측 75
1. 음향음성실험에 근거한 한국어 단순모음 오류 예측 75
1.1. 단순모음의 판정 기준 75
1.2. 한국어와 중국어 단순모음 음향음성실험 76
1.3. 한국어 단순모음 포먼트(Formant) 분석 81
1.4. 중국어 단순모음 포먼트(Formant) 분석 84
1.5. 한국어와 중국어의 단순모음 포먼트(Formant) 대조분석 87
1.6. 난이도 위계 예측 116
1.7.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단순모음에 대한 인식 범주화 양상 118
1.8. 소결 119
2. 음향음성실험에 근거한 한국어 이중모음 오류 예측 121
2.1. 이중모음의 판정 기준 121
2.2. 한국어와 중국어 이중모음 음향음성실험 123
2.3. 한국어 이중모음 포먼트(Formant) 분석 124
2.4. 중국어 이중모음 포먼트(Formant) 분석 127
2.5. 한국어와 중국어의 이중모음 포먼트(Formant) 대조분석 128
2.6. 난이도 위계 예측 147
2.7.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이중모음에 대한 인식 범주화 양상 148
2.8. 소결 149
V.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단순모음의 청취와 발음 오류 확인 151
1. 단순모음의 청취와 발음 실험방법 151
1.1. 한국어 단순모음의 청취 실험 151
1.2. 한국어 단순모음의 발음 실험 152
2. 한국어 단순모음의 청취 실험결과 153
2.1. 성별 청취 오류분석 결과 154
2.2. 한국어 등급별 오류분석 결과 158
2.3. 어두 자음별 오류분석 결과 161
2.4. 오류빈도가 높은 모음별 분석 결과 167
3. 한국어 단순모음의 발음 실험결과 168
3.1. 성별 발음 오류분석 결과 169
3.2. 한국어 등급별 오류분석 결과 173
3.3. 어두 자음별 오류분석 결과 177
3.4. 오류빈도가 높은 모음별 분석 결과 183
4. 남녀 간 단순모음 청취와 발음습득의 일반화 검정 184
5. 소결 187
VI.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이중모음의 청취와 발음 오류 확인 191
1. 이중모음의 청취와 발음 실험방법 191
1.1. 한국어 이중모음의 청취 실험 191
1.2. 한국어 이중모음의 발음 실험 192
2. 한국어 이중모음의 청취 실험결과 193
2.1. 성별 청취 오류분석 결과 194
2.2. 한국어 등급별 오류분석 결과 198
2.3. 어두 자음별 오류분석 결과 202
2.4. 오류빈도가 높은 모음별 분석 결과 207
3. 한국어 이중모음 발음 실험결과 209
3.1. 성별 발음 오류분석 결과 209
3.2. 한국어 등급별 오류분석 결과 213
3.3. 어두 자음별 오류분석 결과 217
3.4. 오류빈도가 높은 모음별 분석 결과 223
4. 남녀 간 이중모음 청취와 발음습득의 일반화 검정 224
5. 소결 226
VII. 한국어 단순모음과 이중모음의 발음 교육 방안 231
1. 발음 교육 대상 모음의 선정 231
1.1. 단순모음 231
1.2. 이중모음 234
2. 발음 교육의 설계 236
2.1. 단순모음 236
2.2. 이중모음 239
3. 발음 교육내용 242
3.1. 단순모음 242
3.2. 이중모음 270
VII. 결론 306
참고문헌 311
ABSTRACT 319
〈표 1-1〉 2020년 1월-11월 말까지 누적 외국인 유학생 수(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통계연보자료) 31
〈표 1-2〉 한국인과 중국인의 단순모음과 이중모음 음향음성실험 구성 42
〈표 1-3〉 한국어능력시험(TOPIK)과 표준 교육과정의 등급 비교 44
〈표 1-4〉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청취와 발음 실험 45
〈표 1-5〉 III- VI장의 실험 연구 모형 45
〈표 2-1〉 대조분석의 기본 가정 47
〈표 2-2〉 Prator의 난이도 위계(Model of Hierarchy of difficulty) 55
〈표 3-1〉 표준 발음법 제2장에 제시된 한국어 모음 규정 57
〈표 3-2〉 한국어 단순모음 체계에 대한 선행연구 비교 58
〈표 3-3〉 학교문법의 모음 체계 59
〈표 3-4〉 7개의 한국어 단순모음 체계 59
〈표 3-5〉 반모음과의 결합으로 분류한 10개의 한국어 이중모음 체계 61
〈표 3-6〉 운두에 따른 운모의 분류 64
〈표 3-7〉 운미에 따른 운모의 분류 65
〈표 3-8〉 중국어 단순모음 체계에 대한 비교 66
〈표 3-9〉 6개의 중국어 단순모음 체계 67
〈표 3-10〉 표준 중국어에서의 이중모음 분류 69
〈표 3-11〉 한국과 중국의 단순모음 대조표 71
〈표 3-12〉 IPA를 기반으로 한 한·중 단순모음 예상 대응 목록 71
〈표 3-13〉 한국과 중국의 이중모음 체계 대조표 73
〈표 3-14〉 IPA를 기반으로 한 한·중 이중모음 예상 대응 목록 74
〈표 4-1〉 선행연구들의 단순모음 판정 기준 75
〈표 4-2〉 한국어 단순모음 남성 피험자들 세부 정보 77
〈표 4-3〉 한국어 단순모음 여성 피험자들 세부 정보 77
〈표 4-4〉 중국어 단순모음 남성 피험자들 세부 정보 79
〈표 4-5〉 중국어 단순모음 여성 피험자들 세부 정보 79
〈표 4-6〉 중국어 6개 단순모음 산출 실험 자료 80
〈표 4-7〉 한국인 화자 30명의 한국어 단순모음 F1, F2 평균과 표준편차 82
〈표 4-8〉 한국인 남녀 화자 각 15명씩의 한국어 단순모음 F1, F2 평균과 표준편차 82
〈표 4-9〉 포먼트 값을 반영한 한국어 단순모음 체계 84
〈표 4-10〉 중국인 화자 30명의 중국어 단순모음 F1, F2 평균과 표준편차 85
〈표 4-11〉 중국인 남녀 화자 각 15명의 중국어 단순모음 F1, F2 평균과 표준편차 85
〈표 4-12〉 포먼트 값을 기반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단순모음 체계 87
