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서명
 근대한국학의 뿌리와 갈래 : 서양 선교사, 일본 관학자, 조선 지식인을 연결하기 또는 다시 뒤섞기
청구기호
 951-24-37
저자
 육영수 지음
역자
 
발행사항
 돌베개(2024)

도서요약정보보기더보기

식민지 근대화론과 수탈론으로 포착할 수 없는 한국 근현대사의 새로운 국면을 밝힌다. 서양 선교사의 한국에 대한 이해,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한 조선총독부와 일본인 학자의 조선학 만들기, 조선 지식인의 조선학 연구가 어떻게 근대한국학 담론을 따로 또 같이 형성했는지를 계보학과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재구성한다.

목차보기더보기

감사의 말
머리말

1부. 서양 선교사와 근대한국학의 첫 물결

1장. 서양 선교사와 근대한국학의 (재)발명
1. 19세기 중·후반 한국학 터 닦기: 전사前史(prequel)
2. 프랑스 가톨릭 선교사의 한국학 발명: 달레와 리델
3. 영·미 프로테스탄트 선교사의 한국학 재발명: 로스와 그리피스

2장. 한국학의 국제화와 콘텐츠 생산·개발의 포럼: 『코리안 리포지터리』와 『코리아 리뷰』
1. 19세기 말 한국학의 국제적 네트워크 만들기
2. 『코리안 리포지터리』에 투영된 한국학의 성격과 특징
3. 『코리아 리뷰』와 한국 속담 및 민담 채집
4. ‘선교사 제국주의’ 지식-권력의 도구로서의 근대한국학?

3장. 한국학 전문화와 시스템 만들기, 1900~1940년: 영국왕립아세아학회 한국지부
1. 영국왕립아세아학회 한국지부 창립과 영-미 네트워크의 강화
2. 『트랜잭션』의 콘텐츠와 주요 성격
3. 연구 주제의 개척과 확장: 생태·환경의 역사
4. 연구논문의 새로운 형식과 글쓰기 전략
5. 미래 한국학 전문가의 인큐베이터

4장. 19세기 말~20세기 전반 서양 선교사의 한국 문화예술 담론 만들기
1. 한국 문학의 기원과 품성 따지기: 게일-헐버트 논쟁
2. 선교사 2세대의 한국 미술 및 음악 비평
3. 한국 문화예술사의 시대 구분과 정전 만들기

5장. 서양 선교사와 근대 한국 민속 연구의 제1물결
1. 서양 선교사의 초창기 민속 연구 개척
2. 존스와 헐버트, 민속 연구의 확장과 심화
3. 한국 민속 연구 첫 물결의 알갱이와 쭉정이

2부. 식민지 시기 조선학 연구의 계보

6장. 일본제국의 ‘앎에의 의지’와 근대한국학의 제1.5물결
1. 근대 ‘일본제국’의 발명과 식민지 연구
2. 일본제국의 조선학 지식-권력 제작 공정에 끼어들기
3. 조선총독부의 조선학 골격 세우기
4. 은유적 기표인 근대한국학 제1.5물결의 지형도

7장. 비교사적 시각으로 재조명한 일본제국의 식민지 통치술
1. 서구제국의 식민지 통치 모델
2. 일본제국의 서구제국 식민지 통치 방식 응용하기
[톺아 읽기] 조선총독부의 조선학 길라잡이

8장. 조선학 연구 1세대와 한국 근대 지식인의 탄생
1. 조선학 연구 1세대: 이능화, 최남선, 안확
2. ‘식민지 계몽주의’를 넘어서
3. 한국 근대 지식인의 탄생과 조선학 연구의 세대 교체

9장. 아카데미 조선학의 제도화와 구별 짓기: 경성제국대학
1. 개교 100주년을 돌아보기
2. ‘제국’대학의 설립과 일본인 ‘공무원-지식인’의 등장
3. 경성제국대학의 식민지 지식-권력 만들기
4. 경성제국대학 조선인 졸업생과 조선학 연구

10장. 조선 미술사 연구의 제2물결: 고유섭 찾아가기
1. 일본 미술사의 거울에 비친 한국 미술사
2. ‘외국인’ 미술평론가 눈에 비친 조선 미술: 야나기 무네요시와 안드레아스 에카르트
3. 독자적 조선 미술사 서술을 위한 출사표?: 고유섭
4. 연결하기 또는 다시 뒤섞기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