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서명
 호흡공동체 : 미세먼지, 코로나19, 폭염에 응답하는 과학과 정치
청구기호
 363.7/392
저자
 전치형, 김성은, 김희원, 강미량 지음
역자
 
발행사항
 창비(2021)

도서요약정보보기더 보기

세가지 공기재난(미세먼지, 코로나19, 폭염)이 한국사회를 숨막히게 하고 있다. 당연한 삶의 배경이던 공기는 공들여 관리해야 할 삶의 조건이 되었다. 『호흡공동체: 미세먼지, 코로나19, 폭염에 응답하는 과학과 정치』는 한국사회라는 ‘호흡공동체’를 조율하고 회복하기 위한 공공의 과학과 정치를 제안하는 책이다. 안심하고 숨쉴 공간이 점점 좁아지고 함부로 호흡을 나눌 수 없게 된 지금, 과학기술사회학자이자 ‘과학과 사회를 잇는 미드필더’로 널리 알려진 전치형 교수를 필두로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소속의 신진 연구자들이 힘을 합쳐 광화문 광장에서 무더위 쉼터까지 공기재난의 현장을 탐사했다. 방대한 데이터와 자료를 바탕으로 공기재난에 맞서는 한국사회를 과학의 눈으로 해설한 이 책은 르포와 과학 스토리텔링의 경계를 넘나들며 새로운 과학 글쓰기의 전범을 보여주는 동시에 독자들의 뇌리에 ‘호흡공동체’라는 의제를 각인할 예리한 사회비평서다.

중층의 공기재난에 휩싸인 전례 없는 상황 속에서 『호흡공동체』가 옹호하고 지향하는 과학은 매우 분명하다. 공기재난의 현장에서 묵묵히 작동해온 공공의 과학, 돌봄의 과학이다. 많은 이들이 과학에 만고불변의 진리 탐색이나 천문학적 경제효과를 기대하지만, 재난 속에서 공동체의 회복을 북돋고 올바른 정치적 합의의 재료를 마련한 것은 결국 느리고 섬세한 공공의 과학이었음을 역설한다. 전치형 외 3인의 필자들은 사려 깊고 세심한 과학기술사회학자의 시선으로, 우리 자신이 구성원인 호흡공동체를 위한 과학과 정치를 함께 고민해보자는 요청을 울림 있게 전한다.

목차보기더 보기

프롤로그 혼자 쉬는 숨은 없다

1장 응답하라 공기과학: 미세먼지 앞에서 우리는 어디로 흩어지고 있는가

“미세먼지 대책을 촉구합니다”
공기공포의 짧은 역사
공기기술의 두 얼굴
각자도생의 공기
호흡공동체를 위한 공기과학
엇갈리는 요구
숨쉴 권리

2장 따로 또 같이: 감염병 시대, 우리는 숨을 섞지 않고도 연결될 수 있는가

위험한 연결
메르스 사태와 공기실패
공기시뮬레이션: 바이러스와 공기를 예측하고 예습하기
공기인류학: 사람 사이의 공기관계를 들여다보기
헤쳐 모여: 코로나19의 공기지리학
각별한 연결

3장 피서는 끝났다: 뜨거운 공기 앞에서 우리는 어디로 도망치고 있는가

폭염의 역설
피서의 역사
폭염을 기다리며
폭염 속 노인
폭염 속 노동
인간 폭염센서
광화문 광장의 폭염과학
바람이 불어오는 곳
바람이 닿지 않는 곳
인수 공통 폭염
2100년의 공기
피난의 공동체

에필로그 광화문의 공기

이미지 제공처
감사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