〈표 4-13〉 한국인과 중국인 전체 화자 단순모음 F1, F2 평균과 표준편차 88
〈표 4-14〉 한국인과 중국인 남성 화자 단순모음 F1, F2 평균과 표준편차 88
〈표 4-15〉 한국인과 중국인 여성 화자 단순모음 F1, F2 평균과 표준편차 89
〈표 4-16〉 포먼트 값을 반영한 한국과 중국의 단순모음 배치도 91
〈표 4-17〉 포먼트 값에 기반으로 한 한국과 중국의 단순모음 대응 목록 91
〈표 4-18〉 한국어 /ㅏ/와 중국어 /a/의 남녀 화자별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92
〈표 4-19〉 한국어 /ㅏ/와 중국어 /a/의 전체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93
〈표 4-20〉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초·중·고급별 /a/의 ANOVA 검정 결과 93
〈표 4-21〉 한국어 /ㅏ/와 중국어 /a/의 대조 모음 판정 결과 95
〈표 4-22〉 한국어 /ㅣ/와 중국어 /i/의 남녀화자별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95
〈표 4-23〉 한국어 /ㅣ/와 중국어 /i/의 전체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96
〈표 4-24〉 중국어 /i/의 한국어 초·중·고급별 ANOVA 검정 결과 96
〈표 4-25〉 한국어 /ㅣ/와 중국어 /i/의 F1과 F2 모음 판정 결과 98
〈표 4-26〉 한국어 /ㅗ/와 중국어 /o/의 남녀 화자별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98
〈표 4-27〉 한국어 /ㅗ/와 중국어 /o/의 전체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99
〈표 4-28〉 중국어 /o/의 한국어 초·중·고급별 ANOVA 검정 결과 99
〈표 4-29〉 한국어 /ㅗ/와 중국어 /o/의 F1과 F2 모음 판정 결과 101
〈표 4-30〉 한국어 /ㅓ/와 중국어 /o/의 남녀 화자별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01
〈표 4-31〉 한국어 /ㅓ/와 중국어 /o/의 F1과 F2 모음 판정 결과 103
〈표 4-32〉 한국어 /ㅗ/와 중국어 /u/의 남녀 화자별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04
〈표 4-33〉 한국어 /ㅗ/와 중국어 /u/의 전체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05
〈표 4-34〉 중국어 /u/의 한국어 초·중·고급별 ANOVA 검정 결과 105
〈표 4-35〉 한국어 /ㅗ/와 중국어 /u/의 F1과 F2 모음 판정 결과 107
〈표 4-36〉 한국어 /ㅜ/와 중국어 /u/의 남녀 화자별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07
〈표 4-37〉 한국어 /ㅜ/와 중국어 /u/의 전체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08
〈표 4-38〉 한국어 /ㅜ/와 중국어 /u/의 F1과 F2 모음 판정 결과 109
〈표 4-39〉 한국어 /ㅡ/와 중국어 /e/의 남녀 화자별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10
〈표 4-40〉 한국어 /ㅡ/와 중국어 /e/의 전체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11
〈표 4-41〉 중국어 /e/의 한국어 초·중·고급별 ANOVA 검정 결과 111
〈표 4-42〉 한국어 /ㅡ/와 중국어 /e/의 F1과 F2 모음 판정 결과 113
〈표 4-43〉 한국어 /ㅓ/와 중국어 /e/의 남녀 화자별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13
〈표 4-44〉 한국어 /ㅓ/와 중국어 /e/의 전체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14
〈표 4-45〉 한국어 /ㅓ/와 중국어 /e/의 F1과 F2 모음 판정 결과 115
〈표 4-46〉 한국어와 중국어 단순모음 전체 대조분석 판정 결과 117
〈표 4-47〉 Prator의 이론을 근거로 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단순모음 난이도 위계 예측 117
〈표 4-48〉 중국인 학습자들이 중국어 단순모음과 범주화시키는 한국어 단순모음들 118
〈표 4-49〉 선행연구들의 이중모음 판정 기준 121
〈표 4-50〉 중국어 5개 상향이중모음 산출 실험 자료 123
〈표 4-51〉 한국인 30명(남녀 각 15명) 한국어 이중모음 F1, F2 분석 결과 125
〈표 4-52〉 중국인 30명(남녀 각 15명) 중국어 이중모음 F1, F2 분석 결과 127
〈표 4-53〉 포먼트 값을 기반으로 한 한국과 중국의 이중모음 대응 목록 129
〈표 4-54〉 한국어 /ㅑ/와 중국어 /ia/의 남성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30
〈표 4-55〉 한국어 /ㅑ/와 중국어 /ia/의 여성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31
〈표 4-56〉 한국어 /ㅑ/와 중국어 /ia/의 전체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31
〈표 4-57〉 중국어 /ia/의 한국어 초·중·고급별 ANOVA 검정 결과 132
〈표 4-58〉 한국어 /ㅑ/와 중국어 /ia/의 모음 판정 결과 132
〈표 4-59〉 한국어 /jE/와 중국어 /ie/의 남성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34
