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4
제1장 서론 16
제2장 이론적 배경 21
1. 사회불안증상 21
가. 사회불안증상의 개념 및 사회불안장애의 진단기준 21
나. 사회불안증상의 특징 23
다. 사회불안증상의 발병 요인 25
2. 아동기의 정서적 돌봄 부족 26
가. 아동기의 정서적 돌봄 부족의 개념 및 특징 26
나. 아동기의 정서적 돌봄 부족과 심리적 증상의 관계 30
다. 아동기의 정서적 돌봄 부족과 사회불안증상의 관계 32
3.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 34
가.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의 개념 및 특징 34
나. 아동기의 정서적 돌봄 부족과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의 관계 35
다.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과 사회불안증상의 관계 35
라. 아동기의 정서적 돌봄 부족과 사회불안증상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의 역할 36
4. 자동적 사고 38
가. 자동적 사고의 개념 및 특징 38
나. 긍정적인 자동적 사고 39
다.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과 긍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관계 40
라. 긍정적인 자동적 사고와 사회불안증상의 관계 41
마.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 41
바.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과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관계 42
사.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와 사회불안증상의 관계 42
제3장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44
1. 연구의 필요성과 문제 제기 44
2. 연구 목적 및 가설 47
제4장 연구방법 50
1. 연구대상 50
2. 측정 도구 51
가. 연구 참가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51
나. 아동기의 정서적 돌봄 부족 51
다. 사회불안증상 52
라.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 53
마. 자동적 사고 54
3. 연구 절차 57
4. 분석 방법 58
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58
나.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al equation modeling: SEM) 검증 58
제5장 결과 61
1. 연구 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치 61
가. 연구 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61
나.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치 63
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검증 64
라. 변인들 간 상관관계 65
2. 아동기의 정서적 돌봄 부족과 사회불안증상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과 긍정적 및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순차적 매개역할 모형 검증 67
가. 측정모형 검증 67
나. 아동기의 정서적 돌봄 부족과 사회불안증상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의 단순매개효과 검증 69
다. 아동기의 정서적 돌봄 부족과 사회불안증상의 관계에서 긍정적 및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단순매개효과 검증 70
라. 아동기의 정서적 돌봄 부족과 사회불안증상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과 긍정적 및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순차적 매개역할 검증 71
제6장 논의 77
1. 주요 연구결과 요약 및 해석 77
가. 아동기의 정서적 돌봄 부족,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 긍정적 및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와 사회불안증상의 상관관계 77
나. 아동기의 정서적 돌봄 부족과 사회불안증상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과 긍정적 및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단순매개역할 79
다. 아동기의 정서적 돌봄 부족과 사회불안증상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과 긍정적 및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순차적 매개역할 81
2. 연구 의의 86
가. 연구 및 이론적 측면의 의의 86
나. 임상 실무측면에서의 의의 87
3. 한계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89
참고문헌 92
ABSTRACT 106
부록 109
〈부록 1〉 주요변인별 하위요인의 상관관계 109
〈부록 2〉 SISST Bifactor Model 검증 110
〈부록 3〉 주요변인의 성별 간 평균 차이(t-test) 111
〈부록 4〉 주요변인의 직업 간 차이 112
〈부록 5〉 주요변인의 부 학력 간 차이 114
〈부록 6〉 주요변인의 모 학력 간 차이(5집단) 115
〈부록 7〉 주요변인의 가정의 경제적 수준 간 차이 118
〈부록 8〉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의 단순매개효과 모형 검증 121
〈부록 9〉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긍정적 및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단순매개효과 모형 검증 122
〈부록 10〉 대안모형 124
〈부록 11〉 단순효과모형 125
〈부록 12〉 최종모형의 통제변인 투입 결과 126
〈부록 13〉 순차매개: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과 긍정적인 자동적 사고 128
〈부록 14〉 순차매개: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과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 131
〈부록 15〉 병렬매개: 긍정적 및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 134
표 1. 사회불안장애 DSM-5 진단기준. 23
표 2.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하위요인 30
표 3. 아동기 정서적 돌봄 부족 문항구성 및 신뢰도 52
표 4. 사회불안증상 문항구성 및 신뢰도 53
표 5.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 문항구성 및 신뢰도 54
표 6. 긍정적 및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 문항구성 및 신뢰도 56
표 7. 긍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오메가 계수 및 ECV 값 56
표 8.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오메가 계수 및 ECV 값 56
표 9. 적합도 지수별 수용기준 60
표 10.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N=446) 62
