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실제를 파악하여 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한계점을 논의한 후 그 대안으로서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외국인고용허가제를 통해 한국에 입국한 이주 노동자의 체류 기간은 장기화되고 있으며 한국의 이민정책은 사회통합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이들의 한국 사회적응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한국 정부도 한국어 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여전히 다양한 한계로 인해 제대로 한국어 교육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교육 현장에서 대면 교육과 온라인 교육의 장점을 살려 좀 더 효율적인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되고 있는 블렌디드 러닝을 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로 진행되었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은 서론으로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고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활용할 자료 확보와 함께 본 연구가 갖는 독창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2장은 이론적 논의로서 블렌디드 러닝과 관련한 일반 이론을 살펴본 후 그러한 이론이 외국어 교육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주요 모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이주 노동자 집단의 특성 및 학습 환경, 여건 등 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실제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통해 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한계점을 도출하였다. 4장에서는 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에서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 모색을 위해 학습자인 이주 노동자를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진행하여 이들 대상 한국어 교육에서 블렌디드 러닝 활용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 및 등급 체계 설정, 블렌디드 러닝 활용 관련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5장에서는 위 논의들을 토대로 블렌디드 러닝 교육과정 개발 방향 및 운영 체계, 블렌디드 러닝의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블렌디드 러닝 교육과정은 이주 노동자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함양 및 직장 내 업무 능력 향상을 통한 원만한 직장 생활과 안정적인 한국사회적응을 돕는 것을 목표로 기본 과정과 심화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한 학기 20주 단계별 100시간으로 구성된 수업의 교수·학습 모형은 가상학습 강화 모형으로 학습 단계는 거꾸로 교실 모형을 따른다. 온라인 수업에서는 언어 지식 관련 수업을 대면 수업에서는 언어 기능 관련 수업을 진행한다.
본 연구는 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에서 시·공간의 한계점 극복 및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해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 파악과 블렌디드 러닝 에 대한 학습자들의 요구를 살펴보고자 실시한 설문 조사로 교육 현황 파악과 블렌디드 러닝의 효율성이 입증되었으나 교수·학습 모형 설계에 필요한 세부적인 내용 입증에는 다소 부족한 점이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모형을 현장에 적용하여 실제적 효용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본 연구가 이주 노동자 교육 대상 한국어 교육에 블렌디드 러닝 활용 연구의 시발점이 되어 실제 현장 적용이 가능한 수업 모형의 도출이 진전되고 이주 노동자 교육 현장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성과가 실제 교육으로 실현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