〈표 4-60〉 한국어 /jE/와 중국어 /ie/의 여성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34
〈표 4-61〉 한국어 /jE/와 중국어 /ie/의 전체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34
〈표 4-62〉 중국어 /ie/의 한국어 초·중·고급별 ANOVA 검정 결과 135
〈표 4-63〉 한국어 /jE/와 중국어 /ie/의 모음 판정 결과 135
〈표 4-64〉 한국어 /ㅘ/와 중국어 /ua/의 남성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36
〈표 4-65〉 한국어 /ㅘ/와 중국어 /ua/의 여성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37
〈표 4-66〉 한국어 /ㅘ/와 중국어 /ua/의 전체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37
〈표 4-67〉 중국어 /ua/의 한국어 초·중·고급별 ANOVA 검정 결과 138
〈표 4-68〉 한국어 /ㅘ/와 중국어 /ua/의 모음 판정 결과 138
〈표 4-69〉 한국어 /ㅝ/와 중국어 /uo/의 남성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39
〈표 4-70〉 한국어 /ㅝ/와 중국어 /uo/의 여성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40
〈표 4-71〉 한국어 /ㅝ/와 중국어 /uo/의 전체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40
〈표 4-72〉 중국어 /uo/의 한국어 초·중·고급별 ANOVA 검정 결과 141
〈표 4-73〉 한국어 /ㅝ/와 중국어 /uo/의 모음 판정 결과 141
〈표 4-74〉 한국어 /ㅟ/와 중국어 /üe/의 남성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42
〈표 4-75〉 한국어 /ㅟ/와 중국어 /üe/의 여성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43
〈표 4-76〉 한국어 /ㅟ/와 중국어 /üe/의 전체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43
〈표 4-77〉 중국어 /üe/의 한국어 초·중·고급별 ANOVA 검정 결과 144
〈표 4-78〉 한국어 /ㅟ/와 중국어 /üe/의 모음 판정 결과 144
〈표 4-79〉 한국어 /wE/와 중국어 /üe/의 남성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45
〈표 4-80〉 한국어 /wE/와 중국어 /üe/의 여성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46
〈표 4-81〉 한국어 /wE/와 중국어 /üe/의 전체 화자 F1과 F2 통계 분석 결과 146
〈표 4-82〉 한국어 /wE/와 중국어 /üe/의 모음 판정 결과 146
〈표 4-83〉 한국어와 중국어 이중모음 전체 대조분석 판정 결과 147
〈표 4-84〉 Prator의 이론을 근거로 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이중모음 난이도 위계 예측 148
〈표 4-85〉 중국인 학습자들이 중국어 이중모음과 범주화시키는 한국어 이중모음들 149
〈표 5-1〉 중국인 학습자들의 단순모음 청취 실험을 위한 단어 조합 목록 152
〈표 5-2〉 중국인 학습자들의 단순모음 발음 실험을 위한 단어 조합 목록 153
〈표 5-3〉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단순모음 청취 실험결과 154
〈표 5-4〉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단순모음 청취 실험결과 156
〈표 5-5〉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단순모음 청취 오류빈도 결과 162
〈표 5-6〉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단순모음 청취 오류빈도 결과 163
〈표 5-7〉 중국인 전체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단순모음 청취 오류빈도 결과 164
〈표 5-8〉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단순모음 청취 오류 165
〈표 5-9〉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단순모음 청취 오류 166
〈표 5-10〉 중국인 전체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단순모음 청취 오류 166
〈표 5-11〉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단순모음 발음 실험결과 169
〈표 5-12〉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단순모음 발음 실험결과 171
〈표 5-13〉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단순모음 발음 오류빈도 결과 177
〈표 5-14〉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단순모음 발음 오류빈도 결과 178
〈표 5-15〉 중국인 전체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단순모음 발음 오류빈도 결과 179
〈표 5-16〉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단순모음 발음 오류 181
〈표 5-17〉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단순모음 발음 오류 181
〈표 5-18〉 중국인 전체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단순모음 발음 오류 182
