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Ⅰ. 서론 8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8
제2절 연구 문제 11
제3절 용어의 정의 12
1. 코칭 리더십 (Coaching Leadership) 12
2. 학습 민첩성 (Learning Agility) 12
3. 잡 크래프팅 (Job Crafting) 13
4. 직무열의 (Employee Engagement) 13
Ⅱ. 이론적 배경 14
제1절 코칭 리더십 14
1. 코칭 리더십의 개념 14
2. 코칭 리더십에 대한 선행연구 18
제2절 학습 민첩성 21
1. 학습 민첩성의 개념 21
2. 학습 민첩성에 대한 선행연구 25
제3절 잡 크래프팅 27
1. 잡 크래프팅의 개념 27
2. 잡 크래프팅에 대한 선행연구 30
제4절 직무열의 32
1. 직무열의의 개념 32
2. 직무열의에 대한 선행연구 35
제5절 변인 간의 관계 40
1. 코칭 리더십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 40
2. 코칭 리더십과 학습 민첩성 간의 관계 41
3. 학습 민첩성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 42
4. 코칭 리더십과 잡 크래프팅 간의 관계 43
5. 학습 민첩성과 잡 크래프팅 간의 관계 44
6. 잡 크래프팅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 45
7. 학습민첩성과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 46
Ⅲ. 연구 방법 48
제1절 연구 모형 48
제2절 연구 대상 49
제3절 측정도구 52
가. 학습민첩성 53
나. 코칭 리더십 53
라. 잡 크래프팅 53
마. 직무열의 54
제4절 분석 방법 54
Ⅳ. 분석 결과 55
제1절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55
제2절 측정모형 검증 59
제3절 구조모형 검증 61
Ⅴ. 결론 65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65
제2절 연구의 시사점 66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67
참고 문헌 69
ABSTRACT 80
부록 조사 설문지 82
[그림 Ⅱ-1] Bakker & Demerouti(2007)의 JD-R 모델 29
[그림 Ⅱ-2] Tims와 Bakker의 잡 크래프팅 모델 30
[그림 Ⅲ-1] 연구 모형 48
[그림 Ⅳ-1] 구조모형 검증 결과 6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coaching leadership on employee engagement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and job crafting in that relationship. To this end, a total of 223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employees working at companies in Vietnam by conducting a survey on the Interne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aching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ee engagement. Second, coaching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gility. Third, coaching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Fourth, learning agil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Fifth, job crafting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Sixth, it was found that learning agi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Seventh, job crafting was found to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employee engagement. Eighth, job crafting was found to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employee engagement.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learning agility and job crafting have a du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employee engagemen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leaders should show coaching leadership which leads to a higher level of employee engagement by increasing their learning agility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job crafting.*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