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열기
원문아이콘이 없는 자료는 국회도서관에 방문하여 책자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목차보기더보기
Title Page
초록
Abstract
Contents
1. Introduction 10
2. Materials and Methods 19
2.1. Animals 19
2.2. Cell preparations, RNA isolation and cDNA synthesis 19
2.3. Cloning of chicken CD122 (chCD122) 20
2.4. Northern blot 23
2.5. Expression of the chCD122 transcript in cell lines and normal tissues 23
2.6. Modulation of the chCD122 transcript in splenic leukocytes 24
3. Results 25
3.1.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chCD122 25
3.2. Genomic structures of chCD122 31
3.3. Expression analysis of the chCD122 transcript by Northern blot 33
4. Discussion 36
5. References 39
Fig. 1. The mode of interaction of interleukin-2 and interleukin-15 with the subunits of their receptors. 14
Fig. 2. Overview of the 5'RACE. 22
Fig. 3. Molecular features of chCD122 cDNAs. 27
Fig. 4. Molecular features of chCD122 cDNAs (A) and hydrophobicity plots of chCD122 (B). 28
Fig. 5. Comparison of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CD122 (chicken and mammalian). 29
Fig. 6. Comparative gene location map between the regions in chicken, human and mouse. 30
Fig. 7. Schematic comparison of the genomic structures of chicken and mammalian CD122 genes. 32
Fig. 8. Expression analysis of the chCD122 transcript by Northern blot. 35
초록보기 더보기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싸이토카인 중, Interleukin-2 (IL-2) 와 Interleukin-15 (IL-15) 는 T cell growth factor 로 잘 알려져 있다. IL-2 와 IL-15 는 역할을 하기 위해서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특정 수용체에 결합해야 하며, 이들의 수용체는 α-chain, β-chain 그리고 γ-chain 으로 이루어져 있다. α-chain, β/γ-chain 복합체 그리고 α/β/γ-chain 복합체로 수용체를 구성하며, 이 중 α/β/γ-chain 복합체로 존재할 때 high affinity 수용체를 만들어 세포내로 신호를 가장 잘 전달한다. 포유류에서 α-chain, β-chain 및 γ-chain 을 규명하여 각각 CD25, CD122, CD132 로 명명되어있다.
IL-2 와 IL-15 수용체에서, 신호전달을 하는 것은 CD122 (β-chain) 와 CD132 (γ-chain) 이다. 하지만, 닭의 CD122 는 규명되지 않아, IL-2 와 IL-15 및 수용체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다. 본 연구에서는 닭에서 CD122 를 규명하여 포유류의 CD122 와의 유사성과 역할을 규명하고자 했다.
닭의 CD122 는 포유류와 28%의 identity 를 가졌고, 34%의 유사성을 가졌으며 신호를 전달하는 분자와 결합할 수 있는 지역들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닭 CD122 exon/intron 구조는, 포유류에서와 같이 10 개의 exon 과 9 개의 intron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Northern blot 결과, 면역기관에서의 CD122 발현이 많았지만, bursa 는 특이적으로 적었다. 또한 비장세포의 Con A activation 시, CD122 의 발현이 증가한 것으로 보아 CD122 는 면역세포의 분화 및 활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이 연구를 통해 밝혔다.
원문구축 및 2018년 이후 자료는 524호에서 직접 열람하십시요.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국회전자도서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