〈표 5-19〉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단순모음 청취와 발음 오류빈도 185
〈표 5-20〉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단순모음 청취와 발음 오류빈도 185
〈표 5-21〉 중국인 남녀 학습자들의 청취 오류빈도의 정규성 검정 결과 186
〈표 5-22〉 중국인 학습자들의 남녀 간 한국어 단순모음의 청취 오류빈도에 대한 통계 분석 결과 186
〈표 5-23〉 중국인 학습자들의 남녀 간 한국어 단순모음의 발음 오류빈도에 대한 통계 분석 결과 186
〈표 6-1〉 중국인 학습자들의 이중모음 청취 실험을 위한 단어 조합 목록 192
〈표 6-2〉 중국인 학습자들의 이중모음 발음 실험을 위한 단어 조합 목록 193
〈표 6-3〉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이중모음 청취 실험결과 194
〈표 6-4〉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이중모음 청취 실험결과 196
〈표 6-5〉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이중모음 청취 오류빈도 결과 202
〈표 6-6〉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이중모음 청취 오류빈도 결과 203
〈표 6-7〉 중국인 전체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이중모음 청취 오류빈도 결과 204
〈표 6-8〉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이중모음 청취 오류 206
〈표 6-9〉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이중모음 청취 오류 206
〈표 6-10〉 중국인 전체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이중모음 청취 오류 207
〈표 6-11〉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이중모음 발음 실험결과 210
〈표 6-12〉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이중모음 발음 실험결과 212
〈표 6-13〉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이중모음 발음 오류빈도 결과 218
〈표 6-14〉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이중모음 발음 오류빈도 결과 219
〈표 6-15〉 중국인 전체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이중모음 발음 오류 결과 220
〈표 6-16〉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이중모음 발음 오류 221
〈표 6-17〉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이중모음 발음 오류 221
〈표 6-18〉 중국인 전체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이중모음 발음 오류 222
〈표 6-19〉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이중모음 청취와 발음 오류빈도 225
〈표 6-20〉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이중모음 청취와 발음 오류빈도 225
〈표 6-21〉 중국인 남녀 학습자들의 이중모음 청취 오류빈도의 정규성 검정 결과 225
〈표 6-22〉 중국인 학습자들의 남녀 간 한국어 이중모음의 청취 오류빈도에 대한 통계 분석 결과 226
〈표 6-23〉 중국인 학습자들의 남녀 간 한국어 이중모음의 발음 오류빈도에 대한 통계 분석 결과 226
〈표 7-1〉 단순모음의 청취와 발음의 난이도 위계 232
〈표 7-2〉 단순모음의 한국어 등급별 청취 오류빈도순 232
〈표 7-3〉 단순모음의 한국어 등급별 발음 오류빈도순 233
〈표 7-4〉 교육 대상 선정 단순모음들 233
〈표 7-5〉 이중모음의 청취와 발음의 난이도 위계 234
〈표 7-6〉 이중모음의 한국어 등급별 청취 오류빈도순 235
〈표 7-7〉 이중모음의 한국어 등급별 발음 오류빈도순 235
〈표 7-8〉 교육 대상 선정 이중모음들 236
〈표 7-9〉 /ㅜ/와 /ㅗ/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44
〈표 7-10〉 /ㅜ/와 /ㅗ/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45
〈표 7-11〉 /ㅜ/와 /ㅗ/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구 단위) 245
〈표 7-12〉 /ㅜ/와 /ㅗ/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구, 문장 단위) 246
〈표 7-13〉 /ㅜ/와 /ㅗ/의 활용 연습 246
〈표 7-14〉 /ㅓ/와 /ㅗ/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48
〈표 7-15〉 /ㅓ/와 /ㅗ/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49
〈표 7-16〉 /ㅓ/와 /ㅗ/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구 단위) 249
〈표 7-17〉 /ㅓ/와 /ㅗ/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구, 문장 단위) 250
〈표 7-18〉 /ㅓ/와 /ㅗ/의 활용 연습 250
〈표 7-19〉 /ㅜ/와 /ㅡ/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52
