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1. 서론 11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1
1.2. 선행 연구 검토 16
1.2.1. 한국어 어휘 교육에 관한 연구 16
1.2.2. 사회문화적 관점의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 23
1.2.3. 화용론적 관점의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 25
1.3. 연구 범위 및 내용 26
2. 화맥에 따른 유의어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31
2.1. 유의어 개념과 성격 31
2.2. 유의어의 기능 35
2.3. 화맥에 따른 유의어 분석 39
2.3.1. 유의어 분석에 대한 화용론적 접근법 39
2.3.2. 유의어 의미 분류법 41
2.4. 화맥에 따른 유의어의 교육적 의의 44
2.4.1. 실제성 44
2.4.2. 효용성 46
3. 연구 방법 50
3.1. 한국어 교육 자료 분석 50
3.1.1. 교육 자료 선정 51
3.1.2. 어휘 추출 과정 54
3.1.3. 어휘 분석 기준 및 방법 55
3.2. 모어 화자의 유의어 사용 양상 분석 61
3.2.1. 실험 참여자 선정 61
3.2.2. 사용 양상 분석 63
3.3. 한국어 학습자의 유의어 사용 양상 분석 67
3.3.1. 실험 참여자 선정 67
3.3.2. 사용 양상 분석 69
4. 결과 분석 및 논의 73
4.1. 모어 화자의 유의어 사용 양상 결과 분석 73
4.1.1. 모어 화자의 유의어 사용 양상 73
4.1.2. 사회언어학적 변인과 사용 양상 76
4.1.3. 모어 화자의 유의어 사용 양상 원인 80
4.2. 한국어 학습자의 유의어 사용 양상 결과 분석 82
4.2.1. 한국어 학습자의 유의어 사용 양상 82
4.2.2. 한국어 학습자의 유의어 사용 양상 원인 87
4.3. 한국어 유의어 학습 및 교실 수업 환경 분석 89
4.3.1. 한국어 교육 자료 분석 89
4.3.2.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 방법 100
4.3.3. 한국어 교사의 교실 수업 환경 분석 105
4.4. 소결 및 시사점 110
5. 유의어 교육의 수업 모형 112
5.1. 유의어 교육의 수업 모형 구상 112
5.2. 유의어 교육 수업의 실제 118
5.3. 화맥에 따른 유의어 교육의 평가 분석 123
5.3.1. 유의어 교육의 사전·사후 조사 123
5.3.2. 한국어 학습자의 유의어 교육 방안의 만족도 분석 126
5.4. 소결 138
6. 결론 및 보완할 점 141
참고문헌 145
부록 159
부록 1. 설문지법A (부정적 화맥 제외) 159
부록 2. 설문지법B (부정적 화맥 포함) 160
부록 3. 한국어 학습자 요구 분석지 181
부록 4. 한국어 교사 요구 분석지 183
부록 5. 유의어 교육 방안 수업 모형의 실제 189
Abstract 199
〈표 1〉 연구 범위 및 내용 28
〈표 2〉 유의어 기능 39
〈표 3〉 한국어 교재 목록 51
〈표 4〉 한국어 어휘 추출 과정 55
〈표 5〉 실험 참여자 정보 62
〈표 6〉 어휘 목록 63
〈표 7〉 실험 참여자 정보 68
〈표 8〉 모어 화자의 유의어 의미 구분 74
〈표 9〉 세대별 어휘의 의미 구분 양상 75
〈표 10〉 실험 참여자의 세대별 결과 76
〈표 11〉 '여성' 실험 참여자의 세대별 결과 78
〈표 12〉 실험 참여자의 직업별 결과 79
〈표 13〉 면담법 분석 결과 81
〈표 14〉 한국어 학습자의 유의어 사용 양상 분석 결과 83
〈표 15〉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항목별 평균값 85
〈표 16〉 면담법 결과 88
〈표 17〉 대학 기관의 한국어 교재 어휘 목록 90
〈표 18〉 TOPIK 평가지 어휘 목록 92
〈표 19〉 선행 연구 어휘 목록 93
〈표 20〉 RC-S 분석 94
〈표 21〉 감성 분석 프로그램의 부정 정도 분석 98
〈표 22〉 한국어 학습자의 설문지 주요 항목 101
〈표 23〉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법 및 요구 사항 분석 결과 102
〈표 24〉 한국어 교사의 설문지 주요 항목 107
〈표 25〉 교실 수업 환경 분석 결과 108
〈표 26〉 유의어 교육 방안의 수업 모형 설계 114
〈표 27〉 유의어 교육 방안의 실제 118
〈표 28〉 유의어 교육 방안의 사전과 사후 대조 분석 124
〈표 29〉 수업 만족도 체크 항목 127
〈표 30〉 수업 만족도 결과 분석 128
〈표 31〉 수업 만족도 항목별 결과 분석 129
〈표 32〉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인터뷰 내용 133
〈그림 1〉 어휘의 계층적 구조 43
〈그림 2〉 SenTiWordNet 3.1 검색 실제 이미지 58
〈그림 3〉 KNU 및 Sometrend 검색 실제 이미지 59
〈그림 4〉 부정 정도 스펙트럼 선택지 65
〈그림 5〉 DCT 설문지법 일부 66
〈그림 6〉 설문지법 일부 71
〈그림 7〉 대화 상황별 모호한 경계 86
〈그림 8〉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 설문지법 일부 101
〈그림 9〉 한국어 교사의 설문지법 일부 107
〈그림 10〉 H 대학 기관의 주간평가일지 일부(좌: 사전/우: 사후)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