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발간사 3
Abstract 10
요약 20
제1장 서론 27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8
1. 연구의 필요성 28
2. 연구의 목적 32
제2절 연구 방법 33
1. 연구의 틀 33
2. 연구 방법 34
제2장 이론적 고찰 36
제1절 보건의료 환경의 변화와 보건의료정책 전환 37
1. 고령화와 건강의 결정 요인 37
2. 건강행동 변화를 위한 정책과 사업 변화의 필요성 40
제2절 운동과 건강 및 의료이용에 관한 선행연구 46
1. 운동의 건강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 46
2. 운동의 의료이용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 53
제3절 우리나라의 예방 중심 건강관리정책 55
1.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 운동정책의 변화 동향 55
2.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증진사업 64
3. 지역보건의료계획 65
4. 건강생활실천 관련 지자체의 정책 동향 67
제4절 주요 국가의 예방 중심 건강관리정책 70
1. 국제적 정책 동향 70
2. 주요 국가의 건강증진정책 74
3. 주요 국가의 운동정책 현황 82
제3장 계량분석 방법 87
제1절 연구 자료 88
제2절 연구 변수 88
제3절 계량 모델 추정 방법 94
제4장 운동의 건강 수준 영향 분석 97
제1절 기초분석 98
제2절 운동의 건강 수준 영향 분석 100
1. 운동에 따른 와병 경험률의 차이 100
2. 운동 유형에 따른 와병일수의 차이 103
3. 운동 유형에 따른 만성질환 상태 지수 차이 105
4. 운동 유형에 따른 주관적인 건강 상태 지수 차이 109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112
제5장 운동의 의료이용 영향 분석 114
제1절 기초분석 115
제2절 운동의 의료이용 경험률 영향 분석 117
1. 운동 유형에 따른 의료이용 경험률의 차이분석 117
2. 운동 유형에 따른 입ㆍ내원일수의 차이 125
3. 운동 유형에 따른 총 본인부담 의료비 차이 135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145
제6장 운동 모델 분석 147
제1절 기초분석 148
제2절 운동 경험률 모델 분석 149
제3절 운동량 모델 분석 158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166
제7장 신체활동 증진 전략 167
제1절 근거 기반 전략 168
1. 공식적으로 권장되고 있는 전략들 169
제2절 적용 가능한 전략 186
1. 신체활동의 유익으로 알려진 것들 186
2. 신체활동의 관련 요인들 이해 188
3. 보건의료계의 적용 가능한 전략들 192
제8장 요약 및 결론 195
참고문헌 203
판권기 2
〈표 2-1〉 HP 2020의 내용 58
〈표 2-2〉 중앙부처 및 시ㆍ군ㆍ구의 건강증진사업 체계 현황 68
〈표 2-3〉 타 부처 건강증진 관련 정책 현황 69
〈표 2-4〉 SDGs, NCDs, Health Plan of Korea 73
〈표 2-5〉 HP 2020의 총괄 목표, 측정 범주 및 지표 76
〈표 2-6〉 National health plan of USA, Japan and Korea 78
〈표 3-1〉 건강 수준 모델형 91
〈표 3-2〉 의료 요구 관점의 의료 모델 92
〈표 3-3〉 운동 모델 93
〈표 4-1〉 운동 유형별 의료 요구 및 건강생활실천 행위 관련 기초통계 99
〈표 4-2〉 와병(Sickness) 여부에 대한 프로빗 모델의 추정치 101
〈표 4-3〉 운동 유형별 지난 1개월 동안의 와병 경험률 차이 102
〈표 4-4〉 MLE를 이용한 결과방정식인 와병일수 모델의 추정치 104
〈표 4-5〉 운동 유형별 와병일수(Sick Day) 차이 105
〈표 4-6〉 MLE를 이용한 결과방정식인 만성질환 상태 지수 모델의 추정치 107
〈표 4-7〉 운동 유형별 총 만성질환 상태 지수 차이 108
〈표 4-8〉 MLE를 이용한 결과방정식인 본인의 주관적인 건강 지수 모델의 추정치 110
〈표 4-9〉 운동 유형별 총 본인 인식의 주관적인 건강 지수 차이 112
〈표 5-1〉 운동 유형별 의료이용량 관련 기초통계 116
〈표 5-2〉 외래이용 여부에 대한 프로빗 모델의 추정치 118
〈표 5-3〉 입원이용 여부에 대한 프로빗 모델의 추정치 120
〈표 5-4〉 응급이용 여부에 대한 프로빗 모델의 추정치 122
〈표 5-5〉 운동 유형별 의료이용 경험률 추정치 124
〈표 5-6〉 MLE를 이용한 결과방정식인 외래 방문 횟수 모델의 추정치 126
〈표 5-7〉 MLE를 이용한 결과방정식인 외래 방문 횟수 모델의 추정치(로그변환) 127
〈표 5-8〉 MLE를 이용한 결과방정식인 입원 재원일수 모델의 추정치 129
〈표 5-9〉 MLE를 이용한 결과방정식인 입원 재원일수 모델의 추정치(로그변환) 130
〈표 5-10〉 MLE를 이용한 결과방정식인 응급일수 모델의 추정치 131
〈표 5-11〉 MLE를 이용한 결과방정식인 응급일수 모델의 추정치(로그변환) 132
〈표 5-12〉 운동 유형별 입ㆍ내원일수의 비교 134
〈표 5-13〉 운동 유형별 입ㆍ내원일수의 비교(종속변수와 운동변수 로그변환 모델) 134
〈표 5-14〉 MLE를 이용한 결과방정식인 외래의료 본인부담비용 모델의 추정치 137
〈표 5-15〉 MLE를 이용한 결과방정식인 외래 본인부담비용 모델의 추정치(로그변환) 138
〈표 5-16〉 MLE를 이용한 결과방정식인 입원의료 본인부담비용 모델의 추정치 139
〈표 5-17〉 MLE를 이용한 결과방정식인 입원 본인부담비용 모델의 추정치(로그변환) 140
〈표 5-18〉 MLE를 이용한 결과방정식인 응급의료 본인부담비용 모델의 추정치 141
〈표 5-19〉 MLE를 이용한 결과방정식인 응급 본인부담비용 모델의 추정치(로그변환) 142
〈표 5-20〉 운동 유형별 의료 유형별 본인부담비용 비교 144
〈표 5-21〉 운동 유형별 본인부담 의료비 비교(종속변수와 운동변수 로그변환 모델) 145
〈표 6-1〉 운동 모델 관련 기초통계 148
〈표 6-2〉 운동 경험 모델 추정치 154
〈표 6-3〉 격렬한 운동 경험 모델 추정치 155
〈표 6-4〉 중등도 운동 경험 모델 추정치 156
〈표 6-5〉 걷기 운동 경험 모델 추정치 157
〈표 6-6〉 총운동량 모델 추정치 162
〈표 6-7〉 격렬한 운동량 모델 추정치 163
〈표 6-8〉 중등도 운동량 모델 추정치 164
〈표 6-9〉 걷기 운동량 모델 추정치 165
〈표 7-1〉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활동적 생활환경 조성 전략 169
〈표 7-2〉 신체활동을 늘리기 위한 행동 및 사회적 접근: 개인 맞춤형 건강행동 변화 프로그램의 공식 정의와 평가 결과(CPSTF, 2002) 182
〈표 7-3〉 개입의 정의와 태스크포스 공식 결과 185
[그림 1-1] OECD 회원국 중 평균수명이 가장 많이 증가한 한국 29
[그림 1-2] 연구의 기본 틀 33
[그림 2-1] 건강의 결정 요인과 관련된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효과 진단 개념도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