〈표 7-20〉 /ㅜ/와 /ㅡ/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53
〈표 7-21〉 /ㅜ/와 /ㅡ/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구 단위) 253
〈표 7-22〉 /ㅜ/와 /ㅡ/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구, 문장 단위) 254
〈표 7-23〉 /ㅜ/와 /ㅡ/의 활용 연습 254
〈표 7-24〉 /ㅣ/와 /ㅔ/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56
〈표 7-25〉 /ㅣ/와 /ㅔ/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57
〈표 7-26〉 /ㅔ/와 /ㅚ/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59
〈표 7-27〉 /ㅔ/와 /ㅚ/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59
〈표 7-28〉 /ㅣ/와 /ㅡ/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61
〈표 7-29〉 /ㅣ/와 /ㅡ/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구 단위) 261
〈표 7-30〉 /ㅡ/와 /ㅓ/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63
〈표 7-31〉 /ㅡ/와 /ㅓ/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64
〈표 7-32〉 /ㅡ/와 /ㅓ/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구 단위) 264
〈표 7-33〉 /ㅡ/와 /ㅗ/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66
〈표 7-34〉 /ㅡ/와 /ㅗ/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67
〈표 7-34〉 /ㅡ/와 /ㅗ/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구 단위) 267
〈표 7-35〉 /ㅓ/와 /ㅜ/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 문제(분절음, 단어 단위) 268
〈표 7-36〉 /ㅓ/와 /ㅜ/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 문제(구 단위) 269
〈표 7-37〉 /ㅓ/와 /ㅜ/의 청취 최소 대립쌍 받아쓰기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69
〈표 7-38〉 /ㅓ/와 /ㅜ/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 문제(구 단위) 270
〈표 7-39〉 이중모음 발음 교육을 위한 단순모음(/ㅣ/, /ㅗ/와 /ㅣ/, /ㅓ/)의 청취 연습 272
〈표 7-40〉 이중모음 발음 교육을 위한 단순모음(/ㅣ/, /ㅗ/와 /ㅣ/, /ㅓ/)의 발음 연습 272
〈표 7-41〉 /ㅕ/와 /ㅛ/의 청취 최소 대립상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73
〈표 7-42〉 /ㅕ/와 /ㅛ/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73
〈표 7-43〉 /ㅕ/와 /ㅛ/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구 단위) 274
〈표 7-44〉 /ㅕ/와 /ㅛ/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구, 문장 단위) 274
〈표 7-45〉 /ㅕ/와 /ㅛ/의 활용 연습 275
〈표 7-46〉 이중모음 발음 교육을 위한 단순모음(/ㅣ/, /ㅜ/와 /ㅣ/, /ㅗ/)의 청취 연습 277
〈표 7-47〉 이중모음 발음 교육을 위한 단순모음(/ㅣ/, /ㅜ/와 /ㅣ/, /ㅗ/)의 발음 연습 277
〈표 7-48〉 /ㅠ/와 /ㅛ/의 청취 연습 278
〈표 7-49〉 /ㅠ/와 /ㅛ/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78
〈표 7-50〉 /ㅠ/와 /ㅛ/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구 단위) 279
〈표 7-51〉 /ㅠ/와 /ㅛ/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구, 문장 단위) 279
〈표 7-52〉 /ㅠ/와 /ㅛ/의 활용 연습 280
〈표 7-53〉 이중모음 발음 교육을 위한 단순모음(/ㅗ/와 /ㅏ/)의 청취 연습 281
〈표 7-54〉 이중모음 발음 교육을 위한 단순모음(/ㅗ/와 /ㅏ/)의 발음 연습 282
〈표 7-55〉 /ㅘ/와 /ㅏ/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82
〈표 7-56〉 /ㅘ/와 /ㅏ/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82
〈표 7-57〉 이중모음 발음 교육을 위한 단순모음(/ㅣ/, /ㅓ/와 /ㅣ/, /ㅜ/)의 청취 연습 284
〈표 7-58〉 이중모음 발음 교육을 위한 단순모음(/ㅣ/, /ㅓ/와 /ㅣ/, /ㅜ/)의 발음 연습 285
〈표 7-59〉 /ㅕ/와 /ㅠ/의 청취 최소 대립상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85
〈표 7-60〉 /ㅕ/와 /ㅠ/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86
〈표 7-61〉 /ㅕ/와 /ㅠ/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구 단위) 286
〈표 7-62〉 /ㅕ/와 /ㅠ/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구 단위) 287
