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열기
원문아이콘이 없는 자료는 국회도서관에 방문하여 책자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5
제1장 서론 7
제2장 Nicolas de Grigny의 Veni Creator 9
2.1. N. de Grigny의 생애와 오르간 9
2.2. N. de Grigny의 작품과 Registration 10
2.3. Veni Creator 작품해설 13
제3장 J.S. Bach의 Passacaglia and Fuga in c minor, BWV 582 18
3.1. J.S. Bach의 생애와 오르간 음악 18
3.2. Passacaglia and Fugue in c minor, BWV582 중 Passacaglia 작품해설 19
3.3. Passacaglia and Fugue in c minor, BWV582 중 Fugue 작품해설 26
제4장 F.Mendelssohn의 Sonata Op.65 No.4 28
4.1. F.Mendelssohn의 생애와 음악 28
4.2. 6개의 Organ Sonata Op.65 29
4.3. Sonata Op.65 No.4 B ♭ Major 작품해설 30
제5장 Maurice Durufle의 Suite, Op.5(이미지참조) 35
5.1. Maurice Durufle의 생애와 음악(이미지참조) 35
5.2. Maurice Durufle의 Suite, Op.5 작품해설(이미지참조) 36
제6장 결론 42
참고문헌 44
ABSTRACT 45
초록보기 더보기
이 논문은 본인의 석사과정 졸업연주의 곡목인 N. de Grigny의 Veni Creator, J.S. Bach의 Passacaglia and Fugue in c minor, BWV 582, F. Mendelssohn의 Sonata Op.65, No.4 그리고 M. Durufle의 Suite Op.5의 작곡가와 작품에 대한 해설이다.
N. de Grigny(1632-1714)는 프랑스 고전오르간 시대를 대표하는 한 사람으로서 그의 Latin Hymn 중 Veni Creator를 통해 프랑스 고전시대의 특색 있는 registraion과 연주기법을 살펴볼 수 있다.
J.S. Bach(1685-1750)는 그의 많은 오르간 작품들 가운데 여러 형식을 사용하였으나 파사칼리아라는 형식으로는 Passacaglia and Fugue in c minor, BWV 582 하나만을 남겼다. 이 작품을 통하여 바흐가 새로운 음악을 향한 개혁자가 아니라, 이전시대의 음악형식을 통하여 바로크 음악양식을 꽃피운 종합완성자로서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F. Mendelssohn(1809-1847)는 바흐를 비롯한 이전 시대의 음악양식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연구했던 작곡가로서 19세기 초기의 즉흥연주 양식과 함께 바로크, 고전 및 낭만적 요소들을 혼합하여 나타내고 있다. 그의 6개의 오르간 소나타 Op.65를 통하여, 전통적인 기법에 기초하여 낭만적인 음악의 영향아래 나타난 음악의 양식을 살펴보았다.
M. Durufle(1902-1986)는 20세기의 프랑스의 오르가니스트 및 작곡가, 교육가, 그리고 교회음악가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13곡의 오르간 작품을 남겼는데 그중 Suite, Op.5을 통해 17, 18세기의 바로크 음악형식인 Suite의 전통적인 형식에 첨가된 20세기의 현대적인 기법을 살펴보였다.
원문구축 및 2018년 이후 자료는 524호에서 직접 열람하십시요.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국회전자도서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