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서명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옛 그림에 담긴 조선 왕실의 특별한 순간들
청구기호
 759.9511-24-18
저자
 박정혜 지음
역자
 
발행사항
 혜화1117(2024)

도서요약정보보기더보기

사진기가 없던 시절, 조선시대의 기록화는 총천연색 사진처럼 기록과 기념의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책은 미술사학자인 저자의 30여 년에 걸친 탐구의 결과로, 그림으로 기록한 조선 왕조의 공식 행사와 왕실의 일상을 상세히 살펴보며, 조선시대부터 대한제국 시기까지 궁중 기록화의 총체를 펼쳐 보인다.

목차보기더보기

ㆍ 책을 펴내며

서장 | 궁중기록화 이해의 첫걸음
궁중기록화, 왕과 국가의 특별한 순간을 그림에 담다 | 예제 확립과 전례서 편찬에 공을 들인 조선의 건국자들 | 길吉ㆍ 가嘉ㆍ 빈賓ㆍ 군軍ㆍ 흉凶을 담은 오례, 이를 그린 궁중기록화 | 왕과 관료들이 궁중회화에 둔 첫 번째 가치, 공리적 효능 | 궁중의 다양한 요구를 따른 기록화 제작

제1장 | 궁중행사도의 시작
고려말 신흥사대부의 계회 | 조선시대 관료들에게로 이어진 동류의식, 그리고 계 결성의 확산 | 계축에서 계첩과 계병으로, 변화하는 형식 | 관료들의 계회도에서 국가 행사의 기념화로 | 반드시 들어가는 좌목, 충효심과 자부심 가득한 서문 | 만민화친의 장, 연향도로 시작한 궁중행사도 | 궁중행사도 이본의 가치, 〈서총대친림사연도〉

제2장 | 숙종 시대의 궁중행사도

임진왜란 끝난 뒤 100년, 활기를 띠기 시작한 궁중연향도 제작
숙종 대에 이르러 안정을 찾은 궁중 예연 | 100여 년 만에 다시 열린 외연, 〈인정전진연도첩〉 | 숙종의 50세 축하 진연, 〈숭정전진연도〉

숙종의 기로소 입소를 그림으로 기록한 ≪기사계첩≫
조선시대 국로 우대 기관, 기로소 | 태조의 고사를 계승하여 입기로소를 단행한 숙종 | 행사 전모를 온전하게 글과 그림으로 재현한 ≪기사계첩≫ | 서로 같은 듯 또는 다르게 그려진 여섯 점의 ≪기사계첩≫

행사도 계병의 유행을 예고한 인사행정 기념 병풍
17세기 초 인물화와 산수화로 시작한 계병 | 행사도를 절충한 계병의 시작, 왕이 친림한 인사행정을 그린 친정도 | 친정을 기념한 가장 이른 현존작, ≪숙종신미친정계병≫ | 병조만 제작에 참여한 ≪경종신축친정계병≫

제3장 | 영조 시대의 궁중행사도

영조, 조선 후기 예제의 기틀을 다시 세우다
왕조의 성사를 중흥시킨 영조 | 기록화에 높은 관심을 보인 영조

영조의 기로소 입소를 그림으로 기록한 ≪기사경회첩≫
51세에 기로소에 들어간 영조 | 숙종의 ≪기사계첩≫을 그대로 따라 만든 ≪기사경회첩≫ | ≪기사경회첩≫에 담긴 내용과 특징

궁중연향도로 보는 영조의 재위 반세기
어느 왕대보다도 다양하게 펼쳐진 연향 | 영조의 기로소 입소를 칭경한 진연, 〈숭정전갑자진연도병〉 | 영조의 종친 우대와 관아 사연, 〈종친부사연도〉 | 영조의 잦은 영수각 참배와 기로소의 계첩 제작 | 즉위 40주년을 기념하여 처음 시행한 진작례, ≪영조을유기로연ㆍ경현당수작연도≫| 60년 만에 같은 날짜, 같은 장소에서 되살린 진연의 기록, ≪영조병술년진연도병≫ | 신하들에게 내린 빈번한 선온과 사찬

다양한 방식으로 계속된 친정도의 유행
글씨 병풍 속에 절충된 친정 장면, 〈영조을묘친정후선온계병〉 | 새롭게 등장한 친정도 화첩

왕과 신하의 활쏘기 의례를 되살려 시각화한 영조
대사례 절차의 정비와 명문화 | ≪대사례도≫에 담긴 내용과 특징

경복궁 옛터를 왕조의 정통성 강화에 활용한 영조
임진왜란 이후 폐허가 된 경복궁에서 거행한 행사 | 옛 궁궐 터에서 처음 치른 행사, 〈친림광화문내근정전정시시도〉 | 태종의 고사를 근정전 터에서 되살린 연향, 〈영묘조구궐진작도〉