〈표 7-63〉 이중모음 발음 교육을 위한 단순모음(/ㅣ/, /ㅏ/와 /ㅣ/, /ㅗ/)의 청취 연습 289
〈표 7-64〉 이중모음 발음 교육을 위한 단순모음(/ㅣ/, /ㅏ/와 /ㅣ/, /ㅗ/)의 발음 연습 289
〈표 7-65〉 /ㅑ/와 /ㅛ/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89
〈표 7-66〉 /ㅑ/와 /ㅛ/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90
〈표 7-67〉 이중모음 발음 교육을 위한 단순모음(/ㅜ/, /ㅓ/와 /ㅣ/, /ㅗ/)의 청취 연습 292
〈표 7-68〉 이중모음 발음 교육을 위한 단순모음(/ㅜ/, /ㅓ/와 /ㅣ/, /ㅗ/)의 발음 연습 292
〈표 7-69〉 /ㅝ/와 /ㅛ/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92
〈표 7-70〉 /ㅝ/와 /ㅛ/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93
〈표 7-71〉 이중모음 발음 교육을 위한 단순모음(/ㅜ/, /ㅣ/와 /ㅣ/, /ㅜ/)의 청취 연습 295
〈표 7-72〉 이중모음 발음 교육을 위한 단순모음(/ㅜ/, /ㅣ/와 /ㅣ/, /ㅜ/)의 발음 연습 295
〈표 7-73〉 /ㅟ/와 /ㅠ/의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95
〈표 7-74〉 /ㅟ/와 /ㅠ/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96
〈표 7-75〉 이중모음 발음 교육을 위한 단순모음(/ㅣ/, /ㅔ/와 /ㅜ/, /ㅔ/)의 청취 연습 298
〈표 7-76〉 이중모음 발음 교육을 위한 단순모음(/ㅣ/, /ㅔ/와 /ㅜ/, /ㅔ/)의 발음 연습 298
〈표 7-77〉 /ㅖ/와 /ㅚ/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99
〈표 7-78〉 /ㅖ/와 /ㅚ/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299
〈표 7-79〉 /ㅖ/와 /ㅚ/의 발음 최소 대립쌍 연습(구, 문장 단위) 300
〈표 7-80〉 /ㅖ/와 /ㅚ/의 활용 연습 300
〈표 7-81〉 /ㅑ/와 /ㅠ/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 문제(분절음, 단어 단위) 301
〈표 7-82〉 /ㅠ/와 /ㅟ/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 문제(분절음, 단어 단위) 301
〈표 7-83〉 /ㅟ/와 /ㅚ/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 문제(분절음, 단어 단위) 302
〈표 7-84〉 /ㅑ/와 /ㅠ/의 청취 최소 대립쌍 받아쓰기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302
〈표 7-85〉 /ㅠ/와 /ㅟ/의 청취 최소 대립쌍 받아쓰기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303
〈표 7-86〉 /ㅟ/와 /ㅚ/의 청취 최소 대립쌍 받아쓰기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303
〈표 7-87〉 /ㅝ/와 /ㅗ/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 문제(분절음, 단어 단위) 304
〈표 7-88〉 /ㅝ/와 /ㅗ/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 문제(구 단위) 304
〈표 7-89〉 /ㅝ/와 /ㅗ/의 청취 최소 대립쌍 받아쓰기 연습(분절음, 단어 단위) 305
〈표 7-90〉 /ㅝ/와 /ㅗ/의 청취 최소 대립쌍 연습 문제(구 단위) 305
[그림 2-1] 인식과 재생과정(생성이론) 50
[그림 2-2] 한국어 /ㅏ/의 음파의 일부 52
[그림 2-3] 파형과 스펙트럼의 관계도 53
[그림 2-4] 한국어 단순모음 /ㅏ/의 스펙트로그램 53
[그림 3-1] 한국어 단순모음 7모음 체계의 삼각도 60
[그림 3-2] 한국어 j-계 이중모음의 혀의 이동방향 62
[그림 3-3] 한국어 w-계 이중모음의 혀의 이동 방향 62
[그림 3-4] 한국어 ɰ-계 이중모음의 혀의 이동 방향 62
[그림 3-5] 표준 중국어의 음절 구조 64
[그림 3-6] 중국어 단순모음의 사각도 67
[그림 3-7] 중국어 상향이중모음 68
[그림 3-8] 중국어 하향이중모음 69
[그림 4-1] 한국인 남성 화자의 한국어 단순모음 /ㅓ/의 F1, F2 평균값 측정 81
[그림 4-2] 중국인 여성 화자의 중국어 단순모음 /o/의 F1, F2 평균값 측정 81
[그림 4-3] 한국인의 전체(남녀) 화자 한국어 단순모음 포먼트 값 평균 분포도 83
[그림 4-4] 한국인 남성 화자 15명의 한국어 단순모음 포먼트 값 평균 분포도 83
[그림 4-5] 한국인 여성 화자 15명의 한국어 단순모음 포먼트 값 평균 분포도 83
[그림 4-6] 중국인 전체(남녀) 화자 단순모음 포먼트 값 분포도 86
[그림 4-7] 중국인 남성 화자 15명의 포먼트 값 분포도 86
[그림 4-8] 중국인 여성 화자 15명의 포먼트 값 분포도 86
[그림 4-9] 한·중 전체 화자 단순모음 포먼트 값 평균 분포도 비교 89
[그림 4-10] 한·중 남성 화자 단순모음 포먼트 값 평균 분포도 비교 90
[그림 4-11] 한·중 여성 화자 단순모음 포먼트 값 평균 분포도 비교 90
[그림 4-12] 한국어 /ㅏ/와 중국어 /a/의 남성 화자 F1과 F2 분포도 94
[그림 4-13] 한국어 /ㅏ/와 중국어 /a/의 여성 화자 F1과 F2 분포도 94
[그림 4-14] 한국어 /ㅣ/와 중국어 /i/의 남성 화자 F1과 F2 분포도 97
[그림 4-15] 한국어 /ㅣ/와 중국어 /i/의 여성 화자 F1과 F2 분포도 97
[그림 4-16] 한국어 /ㅗ/와 중국어 /o/의 남성 화자 F1과 F2 분포도 100
