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탑메뉴
처음방문이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My Library
메뉴
메뉴열기
로그인
처음방문이세요?
내서재
열람예약 신청목록
열람예약 신청조회
야간이용 신청목록
야간이용 신청조회
대출현황조회
검색
검색
기본검색
기본검색
전체(초록·목차·본문포함)
자료명
저자
발행자
키워드
청구기호
기본검색
전체(초록·목차·본문포함)
자료명
저자
발행자
키워드
청구기호
다국어입력
언어
한글고어
중국간체
중국번체
히라가나
가타카나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러시아문자
그리스어
라틴문자
라틴확장-A
라틴확장-B
로마자
아르메니아어
티아나어
인도어
아랍어
베트남
신할라어
크메르어
타이어
라오어
티베트어
몽골어
노르웨이어
체코어
폴란드어
터키어
포르투칼어
키릴문자
히브리어
벵골어
이란어
기호
괄호기호
학술기호
기술기호
단위기호
일반기호
첨자
일반 구두점
화폐 기호
글자꼴 기호
여러 가지 수
도형 기호
수학연산자
수학연산자보충
닫기
상세
검색
외부기관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언어
한글고어
중국간체
중국번체
히라가나
가타카나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러시아문자
그리스어
라틴문자
라틴확장-A
라틴확장-B
로마자
아르메니아어
티아나어
인도어
아랍어
베트남
신할라어
크메르어
타이어
라오어
티베트어
몽골어
노르웨이어
체코어
폴란드어
터키어
포르투칼어
키릴문자
히브리어
벵골어
이란어
기호
괄호기호
학술기호
기술기호
단위기호
일반기호
첨자
일반 구두점
화폐 기호
글자꼴 기호
여러 가지 수
도형 기호
수학연산자
수학연산자보충
닫기
도움말
상세검색
자료구분
전체
도서자료
도서자료
전체
일반도서
고서
세미나자료
웹자료
학위논문
학위논문
전체
학위논문
연속간행물·학술기사
연속간행물·학술기사
전체
국내기사
국외기사
학술지·잡지
신문
전자저널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
전체
동영상자료
오디오자료
전자매체
마이크로폼자료
지도/기타자료
국회자료
국회자료
전체
외국법률번역DB
국회회의록
국회의안정보
특화자료
특화자료
전체
표·그림DB
지식공유
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Open API 이용안내
저작물등록 및 이용허락
저작물 이용료에 대한 안내
모바일서비스 이용안내
통합검색 이용안내
신간단행본 안내
야간이용 신청안내
전화번호 안내
닫기
서명
한국의 자주적 근대화에 관한 성찰 : 자생적 근대화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을 넘어서
청구기호
951.7-21-6
저자
이선민 지음
역자
발행사항
나남출판사(2021)
도서요약정보보기
더보기
한국 근대화 담론의 한계를 극복할 새로운 성찰
자생적 근대화론, 식민지 근대화론을 넘어 자주적 근대화론으로
수십 년 동안 학술기자로서 활동했던 저자 이선민이 한국 근대화 담론의 전개과정을 면밀히 추적한《한국의 자주적 근대화에 관한 성찰》이 출간됐다. 근대화의 과정을 제대로 이해해야 한국근현대사를 일관성 있게 설명할 수 있다고 본 저자는 그동안 이론별, 시대별로 근대화 담론을 다룬 기존 도서들과 달리 ‘근대화’가 본격적으로 대두된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논의과정을 총망라했다. ‘자생적 근대화론’, ‘식민지 근대화론’을 비롯한 각 이론의 성과와 한계를 명확하게 분석하면서 김용섭, 안병직 등 국내연구자뿐만 아니라 가지무라 히데키, 월트 로스토우, 카터 에커트 등 해외연구자들의 견해까지 폭넓게 다뤘다. 무엇보다도 각각의 이론이 나온 시대적 배경과 의미를 성찰하고 역사적 맥락에 따라 체계적으로 설명했다. 오늘의 관점에서 이를 계승 발전하고자 한 이 책은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 대한 논의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목차보기
더보기
들어가며
1장 한국의 근대화 논의 개막: 1960년대
1. 4ㆍ19와 5ㆍ16 뒤 봇물 터진 근대화론
2. 미국발 근대화론의 충격
3. 식민사관 극복과 ‘자생적 근대화론’의 대두
2장 근대화 논의의 확산과 심화: 1970년대
1. ‘자생적 근대화론’의 확산
2. ‘자주적 근대화론’의 태동
3장 도전에 직면한 ‘자생적 근대화론’: 1980~1990년대
1. 왼쪽에서의 도전: 민중사학의 비판
2. 오른쪽에서의 도전: ‘식민지 근대화론’의 부상
3. 식민지 근대화론을 둘러싼 논쟁
4장 근대화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모색: 2000년대 이후
1. 식민지 근대화론의 심화와 이를 둘러싼 논쟁
2. 탈근대적 ‘식민지 근대성론’의 제기
3. 김용섭의 문명전환으로의 관점 확대
4. 종합화의 시도
나가며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