안민安民의 구현을 위해 공을 들인 준천
만세에 기어질 치적, 개천의 정비 사업 | 두 가지 유형의 계첩에 담은 준천 사업의 자초지종 | 영조의 명으로 이룩한 ‘어제준천계첩’을 제작한 화원 | 어제준천계첩의 내용과 특징 | 갱진준천계첩의 내용과 특징

영조, 조선시대 가장 흥미롭고 역동적인 궁중행사도를 남기다
궁중행사도의 궁중 내입, 제작 관행을 바꾼 영조 | 궁중행사도의 대표 형식으로 정착한 병풍 | 영조 대 궁중행사도의 회화적 특징

제4장 | 정조 시대의 궁중행사도

세자의 위상 강화를 위한 노력과 행사기록화
세자를 위한 관청, 세자시강원의 승격 | 동궁 권역 정비와 중희당 건립 | 정조의 맏아들 세자 책봉을 기념한 ≪문효세자책례계병≫

예문의 정확한 실행을 위한 향의도병의 정비
전례 의주의 시각화와 활용의 중요성 | 새롭게 시도한 제사 의식 도병, 경모궁향의도병
종묘와 사직단의 향의도병 | ≪종묘향의도병≫의 내용과 제작 시기

정조의 기획력으로 탄생한 궁중행사도의 꽃, ≪화성원행도병≫
아버지 탄신 60주년, 어머니 회갑을 기념하는 아들의 정성과 철저한 준비 | 을묘년 원행의 모든 것을 기록한 『원행을묘정리의궤』 | 정조의 특별한 주문 제작, 내입도병과 정리소 계병 | 규장각 차비대령화원에게 맡겨진 병풍 제작 | 18세기 후반의 회화 역량이 집약된 ≪화성원행도병≫

정조 연간 궁중행사도에 등장한 새로운 변화
화원 그림의 도약, 연폭 병풍의 자유로운 활용 | 서양화법의 수용과 사실적 표현의 성취

제5장 | 순조~고종 시대의 궁중행사도

궁궐 건축화의 완성, 〈동궐도〉
궁궐 건축화의 전성기, 그 정점을 찍은 〈동궐도〉 | 〈동궐도〉의 제작 시기와 화원 | 두 점 〈동궐도〉의 같은 점, 다른 점 | 19세기, 대형 궁궐 건축화가 유행한 시기

세자시강원의 동궁 의례 시각화
효명세자의 성균관 입학 의례, ≪왕세자입학도첩≫ | 효명세자의 교육 평가 의례, ≪회강반차도첩≫ | 왕세자 관례 의식의 도해, ≪수교도첩≫| 왕권 강화와 효명세자 관련 행사기록화의 성행

19세기는 궁중연향도의 전성기
왕실 어른의 장수와 잦은 궁중예연 | 순조 연간의 궁중연향도 | 헌종 연간에 확립된 19세기 연향도병의 전형, ≪헌종무신진찬도병≫ | 고종 연간의 궁중연향도 | 다각적 모색으로 확립한 19세기 연향도병의 특징

왕조의 권위를 표상하는 전정 의례, 진하도
진하례 절차의 변천과 도상의 특징 | 행사장을 정면에서 내려다보는 정면부감도법의 진하도 병풍 | 행사장을 한쪽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보는 평행사선부감도법의 진하도 병풍

제6장 | 대한제국 시기의 궁중행사도

1897년, 대한제국 수립 이후 황실의 연향도

헌종의 계비, 명헌태후의 망팔과 ≪고종신축진찬도병≫
대한제국 시기 유일한 진찬례의 준비 | 대한제국 시기에도 계속된 내입계병과 당랑계병의 제작 | ≪고종신축진찬도병≫의 내용과 특징

황제가 된 고종의 오순 칭경과 ≪고종신축진연도병≫

고종 황제의 기로소 입소를 기념한 ≪고종임인사월진연도병≫
진연의 준비와 도병 제작 | 조선의 왕으로는 네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기로소에 들어가는 의례를 그린 행사도 | 기로소 입소를 경축하는 연향도

고종 즉위 40년을 축하하는 ≪고종임인십일월진연도병≫

대한제국 시기 궁중연향도병의 특징
19세기 형식과 방법을 계승한 연향의 준비와 시행 | 의궤 제작과 도식의 기화 | 황제국의 위상에 맞는 의물과 의장, 정재의 변화 | 의궤와 도병의 구도와 시점

부록
ㆍ 주
ㆍ 자료
ㆍ 참고문헌
ㆍ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