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제1장 서론 12
제2장 이론적 배경 15
1. 대인관계 역경 15
2. 대인관계 역경 경험자들의 심리적 증상 양상 18
가. 외상 후 울분증상 및 외상 후 울분장애 18
나. 외상 후 성장 22
3. 대인관계 역경 경험자들의 심리적 증상 양상에 대한 예측변인 25
가. 인구통계학적 변인 25
나. 회복탄력성 26
다.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27
4. 대인관계 역경 경험자들 간 정신적 웰빙과 일상생활 적응 곤란에서의 차이 29
가. 정신적 웰빙 29
나. 일상생활 적응 곤란 30
제3장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1
1. 연구 필요성 및 문제 제기 31
2.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34
제4장 연구 방법 38
1. 연구 대상 38
2. 측정 도구 39
가. 연구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9
나. 대인관계 역경 경험 질문지(Interpersonal Adversity Experience Questionnaire: IAEQ) 39
다. 한국판 외상 후 울분장애 자기보고식 척도(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Self-rating Scale: K-PTED Scale) 39
라. 한국판 베른 울분 검사(Korean version of the Bern Embitterment Inventory: K-BEI) 40
마. 한국판 우울증상 질문지(Korean vers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K-PHQ-9) 41
바. 한국판 분노반응 척도(Korean version of the Dimensions of Anger Reaction-5: K-DAR-5) 41
사.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 확장판(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Revision: K-PTGI-X) 42
아. 한국판 단축형 회복탄력성 척도(Korean version of the Brief Resilience Scale: K-BRS) 43
자. 한국판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척도(Korean version of the Belief in a Just World Scale: K-BJWS) 44
차. 한국판 단축형 정신적 웰빙 척도(Korean version of the Mental Health Continuum Short Form: K-MHC-SF) 44
카. 한국판 일과 사회적 적응 척도(Korean version of the Work and Social Adjustment Scale: K-WSAS) 45
3. 분석 방법 46
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46
나. 한국판 PTEDS의 확인적 요인분석 46
다. 한국판 외상 후 울분장애 자기보고식 척도의 수렴타당도 및 변별타당도 검증 47
라. 잠재프로파일 분석 48
제5장 결과 50
1. 연구 참여자의 특성 50
가. 연구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50
나. 연구 참여자의 대인관계 역경 경험 유형 52
2. 한국판 PTEDS의 확인적 요인분석 54
가. 사전 분석: 요인분석 가능성 검토 54
나. 2요인모형 및 대안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55
다. 최종 요인모형 검토 56
3. 한국판 PTEDS의 신뢰도와 수렴 및 변별타당도 59
가. 한국판 PTEDS의 신뢰도 59
나. 수렴타당도 59
다. 변별타당도 60
다. 수렴 및 변별타당도의 상관계수 차이 비교 검증[내용없음] 6
4. 기술통계치 및 상관분석 62
가. 변인의 기술통계 62
나. 변인 간 상관관계 63
5. 대인관계 역경 경험자들의 외상 후 울분증상과 외상 후 성장에 기초한 잠재프로파일 수 65
6. 대인관계 역경 경험자들의 외상 후 울분증상과 외상 후 성장에 기초한 잠재프로파일 형태 66
7. 대인관계 역경 경험자들의 잠재프로파일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 69
8. 대인관계 역경 경험자들의 잠재계층 간 정신적 웰빙과 일상생활 적응 곤란의 차이 73
제6장 논의 76
1. 결과 요약 및 해석 76
가. 한국판 PTEDS의 요인구조 76
나. 한국판 PTEDS의 내적 일치도와 수렴 및 변별타당도 78
다. 대인관계 역경 외상 후 울분증상과 외상 후 성장에 기초한 잠재프로 파일 형태 79
라. 대인관계 역경 경험자들의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 85
마. 대인관계 역경 경험자들의 잠재프로파일 간 정신적 웰빙과 일상생활 적응 곤란의 차이 89
2. 연구 의의 91
3. 한계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96
참고문헌 98
ABSTRACT 115
부록 118
〈부록 1〉 한국판 PTEDS의 문항 간 상관 119
〈부록 2〉 한국판 PTEDS의 탐색적 요인분석 120
〈부록 3〉 대인관계 역경 경험자의 PTES 및 PTG에 기초한 잠재프 로파일 형태(경과 기간 10년 이내) 122
표 1. PTED와 다른 정신장애와의 비교 20
표 2. 한국판 베른 울분 검사의 각 하위척도별 내적 일치도(Cronbach's α) 41
표 3.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 확장판의 각 하위척도별 내적 일치도(Cronbach's α) 43
표 4. 한국판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척도의 각 하위척도별 내적 일치도(Cronbach's α) 44
표 5. 한국판 단축형 정신적 웰빙 척도의 각 하위척도별 내적 일치도(Cronbach's α) 45
표 6. 적합도 지수별 모형적합도 판단 기준 47
표 7. 잠재프로파일의 잠재집단 분류 적절성에 대한 지표별 판단 기준 49
표 8. 연구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N=433) 51
표 9. 연구 참여자들의 대인관계 역경 경험 특성 53
표 10. 한국판 PTEDS의 KMO 지수와 Bartlett 검정 54
표 11. 2요인모형 및 대안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N=433) 55
표 12. 한국판 PTEDS와 관련 변인들과의 상관 (N=433) 59
표 13. 한국판 PTEDS와 수렴 및 변별타당도의 상관계수 차이 비교 검증 61
표 14. 변인별 평균, 표준편차, 왜도 및 첨도(N=433) 62
표 15.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64
표 16. 잠재프로파일 모형 적합도 분석 결과(N=433) 65
표 17. 잠재계층별 표준화 추정평균 및 원점수 68
표 18. 대인관계 역경 경험자들의 잠재프로파일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 72
표 19. 대인관계 역경 경험자들의 잠재집단 간 정신적 웰빙과 일상생활 적응 곤란의 차이 분석 결과 74
그림 1. PTEDS의 2요인모형 및 대안모형 35
그림 2. 연구의 개념적 틀 37
그림 3. 한국판 PTEDS의 단일요인모형 58
그림 4. 대인관계 역경 경험자의 PTES와 PTG에 기초한 잠재프로파일 형태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