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표지이미지

- 청구기호: 811.87-23-184

- 서명: 전세지옥 : 91년생 청년의 전세 사기 일지

- 편/저자: 최지수

- 발행처: 세종서적()

서평
 그 전세금엔 또 얼마나의 삶이 녹아 있을까?
서평자
 황선재,충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발행사항
 668 ( 2024-03-06 )

목차보기더보기

01 내 앞에 지옥문이 열린 줄도 모르고
02 어쩌다 나는 천안까지 갔을까
03 가진 것도 없으면서 전세를 얻은 이유

49 선박조리사 교육장에서
50 경매 현장에 참석했다
51 미련함의 다른 말은 간절함이다

서평보기더보기

“이 모든 노력을 다 해야만 사기를 피할 수 있다면, 전세 제도는 왜 있는 걸까? 어떻게 50년 넘게 시행된 제도에 이렇게 빈틈이 많을 수 있단 말인가.” - 125쪽 여기, 한 청년의 먹먹한 울부짖음이 있다. 나는 그저 최선을 다해 열심히 살고자 했을 뿐인데 세상은 나에게 왜 이리 가혹한지, 정해진 법과 규칙을 성실히 따랐을 뿐인데 돌아온 것은 왜 사기와 배신뿐인지, 온몸으로 외치는 소리 없는 울부짖음이 여전히 현재 진행형인 그 청년의 ‘전세지옥’ 속에서 울려 퍼지고 있다. 2023년, 유독 전세 사기 사건이 미디어에 자주 등장했다. 임차인의 전세보증금을 임대인이 고의성을 갖고 반환하지 않는 소위 전세 사기는 한국 사회 고유의 전세라는 제도와 상존해 온 것이지만, 전세 사기에 대한 2023년의 사회적 관심은 남달랐다. 전국 방방곡곡의 ‘빌라왕’들이 벌인 전세 사기의 대부분이 20~30대 사회초년생들에게 집중되었다는 점, 그러한 청년층을 둘러싼 한국의 각종 사회·경제·정치적 담론이 뜨거웠다는 점, 2010년대 후반부터 폭등을 거듭하다 거품이 꺼지기 시작한 부동산을 둘러싼 욕망과 좌절이 교차하던 시점이라는 사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일 것이다. 즉, 일견 개인적인 불운으로 보이는 전세 사기라는 사건이 지극히 사회적인 것이며, 그러한 개인의 불운을 증폭시킬 수도 혹은 경감시킬 수도 있는 것이 개인사가 배태된 제도와 환경임을 잘 보여주는 사례다. 『전세지옥』의 저자 최지수는 이러한 시기에 본인이 직접 경험한 전세 사기 사건을 본인의 개인사와 가족사, 이를 둘러싼 사회 제도와 환경을 다층적으로 오가며 절절히 서술하고 있다. 저자가 전세로 살던 천안의 한 빌라에 대한 경매 통지서가 날아온 시점(2021년 7월)부터 책을 마무리하던 현재(2023년 10월)까지, 여전히 끝나지 않은 전세 사기 문제를 온몸으로 부딪힌 과정을 낱낱이, 그리고 날 것 그대로 기록한 일기에 기반한 책이다. 전세 사기라는 법률적인 사건에 대한 것이기에 어렵고 복잡한 내용이 지루하게 이어질 것으로 생각하면 오산이다. 서울에 살던 저자가 왜 하필 천안에 흘러들게 되었는지, 천안의 많고 많은 집 중 왜 하필 그 ‘리첸스 빌라 1004호’에 머무르게 되었는지, 그 지옥으로 변한 집이 왜 한때는 운명적인 ‘천사(1004)’로 보일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생생한 목소리의 기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에는 2년이 넘는 기간 동안 저자가 경험했던 희로애락과 감정의 격랑이 그대로 활자화되어 있다. 때로는 그 정도가 너무도 격렬하고 사실적이어서 책을 멀찌감치 물러두고 읽어야 할 수도 있겠으나, 우리에게 전세 사기가 개인적 불운이 아닌 법과 제도의 허점이라는 사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기 위해서는 이 이상의 서사구조가 있을 수 있겠는가 하는 공감이 우선한다. 하지만 저자는 본인의 불운을 개인적인 수준에서 토로하는 데서 그치지 않는다. 개인적 불운에 본인이 통제할 수도 없고 감당할 수도 없었던 전세 제도의 허점이 어떻게 깊게 파고들었는지, 불운 이후에는 또 다른 법과 제도가 어떻게 본인을 살리고 앞으로 나아가게 도움을 주었는지를 대조한다. 전세 사기라는 단어는 익숙해도 정작 전세 사기를 당한 이의 삶의 내막에는 문외한인 대중들에게 ‘그 전세금엔 내 삶이 이렇게나 녹아있소!’ 하고 절절히 외친다. 우리는 이 외침에 어떻게 응답해야 할까. 저자 최지수의 꿈은 파일럿이라 한다. 천안의 ‘리첸스 빌라 1004호’를 전세로 택한 이유도 결국 그 꿈에 한 발짝 더 빨리 다가가기 위해 월세를 아끼기 위함이었다 한다. 주어진 선택지에서 지극히 합리적인 결정을 한 대한민국의 한 청년에게, 전세 사기 피해자라는 프레임을 씌워 동정이나 무지에 대한 멸시의 시선을 보내선 안 된다. 전세 제도의 허점을 악용한 ‘빌라왕’들에게 악담을 퍼붓는 것만으로도 충분치 않다. 불운으로 포장된 개인사를 철저히 해부하고, 그 구조적 기원을 찾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 과정에서 어떤 법과 제도가 개인의 불운을 막아줄 수도 혹은 증폭시킬 수도 있는지에 대한 살아 있는 조언이 필요하다. ‘전세지옥’ 속을 사는 이 청년의 기록은, 역설적이게도 그 출발점이 되기에 충분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