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11
제2절 연구목적 및 의의 13
제3절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14
제2장 기존문헌 고찰 16
제1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16
1. SNS의 개념 16
2. SNS의 발전과정 19
3. SNS의 종류 및 특징 22
4. SNS 이용 현황 26
제2절 SNS 이용동기와 이용행태 30
1. 동기(motive)의 개념 30
2. 미디어 이용과 충족이론(Uses anf Gratification Theory) 31
3. SNS 이용동기에 대한 선행연구 32
4. SNS 이용행태의 분류 35
5. SNS 이용행태에 대한 선행연구 37
제3절 SNS의 콘텐츠 평가기준 38
1. SNS의 콘텐츠 평가기준 분류 39
2. SNS의 콘텐츠 평가기준의 개념 정의 46
제3장 연구가설과 연구방법 48
제1절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48
1. 연구가설 48
2. 연구모형 54
제2절 연구방법 55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55
2. 설문의 구성 55
3. 변수의 측정 57
4. 분석 방법 60
제4장 분석 결과 61
제1절 표본의 특성 61
제2절 변수의 타당성과 신뢰성 63
1. SNS의 이용행태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 63
2. SNS의 이용동기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 66
3. SNS의 콘텐츠 평가기준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 68
4. SNS의 태도 및 만족도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 70
제3절 가설검증 결과 71
1. SNS의 이용동기가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 71
2. SNS의 이용행태가 콘텐츠 평가기준에 미치는 영향 78
3. SNS의 이용동기가 SNS 콘텐츠 평가기준에 미치는 영향 83
4. 추가 분석 결과: SNS의 태도 및 만족도가 콘텐츠 평가기준에 미치는 영향 87
제5장 결론 91
제1절 연구결과 요약 91
제2절 연구의 의미 및 시사점 93
제3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94
참고문헌 95
초록 103
국문초록 103
영문초록 105
설문서(국문) 107
설문서(중문) 118
〈표 2-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의 정의 17
〈표 2-2〉 중국에서의 SNS 정의 18
〈표 2-3〉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2012)의 국내 SNS 유형 분류 23
〈표 2-4〉 중국 SNS의 유형 분류 25
〈표 2-5〉 중국의 주요 SNS 플랫폼 현황 29
〈표 2-6〉 동기(motive)에 대한 선행연구의 정의 30
〈표 2-7〉 SNS의 이용동기 33
〈표 2-8〉 SNS 이용행태 따른 유형 분류 36
〈표 2-9〉 SNS 이용행태에 대한 정의 38
〈표 2-10〉 SNS 콘텐츠 평가기준의 차원 40
〈표 2-11〉 SNS 시스템 차원의 평가 요인 42
〈표 2-12〉 SERVQUAL 모형의 구성요인 43
〈표 2-13〉 SNS 서비스 차원의 평가 요인 44
〈표 2-14〉 SNS 정보 차원의 평가 요인 45
〈표 2-15〉 SNS 감성 차원의 평가 요인 46
〈표 2-16〉 SNS 콘텐츠 평가 차원 및 평가 요인 47
〈표 3-1〉 SNS 이용동기와 이용행태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 49
〈표 3-2〉 SNS 이용행태와 SNS 특성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 52
〈표 3-3〉 본 연구의 조사설계 55
〈표 3-4〉 본 연구의 설문항목 구성 56
〈표 3-5〉 본 연구 각 변수들의 측정 항목 57
〈표 4-1〉 표본의 일반적인 특성 62
〈표 4-2〉 SNS의 이용행태 측정 항목들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결과 64
〈표 4-3〉 SNS의 이용동기 측정 항목들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결과 67
〈표 4-4〉 SNS 콘텐츠의 평가기준 측정 항목들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결과 69
〈표 4-5〉 SNS의 태도 및 만족도 측정 항목들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결과 70
〈표 4-6〉 SNS 이용동기와 이용행태 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72
〈표 4-7〉 SNS 이용행동에 따라 낮음과 높음 구분 73
〈표 4-8〉 SNS 이용행동 낮음과 높음 집단 간 이용동기의 평균 차이 분석 74
〈표 4-9〉 SNS의 이용동기가 SNS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 76
〈표 4-10〉 가설 H1, H2 검정 결과 77
〈표 4-11〉 SNS 이용행태와 SNS 콘텐츠 평가기준 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78
〈표 4-12〉 SNS 이용행동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 간 콘텐츠 평가기준의 평균 차이 분석 80
〈표 4-13〉 SNS의 이용행태가 SNS 콘텐츠 평가기준에 미치는 영향 81
〈표 4-14〉 가설 H3, H4 검정 결과 83
〈표 4-15〉 SNS 이용동기와 SNS 콘텐츠 평가기준 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83
〈표 4-16〉 SNS의 이용동기가 SNS 콘텐츠 평가기준에 미치는 영향 86
〈표 4-17〉 가설 H5, H6 검정 결과 87
〈표 4-18〉 SNS 태도 및 만족도와 콘텐츠 평가기준 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88
〈표 4-19〉 SNS 콘텐츠 평가기준이 SNS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89
(그림 1-1) 연구의 구성 15
(그림 2-1) 국내 SNS 발전과정 20
(그림 2-2) 세대별 SNS 이용 현황 27
(그림 2-3) DeLone & McLean IS 성공모형(2003) 39
(그림 3-1) 연구모형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