[그림 4-17] 한국어 /ㅗ/와 중국어 /o/의 여성 화자 F1과 F2 분포도 100
[그림 4-18] 한국어 /ㅓ/와 중국어 /o/의 남성 화자 F1과 F2 분포도 102
[그림 4-19] 한국어 /ㅓ/와 중국어 /o/의 여성 화자 F1과 F2 분포도 102
[그림 4-20] 한국어 /ㅓ/, /ㅗ/와 중국어 /o/의 전체 화자 F1과 F2 분포도 103
[그림 4-21] 한국어 /ㅗ/와 중국어 /u/의 남성 화자 F1과 F2 분포도 106
[그림 4-22] 한국어 /ㅗ/와 중국어 /u/의 여성 화자 F1과 F2 분포도 106
[그림 4-23] 한국어 /ㅜ/와 중국어 /u/의 남성 화자 F1과 F2 분포도 108
[그림 4-24] 한국어 /ㅜ/와 중국어 /u/의 여성 화자 F1과 F2 분포도 109
[그림 4-25] 한국어 /ㅡ/와 중국어 /e/의 남성 화자 F1과 F2 분포도 112
[그림 4-26] 한국어 /ㅡ/와 중국어 /e/의 여성 화자 F1과 F2 분포도 112
[그림 4-27] 한국어 /ㅓ/와 중국어 /e/의 남성 화자 F1과 F2 분포도 114
[그림 4-28] 한국어 /ㅓ/와 중국어 /e/의 여성 화자 F1과 F2 분포도 115
[그림 4-29] 한국어 /ㅡ/, /ㅓ/와 중국어 /e/의 전체 화자 F1과 F2 분포도 116
[그림 4-30] 한국인의 한국어 이중모음 /ㅛ/의 남성 스펙트로그램 측정 예 124
[그림 4-31] 한국인 이중모음 /ㅑ/의 스펙트로그램 130
[그림 4-32] 중국인 이중모음 /ia/의 스펙트로그램 130
[그림 4-33] 한국인 이중모음 /jE/의 스펙트로그램 133
[그림 4-34] 한국인 이중모음 /ie/의 스펙트로그램 133
[그림 4-35] 한국인 이중모음 /ㅘ/의 스펙트로그램 136
[그림 4-36] 중국인 이중모음 /ua/의 스펙트로그램 136
[그림 4-37] 한국인 이중모음 /ㅝ/의 스펙트로그램 139
[그림 4-38] 중국인 이중모음 /uo/의 스펙트로그램 139
[그림 4-39] 한국인 이중모음 /ㅟ/의 스펙트로그램 142
[그림 4-40] 중국인 이중모음 /üe/의 스펙트로그램 142
[그림 4-41] 한국인 이중모음 /wE/의 스펙트로그램 145
[그림 4-42] 중국인 이중모음 /üe/의 스펙트로그램 145
[그림 5-1]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단순모음별 청취 오류빈도 155
[그림 5-2]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단순모음별 청취 오류 유형 155
[그림 5-3]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단순모음별 청취 오류빈도 157
[그림 5-4]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단순모음별 청취 오류 유형 157
[그림 5-5]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등급별 단순모음 청취 오류빈도 158
[그림 5-6]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등급별 단순모음 청취 오류빈도 158
[그림 5-7] 중국인 전체 학습자들의 등급별 단순모음 청취 오류빈도 159
[그림 5-8]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등급별 단순모음 청취 오류빈도 비교 160
[그림 5-9]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등급별 단순모음 청취 오류빈도 비교 160
[그림 5-10] 중국인 전체 학습자들의 등급별 단순모음 청취 오류빈도 비교 160
[그림 5-11]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단순모음 청취 오류빈도 162
[그림 5-12]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단순모음 청취 오류빈도 163
[그림 5-13] 중국인 전체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단순모음 청취 오류빈도 164
[그림 5-14]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단순모음별 발음 오류빈도 170
[그림 5-15]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단순모음별 발음 오류 유형 170
[그림 5-16]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단순모음별 발음 오류빈도 172
[그림 5-17]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단순모음별 오류 유형 172
[그림 5-18]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등급별 단순모음 발음 오류빈도 173
[그림 5-19]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등급별 단순모음 발음 오류빈도 174
[그림 5-20] 중국인 전체 학습자들의 등급별 단순모음 발음 오류빈도 174
[그림 5-21]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등급별 단순모음 발음 오류빈도 비교 175
[그림 5-22]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등급별 단순모음 발음 오류빈도 비교 175
[그림 5-23] 중국인 전체 학습자들의 등급별 단순모음 발음 오류빈도 비교 176
[그림 5-24]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단순모음 발음 오류빈도 비교 178
[그림 5-25]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단순모음 발음 오류빈도 179
