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서론 20
1.1. 연구의 배경 및 개요 20
1.2. 연구의 체계 및 활용방안 29
1.2.1. 연구 추진체계 29
1.2.2. 연구의 활용 방안 30
제2장 주택화재의 위험요인 조사·분석 34
2.1. 주택의 종류와 유형분류 34
2.2. 주택화재연구 38
2.2.1. 주택화재 발생 특성 38
2.2.2. 주요 주택화재 사례 48
2.2.3. 주택화재 실험 자료 49
2.3. 주택의 내장재 위험성 분석 59
2.4. 주택화재 안전성능평가 시뮬레이션 64
2.5. 화재취약 집단에 대한 소방안전대책 72
2.5.1. 맞벌이 가정에 대한 소방안전대책 72
2.5.2. 소외 계층에 대한 소방안전대책 78
2.5.3. 도심 외곽의 아파트에 대한 소방 안전대책 79
2.6. 주택화재 시 거주자의 피난 특성 81
2.6.1. 피난행동의 단계별 특성 81
2.6.2. 피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83
2.6.3. 피난행동의 본능적 특성 85
2.7. 공동주택의 화재단계별 안전대응 시스템 87
제3장 선진 외국의 주택화재예방제도 분석 92
3.1. 미국의 주택화재 특성 및 화재예방 92
3.2. 영국의 주택화재 특성 및 화재예방 108
3.3. 일본의 주택화재 특성 및 화재예방 115
3.4. 주택화재경보기 설치효과 사례 122
3.5. 외국의 사례를 통한 시사점 125
제4장 공동주택 발코니 구조변경기준 검토 130
4.1. 공동주택의 발코니 구조변경 기준 검토 130
4.1.1. 공동주택 발코니 확장에 따른 위험성 분석 130
4.1.2. 발코니 구조변경 기준의 문제점 146
4.1.3. 소방시설 설치방안 147
4.2. 공동주택 피난 개선 방안 151
4.2.1. 공동주택 피난의 개요 151
4.2.2. 공동주택 피난 개선방안 160
제5장 주택화재안전 관련 실태 조사·분석 168
5.1. 설문조사의 개요 168
5.2. 주택화재안전의 실태 169
5.2.1. 설문 응답자의 개요 169
5.2.2. 화재안전 의식 및 대응 의지 173
5.3. 주택화재안전 개선방안 186
5.4. 아파트 거주자의 화재 인식도 조사 187
5.4.1. 조사범위 및 방법 187
5.4.2. 조사 결과 188
5.4.3. 분석 및 제언 190
제6장 주택의 최적 소방시스템 구축 제안 194
6.1. 외국 단독형 연기경보기 관련 기준 194
6.2. 주거용 스프링클러설비기준 제안 208
6.3. 공동주택 리모델링 시 스프링클러 설치방안 214
6.4. 주택화재예방을 위한 안전관리대책 217
6.4.1. 미국(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17
6.4.2. 스웨덴(Sweden) 220
6.4.3. 뉴질랜드(New Zealand) 221
6.4.4. 한국 222
6.4.5. 화재안전 매뉴얼 제안 226
제7장 결론 230
7.1. 종합 분석 230
7.2. 주택화재안전기준의 제안 234
참고문헌 242
부록 248
부록 1. 주택화재예방을 위한 설문조사 248
부록 2. 자문 의견 255
부록 3. 일본 감지기 설치 고시(번역) 259
부록 4. 국내 화재안전 매뉴얼 제안 285
부록 5. 해외 화재안전관리 매뉴얼 288
[표 1-1] 10년간의 화재 통계(1996~2005) 21
[표 1-2] 국내 화재발생 장소 순위(1993~2005년) 22
[표 1-3] 주택과 아파트의 연령별 인명피해 분석(2002년) 24
