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요한 세바스챤 바흐의 「Toccata, Adagio and Fugue in C Major (BWV 564)」 분석연구 / 김은경
발행사항
군포 : 한세대학교 대학원, 2005.8
청구기호
TM 786.8 ㄱ814ㅇ
형태사항
vii, 62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556348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세대학교 대학원, 오르간, 2005.8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국문목차

표제지=0,1,4

목차=i,5,2

악보목차=iii,7,3

표목차=v,9,1

논문개요=vi,10,2

I. 서론=1,12,2

II. 바로크 기악음악의 양식적 고찰=3,14,1

1. 소나타(Sonata)=3,14,2

2. 콘체르토(Concerto)=5,16,4

3. 토카타(Toccata)=8,19,5

4. 푸가(Fugue)=12,23,3

III. 바흐의「Toccata, Adagio and Fugue in C Major (BWV564)」에 나타난 각 나라의 음악적 특징=15,26,1

1. 이탈리아=15,26,5

2. 북부 독일=19,30,5

3. 프랑스=23,34,4

IV.「Toccata, Adagio and Fugue in C Major(BWV 564)」의 분석=27,38,1

1. Toccata=27,38,14

2. Adagio=40,51,6

3. Fugue=45,56,8

V. 결론=53,64,3

참고문헌=56,67,5

Abstract=61,72,2

(악보1) 3악장 구조=15,26,1

(악보2) 대조의 개념 사용(mm.40∼42)=16,27,1

(악보3) 16분 음표, 32분 음표의 빠른 음형=17,28,1

(악보4) 소나타의 악기구성과 같은 구조로 된 Adagio=18,29,1

(악보5) 페달의 음형(mm.1∼3)=18,29,1

(악보6) 프레스코발디의「불협화음과 계류음의 토카타(Toccata didurezze et ligature)」=19,30,1

(악보7) 북부 독일 음악에 나타난 페달 솔로=20,31,1

(악보8) 에코 기법=21,32,2

(악보9) 손 건반과 페달의 대화기법=22,33,2

(악보10) Adagio에 나타나는 장식음=25,36,1

(악보11) 지그 리듬으로 작곡된 작품=26,37,1

(악보12) 구분되는 토카타=28,39,1

(악보13) 페달 솔로(mm.13∼31)=29,40,1

(악보14) 주제부 음형=30,41,1

(악보15) m.25, m.32=31,42,1

(악보16) 라인켄의 소나타에 의한 바흐의 건반 소나타와 오르간 토카타와 비교=32,43,2

(악보17) 페달 음형과 음형 b=33,44,1

(악보18) mm.32-38=34,45,1

(악보19) mm.38-44=35,46,1

(악보20) 세 번째 악구(mm.44∼50)=36,47,1

(악보21) mm.50-58=37,48,1

(악보22) 다섯 번째 악구=37,48,1

(악보23) 여섯 번째 악구(mm.61-67)=38,49,1

(악보24) 일곱 번째 악구(mm.67∼71)=39,50,1

(악보25) 솔로 같은 페달과 화성적인 진행의 손 건반(mm.72∼74)=39,50,1

(악보26) 종지 전 버금 딸림 단조 사용(mm.81∼84)=40,51,1

(악보27) 구부되는 Adagio(m.1, m.22∼23)=40,51,1

(악보28) Adagio의 구조=41,52,1

(악보29) Adagio에 나타난 장식음(m.1, m.7)=42,53,1

(악보30) mm.2, 7, 14, 18, 20(18마디와 같음)=43,54,1

(악보31) mm.22∼31=44,55,1

(악보32) Grave의 화성 변화=44,55,1

(악보33) 페달의 화성진행(mm.23∼29)=45,56,1

(악보34) 푸가의 주제 부분(m.1∼4, m.8∼10)=46,57,1

(악보35) 대선율 음형(m.11∼13)=46,57,1

(악보36) 3번의 동형진행(mm.1∼6)=47,58,1

(악보37) 에피소드 부분(mm.37∼40)=47,58,1

(악보38) 연결구(m.52)=48,59,1

(악보39) m.43, m.71=48,59,1

(악보40) 교환이 일어난 악구(mm.72∼74)=49,60,1

(악보41) 스트레토 기법(mm.81∼91)=49,60,1

(악보42) 짧은 에피소드 부분(mm.96∼99)=49,60,1

(악보43) mm.100∼102=50,61,1

(악보44) 반음계적 전조(mm.122∼123)=50,61,1

(악보45) m.123, mm.129∼130=51,62,1

(악보46) 페달 솔로(mm.132∼133)=51,62,1

(악보47) C음의 페달 포인트(mm.135∼138)=52,63,1

(표1) 바흐에 의해 편곡된 비발디의 10곡의 콘체르토=8,19,1

(표2) 리토르넬로 형식의 비교=16,27,1

(표3) 악곡 구성=27,38,1

(표4) 2악장의 조성=41,52,1

(표5) 푸가의 형식구조=45,56,1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