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열기
원문아이콘이 없는 자료는 국회도서관에 방문하여 책자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목차보기더보기
Title Page
Contents
Abstract 5
국문초록 7
Abbreviations 11
I. Introduction 12
II. Materials and Methods 16
1. Patients and pleural fluid collection 16
2. RNA extraction and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qPCR) 17
3. Immunoassay for CEA 18
4. Statistical analysis 18
III. Results 19
1. Patient characteristics 19
2. Expression levels of miR-134, miR-185, miR-22, and CEA in BPE and LA-MPE 19
3. Correlation between miRNAs and CEA expression levels 20
4. Diagnostic performance of miR-134, miR-185, miR-22, and CEA for LA-MPE 20
IV. Discussion 32
V. Conclusion 35
VI. References 36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opulations 22
Table 2. Sensitivity, specificity, areas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AUROC) for miR-134, miR-185, miR-22, CEA and combinations of these markers in lung adenocarcinoma-associated malignant pleural effusion 23
Figure 1. Expression levels of U6 small nuclear RNA(snRNA) in the pleural effusion 24
Figure 2. Comparison of (A) miR-134, (B) miR-185, (C) miR-22 expression levels, and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in benign pleural effusion (BPE) and lung adenocarcinoma-associated malignant pleural effusion (LA-MPE) 25
Figure 3. Correlation between miRNAs' expression and CEA level in pleural effusion 28
Figure 4.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UROC) curve analysis 30
초록보기 더보기
폐암 환자에서 악성 흉수는 병기 결정에 있어 제 4 병기로 분류되며, 불량한 예후가 예측되므로 이의 정확하고 적절한 진단은 매우 중요하다. 악성 흉수의 진단에 있어 흉수에서 얻어진 여러 가지 바이오마커, 특히 세포외 microRNA (miRNA) 가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에서 폐암에서 의미 있는 발현 이상을 보였던 miRNA들 (miR-134, miR-185, miR-22) 이 폐선암 악성 흉수에서 진단적 표지자로서 유용할 것인지에 대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총 대상 흉수 검체 87개 중 45개는 폐선암 악성 흉수, 나머지 42개는 양성 흉수 검체였으며, 위 세가지 miRNA의 발현정도는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miRNA 및 악성 흉수에서 현재까지 가장 유용한 종양표지자로 알려진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의 유용성을 분석, 비교하기 위해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ROC) 값을 산출하였다. 세 개의 miRNA (miR-134, miR-185, miR-22) 모두가 양성 흉수에 비해 폐선암 악성 흉수에서 의미있게 그 발현이 감소되어 있었다 (P〈0.001). 폐선암 악성 흉수의 진단에 대한 miR-134, miR-185, miR-22, CEA의 각각의 AUROC 값은 0.721, 0.882, 0.832, 0.898 이었다. 세 개의 miRNA를 모두 조합하여 분석한 AUROC값은 0.893 (95% 신뢰구간: 0.808-0.949) 으로 향상되어 CEA의 AUROC값에 상응하는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이때의 민감도는 73.3%, 특이도는 97.6%를 보였다. CEA와 세 개의 miRNA를 함께 조합하여 분석한 결과, AUROC값은 0.942 (95% 신뢰구간: 0.864-0.982), 특이도 92.5%, 민감도 91.9%로 특히 민감도에 있어 더욱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흉수에서 얻어진 세포외 miR-134, miR-185, miR-22가 기존의 CEA와 함께 분석되는 경우 CEA의 상대적으로 낮은 민감도를 보완하여 폐선암 악성 흉수와 양성 흉수의 감별진단에 있어 더욱 유용한 진단적 가치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원문구축 및 2018년 이후 자료는 524호에서 직접 열람하십시요.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