[표 1-4] 국내 노인인구 증가 통계자료 25
[표 2-1] 건축법상 주택의 유형(건축법시행령 제3조 별표 1) 34
[표 2-2] 주거의 종류별 유형 및 거주인원 현황 35
[표 2-3] 최근 10년간 장소별 화재발생 증감 율 / 순위 39
[표 2-4] 최근 10년간 장소별 화재발생 순위 40
[표 2-5] 최근 10년간 화재 발생 건수(1994~ 2003) 40
[표 2-6] 최근 10년간 사망·부상자(1996~2005) 41
[표 2-7] 장소·원인별 인명피해 발생현황 42
[표 2-8] 월별·장소별 사망·부상자 발생현황 44
[표 2-9] 장소·시간대별 사망·부상자 발생 현황 45
[표 2-10] 원인·시간대별 사망· 부상자 발생현황 46
[표 2-11] 장소·연령별 사망·부상자 발생 현황 47
[표 2-12] 1990년대 이후 주요 주택화재 개요 48
[표 2-13] 벽지의 종류 61
[표 2-14] 벽지의 성능 및 특성비교 61
[표 2-15] 주택의 부위 별 마감재료 사용실태 63
[표 2-16] 각 위치별 연기감지기의 작동시간과 연기층 1.8m 도달시간 69
[표 2-17] 도심 외곽의 아파트 화재안전 대안 80
[표 3-1] 2001년 미국의 화재건수 및 용도별 재산손실 93
[표 3-2] 2001년 미국의 건물용도별 화재건수 및 용도별 재산손실 94
[표 3-3] 미국의 화재발생 및 사상자 현황(1992~2001) 95
[표 3-4] 용도별 내부 벽 및 천장 마감재 107
[표 3-5] 영국의 총 화재·주택화재 건수(1992~2002) 109
[표 3-6] 영국의 연도별 연기경보기 보급률 111
[표 3-7] 영국의 연기경보기의 성능 현황 112
[표 3-8] 영국 내 연기경보기 타입별 현황 112
[표 3-9] 영국의 연기경보기와 사상자간의 관계 분석 113
[표 3-10] 영국의 연기감지기 오작동 분석 114
[표 3-11] 주택화재에서 연기감지기가 작동하지 않은 경우(타임과 원인별) 114
[표 3-12] 연기경보기는 작동하였으나 경보가 울리지 않은 경우 115
[표 3-13] 일본의 연도별 화재발생 현황 117
[표 3-14] 2002년 주택화재 출화 건수 117
[표 3-15] 발화원별 화재건수 118
[표 3-16] 2002년 일본 주택화재 사망자 현황 119
[표 3-17] 2002년 일본 주택화재 부상자 현황 120
[표 4-1] 각 평형의 거실 내부 및 창문 치수 140
[표 4-2] 화재하중 15㎏/m² 적용 시 각 평형에 대한 계산 결과 141
[표 4-3] 화재하중 20㎏/m² 적용 시 각 평형에 대한 계산 결과 141
[표 4-4] 화재하중 25㎏/m² 적용 시 각 평형에 대한 계산 결과 141
[표 4-5] 화재하중 30㎏/m² 적용 시 각 평형에 대한 계산 결과 142
[표 6-1] 연기경보기와 단독 경보형 감지기 비교 198
[표 6-2] 단독형 화재경보기 설치비용(상용 전원 연결방식) 203
[표 6-3] 스프링클러 온도 설정 209
[표 6-4] 간이스프링클러의 방식 비교 211
[표 6-5] 미국 전역의 원인별 주택화재 통계 217
[그림 1-1] 주택화재 현장과 인명구조 20
[그림 1-2] 10년간의 화재 발생건수의 변화(1996~2005) 21
[그림 1-3] 장소별 화재 발생건수(2005년) 22
[그림 1-4] 국내 노인 인구 증가 추세 25
[그림 1-5] 주택화재 예방을 위한 제도 연구 27
[그림 2-1] 단독주택 36
[그림 2-2] 다가구주택 37
[그림 2-3] 다세대주택 37
[그림 2-4] 연립주택 37
[그림 2-5] 건물 내 주택 38
