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7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7
1.2. 연구 문제 27
1.3. 용어의 정의 28
1.3.1. 행복감 28
1.3.2. 자아탄력성 28
1.3.3. 조직문화 28
1.3.4. 교사효능감 29
1.3.5. 직무만족도 29
2. 이론적 배경 30
2.1. 행복감 30
2.1.1. 행복감의 개념 및 중요성 30
2.1.2. 행복감의 하위요인 35
2.1.3. 영유아 교사의 행복감 관련 선행연구 40
2.2. 자아탄력성 45
2.2.1. 자아탄력성의 개념 및 중요성 45
2.2.2.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50
2.2.3.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 관련 선행연구 53
2.3. 조직문화 56
2.3.1. 조직문화의 개념 및 중요성 56
2.3.2. 조직문화의 하위요인 61
2.3.3. 영유아 교사가 지각한 기관의 조직문화 관련 선행연구 65
2.4. 교사효능감 68
2.4.1. 교사효능감의 개념 및 중요성 68
2.4.2.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 72
2.4.3. 영유아 교사의 교사효능감 관련 선행연구 76
2.5. 직무만족도 79
2.5.1. 직무만족도의 개념 및 중요성 79
2.5.2. 직무만족도 하위요인 82
2.5.3. 영유아 교사의 직무만족도 관련 선행연구 86
2.6. 선행연구 고찰 88
2.6.1.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 조직문화와 행복감 간의 관계 88
2.6.2.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 조직문화와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90
2.6.3.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 조직문화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91
2.6.4. 영유아 교사의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와 행복감 간의 관계 93
3. 연구방법 95
3.1. 연구모형 95
3.2. 연구대상 96
3.3. 연구도구 98
3.3.1. 영유아 교사의 행복감 측정도구 98
3.3.2.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 측정도구 99
3.3.3. 영유아 교사의 조직문화 측정도구 100
3.3.4. 영유아 교사의 교사효능감 측정도구 101
3.3.5. 영유아 교사의 직무만족도 측정도구 102
3.4. 연구절차 103
3.4.1. 예비 조사 103
3.4.2. 본 조사 104
3.5. 자료분석 104
4. 연구결과 107
4.1. 기술통계량 분석 및 정규성 검증 107
4.2. 상관분석 109
4.3.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112
4.3.1. 신뢰도 분석 112
4.3.2. 확인적 요인분석 116
4.4.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123
4.4.1.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 혁신문화, 집단문화,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행복감 연구모형 검증 및 수정 123
4.4.2.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 혁신문화, 집단문화,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행복감 최종모형 검증 128
5. 논의 및 결론 133
5.1. 논의 133
5.1.1.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 조직문화,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및 행복감의 전반적인 경향 133
5.1.2.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 조직문화,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행복감간의 상관관계 139
5.1.3.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 혁신문화, 집단문화,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와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145
5.2. 결론 151
참고문헌 156
ABSTRACT 186
부록 190
〈부록 1〉 행복감 척도 192
〈부록 2〉 자아탄력성 척도 193
〈부록 3〉 조직문화 척도 194
〈부록 4〉 교사효능감 척도 196
〈부록 5〉 직무만족도 척도 198
〈표 2.1〉 학자별 행복감의 개념 32
〈표 2.2〉 학자별 영유아 교사의 행복감 하위요인 35
〈표 2.3〉 Diener(1984)의 주관적 안녕감 하위요인 36
〈표 2.4〉 Ryff(1989)의 심리적 행복감 하위요인 및 내용 38
〈표 2.5〉 Seligman(2011)의 웰빙의 하위요인 및 내용 39
〈표 2.6〉 Argyle(2001)의 행복감 하위요인 및 내용 40
〈표 2.7〉 영유아 교사 행복감 관련 연구주제별 연구변인 42
〈표 2.8〉 영유아 교사 행복감 관련 연구 대상 변인 45
〈표 2.9〉 학자별 자아탄력성 개념 47
〈표 2.10〉 학자별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 하위요인 50
〈표 2.11〉 선행연구들의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통합 52
〈표 2.12〉 Atsushi 외(2002)의 자아탄력성 하위요인 및 내용 53
〈표 2.13〉 영유아 교사 자아탄력성 관련 연구주제별 연구변인 54
〈표 2.14〉 학자별 조직문화의 개념 58
〈표 2.15〉 학자별 조직문화 하위요인 61
〈표 2.16〉 Quinn과 Kimberly(1984)의 조직문화 하위요인 및 내용 63
〈표 2.17〉 이석열(1997)의 조직문화 하위요인 및 내용 65
〈표 2.18〉 영유아 교사 조직문화 관련 연구주제별 연구변인 67
〈표 2.19〉 학자별 교사효능감의 개념 71
〈표 2.20〉 학자별 영유아 교사 교사효능감 하위요인 73
〈표 2.21〉 신혜영(2004)의 행복감 하위요인 및 내용 75
〈표 2.22〉 영유아 교사 교사효능감 관련 연구주제별 연구변인 76
〈표 2.23〉 학자별 직무만족도의 개념 80
〈표 2.24〉 학자별 영유아 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요인 83
〈표 2.25〉 허선영(2005)의 직무만족도 하위요인 및 내용 85
〈표 2.26〉 영유아 교사 직무만족도 관련 연구주제별 연구변인 86
〈표 3.1〉 영유아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97
〈표 3.2〉 영유아 교사의 행복감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번호 및 문항 수 99
〈표 3.3〉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 척도의 하위변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100
〈표 3.4〉 영유아 교사의 조직문화 척도의 하위변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101
〈표 3.5〉 영유아 교사의 교사효능감 척도의 하위변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102
〈표 3.6〉 영유아 교사의 직무만족도 척도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103
〈표 4.1〉 측정변수의 기술통계량 분석 및 정규성 검증 결과 107
〈표 4.2〉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 조직문화,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행복감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111
〈표 4.3〉 측정변수의 신뢰도 분석 결과 113
〈표 4.4〉 측정모형에 대한 적합도 검증 결과 116
〈표 4.5〉 수정된 측정모형에 대한 적합도 검증 결과 119
〈표 4.6〉 수정된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122
〈표 4.7〉 비제약모델과 제약모델 간의 x² 차이 123
〈표 4.8〉 연구모형 적합도 검증 결과 125
〈표 4.9〉 수정모형 적합도 검증 결과 126
〈표 4.10〉 수정모형의 경로계수 추정치 127
〈표 4.11〉 최종모형 적합도 검증 결과 129
〈표 4.12〉 최종모형의 경로계수 130
〈표 4.13〉 영유아 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간의 직, 간접효과 및 총 효과 131
〈표 4.14〉 팬덤변수를 활용한 특정간접효과 분석 결과 132
[그림 1.1] 연구모형 27
[그림 2.1]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상호작용 49
[그림 3.1] 가설적 연구모형 95
[그림 3.2] 연구분석 절차 106
[그림 4.1] 측정모형의 표준화 계수 (N=492) 118
[그림 4.2] 수정된 측정모형의 표준화 계수 (N=492) 120
[그림 4.3] 구조모형 표준화 경로계수 124
[그림 4.4] 수정된 구조모형 표준화 경로계수 126
[그림 4.5] 최종모형 표준화 경로계수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