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Title Page

Contents

Abstract 6

1. Introduction 8

2. Materials and methods 9

3. Results 11

3.1. General description of the nematodes 11

3.1.1. Morphological features 11

3.1.2. The cordon 11

3.2. Male 14

3.2.1. Morphological features 14

3.2.2. The reproductive system 14

3.3. Female 17

3.3.1. Morphological features 17

3.3.2. The reproductive system 17

3.4. Molecular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position 22

4. Discussion 24

5. Conclusion 28

6. References 29

7. 국문초록 33

List of Figures

Fig. 1. Light microscophical view of D. invaginatus. (A) Anterior portion of female. Long muscular (ME) and glandular esophagus (GE) are shown. (B) Anterior end... 13

Fig. 2. SEM view of male D. invaginatus. (A) Whole body. (B) Apical view of cephalic end. Cordon, cephalic papillae (circle) and pseudolabia (asterisks). (C)... 16

Fig. 3. SEM view of female D. invaginatus. (A) Whole body. (B) Lateral view. A pairs of cordon (C) arise dorsally and ventrally between pseudolabia, extending... 19

Fig. 4. SEM view of posterior end of female D. invaginatus. Four types of posterior extremity (A,B,C,D). (A) Double invaginated posterior end at one side forming... 21

Fig. 5. Phylogenetic tree (Neighbor Joining) based on sequence analysis. 23

초록보기

견장선충류에 속하는 Desportesius invaginatus가 한국 춘천의 쇠백로와 황로의 전위에서 발견되었다. 이 기생충을 중요한 분류학상 특징(몸의 길이, 식도의 길이, cordons, spicules, 수컷의 caudal alae, vulva의 위치)에 근거하여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18S rRNA encoding gene을 이용하여 계통발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선충은 수컷에서는 몸길이가 7.0-8.0 mm, 암컷에서는 10.2-13.1 mm, 앞쪽 방향으로 반복되는 두 쌍의 cordons, 외부적으로 종관의 경계를 정하는 종단의 cuticular ridge에 의해 cordons이 문합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Cordons의 가장 넓은 cuticular plates에는 20개가 넘는 posterior spines이 있다. 수컷 Spicules의 길이 또한 유의미하게 다르다. 오른쪽 spicule은 길이 742-821 (794) µm, 너비 40-45 (42) µm이고, 왼쪽 spicule은 길이 493-556 (541) µm 너비 11-13 (12) µm이다. 수컷의 caudal alae는 외형적으로 팽창되고 소포로 이루어져 있다. Vulva는 후극으로부터 56-71 (58.3) µm에 위치한다. 기생충의 18S rRNA 서열이 Synhimantus 종과 유사하지만 비교에서 몇몇 유전적 차이가 관찰되었다. Desportesius는 Synhimantus 아종으로 고려되므로 이 연구에서 기생충은 Desportesius로 인정되었다. 이것은 한국의 D. invaginatus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