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Ⅰ.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12
2. 연구목적 14
3. 용어의 정의 14
A. 환자 돌봄 팀 14
B. 협력(Collaboration) 14
Ⅱ. 문헌고찰 16
1. 간호사와 환자 돌봄 팀 16
2. 간호사와 환자 돌봄 팀의 협력 측정 19
Ⅲ. 연구의 이론적 기틀 25
1. 관계 조정 이론(Relational Coordination Theory) 25
2.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 28
Ⅳ. 연구방법 29
1. 연구설계 29
2. 연구절차 29
A. 도구 개발 단계 31
B. 도구 검증 단계 36
3. 자료분석 38
4. 윤리적 고려 39
Ⅴ. 연구결과 40
1. 도구 개발 단계 40
A. 도구의 구성요소 도출 40
B. 예비문항 구성 64
C. 도구의 척도 결정 67
D. 내용타당도 검정 67
E. 예비조사 84
2. 도구 검증 단계 85
A. 본 조사 85
B. 도구의 평가 88
C. 최종 측정 도구 확정 104
Ⅵ. 논의 107
1. 측정도구의 구성요인 107
A. [요인 1] : 관계 형성 109
B. [요인 2] : 의사소통 110
C. [요인 3] : 업무 및 갈등 조정 111
2. 연구의 의의 112
A. 간호 교육 측면 112
B. 간호 실무 측면 112
C. 간호 연구 측면 113
Ⅶ. 결론 및 제언 114
참고문헌 117
Abstract 133
부록 135
[부록 1] 이론적 연구단계 분석 대상 문헌 출처 135
[부록 2]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심의결과 통지서 138
[부록 3] 본 조사 설문지 139
[부록 4] 연구도구 사용 승인확인서 145
〈표 1〉 협력 측정도구 22
〈표 2〉 이론적 연구단계 분석 대상 문헌 41
〈표 3〉 이론적 연구단계 분석 결과 47
〈표 4〉 심층면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간호사, 간호조무사, 간병지원인력) 50
〈표 5〉 심층면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환자) 50
〈표 6〉 심층면담 질문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수간호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간병지원인력 대상 51
〈표 7〉 심층면담 질문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입원 환자 대상 52
〈표 8〉 심층면담 분석 결과 64
〈표 9〉 도출된 예비문항 66
〈표 10〉 1차 내용타당도 결과 69
〈표 11〉 2차 내용타당도 결과 75
〈표 12〉 3차 내용타당도 결과 80
〈표 13〉 내용타당도 평가 결과 수정된 도구 83
〈표 14〉 예비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84
〈표 15〉 예비조사 결과 85
〈표 1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87
〈표 17〉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한 문항의 기술통계 89
〈표 18〉 전체 문항-총점 간 상관계수 90
〈표 19〉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93
〈표 20〉 델파이 조사, 탐색적 요인분석 후 영역, 속성 비교 96
〈표 21〉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한 문항의 기술통계 97
〈표 22〉 전체 문항-총점 간 상관계수 98
〈표 23〉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의 모수 추정치 100
〈표 24〉 모형의 적합도 지수 102
〈표 25〉 측정 도구의 하위요인 간 상관관계 102
〈표 26〉 간호사의 환자 돌봄 팀원과의 협력 측정도구와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의 상관관계 103
〈표 27〉 간호사의 환자 돌봄 팀원과의 협력 측정도구 요인별 신뢰도 104
〈표 28〉 최종 확정된 간호사의 환자 돌봄 팀원과의 협력 측정도구 105
[그림 1] 관계 조정 이론 25
[그림 2] 관계 조정 협력 기전 27
[그림 3] 간호사의 환자 돌봄 팀원과의 협력 개념적 기틀 28
[그림 4] 간호사의 환자 돌봄 팀원과의 협력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절차 31
[그림 5] 문헌검색 흐름도 33
[그림 6] 요인분석에 따른 스크리 도표 92
[그림 7]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