[그림 2-6] 최근 10년간 화재발생 추이(96년~05년) 39
[그림 2-7] 거실의 온도변화 50
[그림 2-8] 안방의 온도변화 51
[그림 2-9] 발코니 및 외벽의 온도변화 52
[그림 2-10] 일산화탄소와 산소의 농도 변화 52
[그림 2-11] 1층 평면도 55
[그림 2-12] 2층 평면도 56
[그림 2-13] 지하층 평면도 56
[그림 2-14] 1층 가구 배치도 57
[그림 2-15] 1층 측정 장치 위치 57
[그림 2-16] 1층에서의 온도측정결과(거실) 58
[그림 2-17] 1층에서의 온도측정결과(식당) 58
[그림 2-18] RSET(Egress Modeling)과 ASET(Smoke Modeling) 64
[그림 2-19] 모델링 평면도(37평형 아파트) 66
[그림 2-20] 매트리스 화재실험 67
[그림 2-21] 대상 공간의 구성 67
[그림 2-22] 평면상 화원 및 감지기 위치 68
[그림 2-23] 연기층 측정을 위한 TC의 위치 69
[그림 2-24] 시간경과에 따른 연기층 높이 변화 70
[그림 2-25] 거실의 연기 확산(60초경과시) 70
[그림 2-26] 대상 평면과 피난인의 위치 71
[그림 2-27] 서울 강동구 주택 화재 평면도 73
[그림 2-28] 피난행동단계별 흐름도 81
[그림 2-29] 피난행동과 관련된 인적 요인 84
[그림 2-30] 공동주택의 화재안전대응 시스템 87
[그림 3-1] 연기경보기 설치위치(단층형 주택) 96
[그림 3-2] 연기경보기 설치위치(다층형 주택) 97
[그림 3-3] IBC의 그룹 R의 연기감지기 설치 위치 98
[그림 3-4] 미국에서 연기경보기의 보급률과 주택화재 사망자수의 관계 99
[그림 3-5] IRC 비상용 개구부의 규격 103
[그림 3-6] IRC Window wells 104
[그림 3-7] IRC 계단 폭 규정 105
[그림 3-8] IRC 계단 규정 105
[그림 3-9] IBC 계단의 단 높이와 너비 규정 106
[그림 3-10] 일본에서 주택화재에 의한 사망자수와 고령자 비율 116
[그림 4-1] 발코니 확장시 창문을 통한 화재와 연기의 확산 131
[그림 4-2] 수직 및 수평 화염 길이 139
[그림 4-3] 평형별 평면도 139
[그림 4-4] 수식 계산용 템플렛 140
[그림 4-5] 평형 별 화염 높이의 변화 143
[그림 4-6] 발코니 개조 전 후의 화염분출 비교 145
[그림 4-7] 발코니 개조 전 후 화염분출 비교 145
[그림 4-8] 수직 방화 판과 수평 방화 판 설치 시 화염 중심선의 궤적 148
[그림 4-9] IBC 704 Flame Barriers 기준 148
[그림 4-10] 아파트 발코니 확장 시 방화 판 설치 안 149
[그림 4-11] 아파트 발코니 확장을 고려한 스프링클러 설치 150
[그림 4-12] 발코니 전면에 대피 공간설치(세대 당 2㎡) 153
[그림 4-13] 후면 발코니 대피 공간 설치 153
[그림 4-14] 주방후면 대피 공간 설치 153
[그림 4-15] 방을 대피공간으로 한 경우 154
[그림 4-16] 경기도 양주 아파트 화재발생 세대 평면도 156
[그림 4-17] 피해자 대기 장소(안방 발코니) 157
[그림 4-18] 확장된 거실과 안방 발코니 사이 문 157
[그림 4-19] 인접세대에서 확인된 비상탈출구를 가로막은 수납가구 158
[그림 4-20] 침실의 화재 전소 상황 158
[그림 4-21] 천장의 콘크리트 폭렬현상으로 인한 박리 및 철근노출 159
[그림 4-22] 화재 층과 상부 층의 발코니 유리 파괴 상황 159
