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탑메뉴
처음방문이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My Library
메뉴
메뉴열기
로그인
회원가입
처음방문이세요?
주 이용 도서관 설정
내서재
야간이용 신청목록
야간이용 신청조회
상호이용 신청목록
상호이용 신청조회
검색
검색
기본검색
기본검색
전체(초록·목차·본문포함)
자료명
저자
발행자
키워드
청구기호
기본검색
전체(초록·목차·본문포함)
자료명
저자
발행자
키워드
청구기호
다국어입력
언어
한글고어
중국간체
중국번체
히라가나
가타카나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러시아문자
그리스어
라틴문자
라틴확장-A
라틴확장-B
로마자
아르메니아어
티아나어
인도어
아랍어
베트남
신할라어
크메르어
타이어
라오어
티베트어
몽골어
노르웨이어
체코어
폴란드어
터키어
포르투칼어
키릴문자
히브리어
벵골어
이란어
기호
괄호기호
학술기호
기술기호
단위기호
일반기호
첨자
일반 구두점
화폐 기호
글자꼴 기호
여러 가지 수
도형 기호
수학연산자
수학연산자보충
닫기
상세
검색
외부기관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언어
한글고어
중국간체
중국번체
히라가나
가타카나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러시아문자
그리스어
라틴문자
라틴확장-A
라틴확장-B
로마자
아르메니아어
티아나어
인도어
아랍어
베트남
신할라어
크메르어
타이어
라오어
티베트어
몽골어
노르웨이어
체코어
폴란드어
터키어
포르투칼어
키릴문자
히브리어
벵골어
이란어
기호
괄호기호
학술기호
기술기호
단위기호
일반기호
첨자
일반 구두점
화폐 기호
글자꼴 기호
여러 가지 수
도형 기호
수학연산자
수학연산자보충
닫기
도움말
상세검색
자료구분
전체
도서자료
도서자료
전체
일반도서
E-BOOK
고서
세미나자료
웹자료
학위논문
학위논문
전체
학위논문
연속간행물·학술기사
연속간행물·학술기사
전체
국내기사
국외기사
학술지·잡지
신문
전자저널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
전체
오디오자료
전자매체
마이크로폼자료
지도/기타자료
동영상
동영상
전체
동영상자료
국회자료
국회자료
전체
외국법률번역DB
국회회의록
국회의안정보
특화자료
특화자료
전체
표·그림DB
지식공유
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Open API 이용안내
저작물등록 및 이용허락
저작물 이용료에 대한 안내
모바일서비스 이용안내
통합검색 이용안내
신간단행본 안내
야간이용 신청안내
전화번호 안내
닫기
닫기
서명
가난이 사는 집
청구기호
362.5-22-37
저자
김수현 지음
역자
발행사항
오월의봄
도서요약정보보기
더보기
가난한 사람들이 도시에 정착하기 위한 전지 기지였고, 가난한 사람들의 경제공동체이기도 했던 판자촌은 1980년대 폭력적인 철거 과정을 거치면서 한꺼번에 사라지고 말았다. 그 판자촌이 있던 자리에는 부자와 중산층이 살아가는 아파트가 세워졌다. 판자촌 주민들은 대부분 그 아파트에 입주할 수 없었다. 그렇다면 판자촌 사람들은 어디로 갔을까? 판자촌이 철거된 후 가난한 사람들은 영구임대주택, 비닐하우스촌, 반지하, 옥탑방, 고시원, 쪽방 등으로 흩어졌다. 책은 이 과정을 자세히 살피고, 판자촌 이후의 판자촌인 여러 형태의 집들의 역사도 살핀다.
목차보기
더보기
책을 내며
그 많던 판자촌은 어디로 갔나?
1부. 판자촌을 아시나요?
1장 집
산업화, 도시화 그리고 주택문제
남의 땅에 집 짓기
판자촌의 전형이 만들어지다: 붉은색 시멘트 기와, 미장한 블록 벽
새로 들어선 무허가주택
2장 사람
판자촌 사람들
판자촌의 개혁가들
3장 사건
물, 불, 산사태
와우아파트 붕괴
광주대단지사건
투쟁하는 철거민
2부. 집, 가난 그리고 개발
4장 집과 가난
가난한 집의 역사
5장 판자촌과 합동재개발
판자촌을 중산층용 아파트 단지로
6장 뉴타운과 도시재생
판자촌 이후의 재개발
뉴타운에서 도시재생으로
3부. 판자촌 이후의 판자촌
7장 세계의 판자촌
어디나 ‘판자촌’은 있다
8장 판자촌이 남긴 숙제
판자촌에 대한 국제사회의 촉구
판자촌이 남긴 숙제
보태는 글
판자촌과 부동산 정책의 경험
주
참고문헌
사진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