[그림 5-26] 중국인 전체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단순모음 발음 오류빈도 180
[그림 6-1]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이중모음별 청취 오류빈도 195
[그림 6-2]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이중모음별 청취 오류 유형 195
[그림 6-3]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이중모음별 청취 오류빈도 197
[그림 6-4]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단순모음별 청취 오류 유형 197
[그림 6-5]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등급별 이중모음 청취 오류빈도 198
[그림 6-6]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등급별 이중모음 청취 오류빈도 199
[그림 6-7] 중국인 전체 학습자들의 등급별 이중모음 청취 오류빈도 199
[그림 6-8]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등급별 이중모음 청취 오류빈도 비교 200
[그림 6-9]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등급별 이중모음 청취 오류빈도 비교 200
[그림 6-10] 중국인 전체 학습자들의 등급별 이중모음 청취 오류빈도 비교 201
[그림 6-11]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이중모음 청취 오류빈도 203
[그림 6-12]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이중모음 청취 오류빈도 204
[그림 6-13] 중국인 전체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이중모음 청취 오류빈도 205
[그림 6-14]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이중모음별 발음 오류빈도 210
[그림 6-15]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이중모음별 발음 오류 유형 211
[그림 6-16]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이중모음별 발음 오류빈도 212
[그림 6-17]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이중모음별 발음 오류 유형 213
[그림 6-18]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등급별 이중모음 발음 오류빈도 214
[그림 6-19]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등급별 이중모음 발음 오류빈도 214
[그림 6-20] 중국인 전체 학습자들의 등급별 이중모음 발음 오류빈도 215
[그림 6-21]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등급별 이중모음별 발음 오류빈도 비교 215
[그림 6-22]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등급별 이중모음별 발음 오류빈도 비교 216
[그림 6-23] 중국인 전체 학습자들의 등급별 이중모음 발음 오류빈도 비교 216
[그림 6-24] 중국인 남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이중모음 발음 오류빈도 218
[그림 6-25] 중국인 여성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이중모음 발음 오류빈도 219
[그림 6-26] 중국인 전체 학습자들의 어두 자음별 이중모음 발음 오류빈도 220
[그림 7-1] 청취와 발음 지도가 모두 필요한 단순모음 교육 모형 237
[그림 7-2] 발음 중점 지도 대상 단순모음 교육 모형 237
[그림 7-3] 청취 중점 지도 대상 단순모음 교육 모형 238
[그림 7-4] 청취와 발음 지도가 모두 필요한 이중모음 교육 모형 240
[그림 7-5] 발음 중점 지도 대상 이중모음 교육 모형 240
[그림 7-6] 청취 중점 지도 대상 이중모음 교육 모형 241
[그림 7-7] 한국어 단순모음 /ㅜ/와 /ㅗ/의 입모양 비교 243
[그림 7-8] 한국어 단순모음 /ㅓ/와 /ㅗ/의 입모양 비교 247
[그림 7-9] 한국어 단순모음 /ㅜ/와 /ㅡ/의 입모양 비교 251
[그림 7-10] 한국어 단순모음 /ㅣ/와 /ㅔ/의 입모양 비교 256
[그림 7-11] 한국어 단순모음 /ㅔ/의 입모양과 이중모음 /ㅚ/를 구성하는 단순모음들의 입모양 258
[그림 7-12] 한국어 단순모음 /ㅣ/와 /ㅡ/의 입모양 비교 260
[그림 7-13] 한국어 단순모음 /ㅣ/와 /ㅔ/의 입모양 비교 263
[그림 7-14] 한국어 단순모음 /ㅡ/와 /ㅗ/의 입모양 비교 265
[그림 7-15] 한국어 이중모음 /ㅕ/와 /ㅛ/를 구성하는 단순모음들의 입모양 비교 271
[그림 7-16] 한국어 이중모음 /ㅠ/와 /ㅛ/를 구성하는 단순모음들의 입모양 비교 276
[그림 7-17] 한국어 이중모음 /ㅘ/를 구성하는 단순모음 /ㅗ/와 /ㅏ/의 입모양 비교 281
[그림 7-18] 한국어 이중모음 /ㅕ/와 /ㅠ/를 구성하는 단순모음들의 입모양 비교 284
[그림 7-19] 한국어 이중모음 /ㅑ/와 /ㅛ/를 구성하는 단순모음들의 입모양 비교 288
[그림 7-20] 한국어 이중모음 /ㅝ/와 /ㅛ/를 구성하는 단순모음들의 입모양 비교 291
[그림 7-21] 한국어 이중모음 /ㅟ/와 /ㅠ/를 구성하는 단순모음들의 입모양 비교 294
[그림 7-22] 한국어 이중모음 /ㅖ/와 /ㅚ/를 구성하는 단순모음들의 입모양 비교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