[그림 4-23] 화재발생 세대 직상 층의 발코니 전경 160
[그림 4-24] 일반 간이형 완강기와 설치 현황 161
[그림 4-25] 동시에 6명 피난이 가능한 완강기 161
[그림 4-26] 국내에서 판매 중인 피난 사다리 162
[그림 4-27] 아파트 발코니에 설치하는 피난 사다리 163
[그림 4-28] 아파트 발코니의 수직통로(일본) 163
[그림 4-29] 아파트 발코니에 설치하여 외부로 피난하는 사다리 164
[그림 5-1] 설문자의 성별 169
[그림 5-2] 설문자의 연령 170
[그림 5-3] 설문자의 거주지역 170
[그림 5-4] 설문자의 소득수준 171
[그림 5-5] 설문자의 세대구성원 수 172
[그림 5-6] 설문자의 가족구성원 중 흡연자 수 172
[그림 5-7] 설문자의 주거유형 173
[그림 5-8] 설문자의 화재경험 174
[그림 5-9] 설문자의 주거공간에 대한 화재 위험도 인식 174
[그림 5-10] 설문자의 화재원인에 대한 위험도 인식 175
[그림 5-11] 설문자의 소방안전교육 경험 176
[그림 5-12] 주거 유형별 소방안전교육 매체 176
[그림 5-13] 소방안전에 관한 정보를 접하는 방법 177
[그림 5-14] 화재에 대비해 가지고 있는 품목 177
[그림 5-15] 주택과 아파트의 화재대비 비치품목 178
[그림 5-16] 화재대피계획의 유무 178
[그림 5-17] 화재대피계획 적용 시 소방안전 정보의 사용 유무 179
[그림 5-18] 무료 소방안전점검제도의 인식 180
[그림 5-19] 주택화재 두 방향 피난 인식도 180
[그림 5-20] 주택용 단독 경보형 감지기 인식도 181
[그림 5-21] 주택 단독 경보형 감지기의 필요성 인식도 182
[그림 5-22] 단독 경보형 감지기의 적정 가격에 대한 인식 182
[그림 5-23] 발코니 확장 실태 183
[그림 5-24] 발코니 확장에 따른 위험석 인식 184
[그림 5-25] 발코니 안전에 대한 투자 의지 184
[그림 5-26] 발코니 확장에 따른 안전시설의 의무화 185
[그림 5-27] 아파트 거주자의 화재 및 피난안전 의식도 조사 187
[그림 5-28] 조사 대상 아파트 187
[그림 5-29] 피난안전의식 조사결과 188
[그림 5-30] 피난경로 선택 및 화재 시 초기행동 188
[그림 5-31] 거주유형 분류 및 피난의식 189
[그림 5-32] 항목별 피난의식 비교분석 189
[그림 6-1] Single-Station 주거용 연기경보기 195
[그림 6-2] Multi-Station 주거용 연기경보기 196
[그림 6-3] 단독형 연기 감지기(홍콩 엑스포) 199
[그림 6-4] 단독형 연기 감지기(국내 제품) 199
[그림 6-5] 단독형 화재경보기 설치 기준 201
[그림 6-6] 국내 P사 주거용 스프링클러 살수범위 208
[그림 6-7]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 패키지(국내 P사 제품) 211
[그림 6-8] 상수도 직결형(국내 K사 제품) 212
[그림 6-9] 주택용 스프링클러의 설치 위치 예 213
[그림 6-10] 플랙시블 배관을 사용한 헤드 설치 215
[그림 6-11] 플랙시블 배관을 사용한 헤드 설치 세부도 216
[그림 6-12] THIS IS FIRE 219
[그림 6-13] ESCAPE PLANNING 220
[그림 6-14] 스프링클러 설치 여부에 따른 화재상황의 비교 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