표 11. 변인 별 평균, 표준편차, 왜도 및 첨도, 점수 범위(N=446) 64
표 12. 주요 변인들 간 상관관계 66
표 13. 측정변인의 요인부하량 68
표 14.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을 통한 간접효과 검증 69
표 15. 긍정적인 자동적 사고를 통한 간접효과 검증 70
표 16.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를 통한 간접효과 검증 71
표 17. 각 구조모형들의 적합도 지수 73
표 18. 최종모형의 경로계수와 유의성 검증 75
표 19. 최종모형의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 76
표 20. [부록 1] 주요변인별 하위요인의 상관관계 109
표 21. [부록 2] SISST 각 모형의 모형적합도 110
표 22. [부록 3] 주요변인의 성별 간 평균 차이 111
표 23. [부록 4] 동질성 검증(Leven's) 112
표 24. [부록 4] 차이 검증(일원분산분석- 집단 간) 112
표 25. [부록 4] 직업별 집단 간 차이 사후검증(Bonferroni) 결과 113
표 26. [부록 5] 동질성 검증(Leven's) 114
표 27. [부록 5] 차이 검증(일원분산분석- 집단 간) 114
표 28. [부록 6] 동질성 검증(Leven's) 115
표 29. [부록 6] 차이 검증(일원분산분석- 집단 간) 115
표 30. [부록 6] 모학력별 집단 간 차이 사후검증(Bonferroni) 결과 116
표 31. [부록 6] 차이 검증(Kruskai-Wallis) 117
표 32. [부록 6] 모학력별 집단 간 차이(Kruskai-Wallis) 사후검증(Bonferroni) 결과 117
표 33. [부록 7] 동질성 검증(Leven's) 118
표 34. [부록 7] 차이 검증(일원분산분석- 집단 간) 118
표 35. [부록 7] 가정의 경체적 수준별 집단 간 차이 사후검증(Bonferroni) 결과 119
표 36. [부록 7] 차이 검증(Kruskai-Wallis) 120
표 37. [부록 7] 가정의 경제적 수준별 집단 간 차이(Kruskai-Wallis) 사후검증 (Bonferroni) 결과 120
표 38. [부록 8]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의 단순매개모형 적합도 지수 121
표 39. [부록 8]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의 매개역할 검증 결과 121
표 40. [부록 9] 긍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단순매개모형 적합도 지수 122
표 41. [부록 9] 긍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매개역할 검증 결과 122
표 42. [부록 9]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단순매개모형 적합도 지수 123
표 43. [부록 9]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매개역할 검증 결과 123
표 44. [부록 12] 통제변인을 투입한 최종모형의 모형적합도 126
표 45. [부록 12] 통제변인을 투입한 최종모형의 경로계수와 유의성 검증 127
표 46. [부록 12] 통제변인을 투입한 최종모형의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 127
표 47. [부록 13]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과 긍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순차적 매개모형의 모형적합도 128
표 48. [부록 13]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과 긍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순차적 매개모형의 경로계수와 유의성 검증 129
표 49. [부록 13]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과 긍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순차적 매개모형의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 130
표 50. [부록 14]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과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순차적 매개모형의 모형적합도 131
표 51. [부록 14]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과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순차적 매개모형의 경로계수와 유의성 검증 132
표 52. [부록 14]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과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순차적 매개모형의 경로계수와 유의성 검증의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 133
표 53. [부록 15] 긍정적 및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병렬 매개모형의 모형적합도 134
표 54. [부록 15] 긍정적 및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병렬 매개모형의 경로계수와 유의성 검증 135
표 55. [부록 15] 긍정적 및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병렬 매개모형의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 135
그림 1. Beck 등(1985)의 인지이론에 입각한 역기능적 신념과 자동적 사고의 선후관계 39
그림 2. 아동기 정서적 돌봄 부족과 사회불안증상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과 긍정적 및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순차적 매개역할을 가정한 연구모형 48
그림 3. 대안모형(연구모형에서 직접 효과를 모두 넣은 모형) 49
그림 4. 단순효과를 가정한 모형 49
그림 5. 측정모형의 각 요인계수와 상관계수 67
그림 6. 연구모형과 표준화된 계수 추정치 73
그림 7. 최종모형으로 선정된 수정모형과 표준화된 계수 추정치 74
그림 8. [부록 2] SISST Bifactor 모형 110
그림 9. [부록 8]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의 단순매개효과 검증 121
그림 10. [부록 9] 긍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단순매개효과 검증 122
그림 11. [부록 9]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단순매개효과 검증 123
그림 12. [부록 10] 대안모형과 표준화된 계수 추정치 124
그림 13. [부록 11] 단순효과모형과 표준화된 계수 추정치 125
그림 14. [부록 12] 통제변인을 투입한 최종모형의 표준화된 계수 추정치 126
그림 15. [부록 13]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과 긍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순차적 매개모형의 표준화된 계수 추정치 128
그림 16. [부록 14]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과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순차적 매개모형의 표준화된 계수 추정치 131
그림 17. [부록 15] 긍정적 및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병렬 매개모형의 표준화된 계수 추정치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