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5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5
1.1.1. 연구 배경 15
1.1.2. 연구 목적 17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0
1.2.1. 연구 범위 20
1.2.2. 연구 방법 22
제2장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24
2.1. 산업단지 조성 24
2.1.1. 산업단지 개념 및 시대별 입지정책 24
2.1.2. 산업단지 조성현황 및 고용현황 28
2.1.3. 산업단지에 대한 일반적 인식 32
2.2. 산업단지 노후화 36
2.2.1. 노후산업단지 정의와 쇠퇴 원인 36
2.2.2. 노후산업단지 현황과 특성 38
2.2.3. 노후산업단지 정책 검토 43
2.2.4. 산업단지 공간환경의 중요성 46
2.3. 청년친화적인 공간환경 48
2.3.1. 공간환경의 개념과 필요성 48
2.3.2. 좋은 공간환경의 특징과 유형 51
2.3.3. 좋은 공간환경을 위한 공공공간의 역할 54
2.3.4. 공공공간의 종류 및 특징 57
2.3.5. 청년친화적인 공간환경 특징 61
2.4. 선행연구 검토 75
2.4.1. 산업단지 재생 및 재정비에 관한 선행연구 75
2.4.2. 산업단지 공간구조 및 공간환경에 관한 선행연구 78
2.4.3. 청년친화적인 공간특성에 관한 선행연구 80
2.4.4. 연구의 지속성 및 차별성 82
제3장 남동산업단지의 실태분석 84
3.1. 남동산업단지 일반현황 84
3.2. 산업적 특성 현황 분석 85
3.3. 가로환경 현황 분석 90
3.4. 공원녹지 및 공공시설 현황 분석 91
3.5. 대상지 공간환경 개선의 필요성 93
제4장 실증 연구방법 96
4.1. 연구모형 96
4.2. 연구가설의 설정 98
4.3.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100
4.4. 변수의 구성 101
4.4.1. 독립변수 산단 공간인식 구성 및 측정 101
4.4.2. 독립변수 공간선호 유형의 구성 및 측정 104
4.4.3. 종속변수 공간개선의 구성 및 측정 107
4.4.4. 설문지의 구성 및 측정방법 108
4.5. 자료분석 방법 110
제5장 실증 분석결과 111
5.1. 표본의 특성 111
5.2. 변수의 문항별 기술통계량 113
5.2.1. 공간인식 문항의 기술통계 113
5.2.2. 공간선호 문항의 기술통계 114
5.2.3. 공간개선 문항의 기술통계 115
5.2.4. 변수의 신뢰도 검증 116
5.3.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결과 118
5.3.1. 주요 변수별 기술통계량 118
5.3.2. 주요 변수별 상관관계 분석 119
5.4. 주요 변인들의 인식차이 분석결과 121
5.4.1. 산단 공간인식의 차이 121
5.4.2. 공간선호 인식의 차이 124
5.4.3. 공간개선 인식의 차이 127
5.5. 가설검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130
5.5.1. 워라밸 공간개선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130
5.5.2. 성장학습 공간개선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135
5.5.3. 로컬감성 공간개선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141
5.5.4. 가설 검증 요약 146
제6장 청년친화적 공간환경을 위한 개선방안 149
6.1. 청년친화적 공간환경이 갖는 의미 149
6.2. 남동산업단지의 청년친화적 공간환경 개선방안 153
제7장 결론 161
7.1. 연구 결과에 대한 요약 및 시사점 161
7.2. 연구의 한계 166
참고문헌 167
ABSTRACT 175
부록 178
〈표 2.1〉 산업 입지정책과 관련한 시대별 산업단지 조성의 특성 27
〈표 2.2〉 전국 산업단지 조성 현황(2022년 4분기) 29
〈표 2.3〉 노후산업단지 일반현황(2022년 4분기) 39
〈표 2.4〉 전국 지역별 산업단지 및 노후산업단지 현황(2022년 4분기) 40
〈표 2.5〉 노후산업단지 시설분포 40
〈표 2.6〉 도심과의 거리분포 현황 42
〈표 2.7〉 노후산업단지에 대한 정부 사업 44
〈표 2.8〉 좋은 공간환경 유형 54
〈표 3.1〉 남동산업단지 일반 현황 85
〈표 3.2〉 남동산업단지 업종별 입주 현황 86
〈표 3.3〉 남동산업단지 용도별 구획면적 88
〈표 4.1〉 산단 공간인식의 문항 내용 104
〈표 4.2〉 공간선호 변인의 문항 내용 106
〈표 4.3〉 공간개선 변인의 문항 내용 108
〈표 4.4〉 설문지의 구성 및 출처 109
〈표 5.1〉 응답자의 특성별 분포 111
〈표 5.2〉 공간인식 문항에 대한 기술통계 113
〈표 5.3〉 공간선호 문항에 대한 기술통계 114
〈표 5.4〉 공간개선 문항에 대한 기술통계 116
〈표 5.5〉 변수의 신뢰도 검증 117
〈표 5.6〉 변수별 기술통계량 118
〈표 5.7〉 변인별 상관관계 분석결과 120
〈표 5.8〉 산단 공간인식 t-검증 결과 121
〈표 5.9〉 산단 공간인식 ANOVA 검증 결과 122
〈표 5.10〉 공간선호 인식 t-검증 결과 124
〈표 5.11〉 공간선호 인식 ANOVA 검증 결과 125
〈표 5.12〉 공간개선 인식 t-검증 결과 127
〈표 5.13〉 공간개선 인식 ANOVA 검증 결과 128
〈표 5.14〉 워라밸 공간에 대한 공간인식 다중회귀분석(전체) 131
〈표 5.15〉 워라밸 공간에 대한 공간인식 다중회귀분석 132
〈표 5.16〉 워라밸 공간에 대한 공간선호 다중회귀분석(전체) 132
〈표 5.17〉 워라밸 공간에 대한 공간선호 다중회귀분석 133
〈표 5.18〉 워라밸 공간에 대한 공간인식과 공간선호 다중회귀분석(전체) 134
〈표 5.19〉 워라밸 공간개선에 대한 집단별 비교표 135
〈표 5.20〉 성장학습 공간에 대한 공간인식 다중회귀분석(전체) 136
〈표 5.21〉 성장학습 공간에 대한 공간인식 다중회귀분석 137
〈표 5.22〉 성장학습 공간에 대한 공간선호 다중회귀분석(전체) 138
〈표 5.23〉 성장학습 공간에 대한 공간선호 다중회귀분석 139
〈표 5.24〉 성장학습 공간개선에 대한 공간인식과 공간선호 다중회귀분석(전체) 139
〈표 5.25〉 성장학습 공간개선에 대한 집단별 비교표 140
〈표 5.26〉 로컬감성 공간에 대한 공간인식 다중회귀분석(전체) 141
〈표 5.27〉 로컬감성 공간에 대한 공간인식 다중회귀분석 142
〈표 5.28〉 로컬감성 공간에 대한 공간선호 다중회귀분석(전체) 143
〈표 5.29〉 로컬감성 공간에 대한 공간선호 다중회귀분석 143
〈표 5.30〉 로컬감성 공간에 대한 공간인식과 공간선호 다중회귀분석(전체) 144
〈표 5.31〉 로컬감성 공간에 대한 집단별 비교표 145
〈표 5.32〉 가설1 검증 요약 147
〈표 5.33〉 가설2 검증 요약 147
〈표 5.34〉 연구가설 검증결과 148
〈그림 1.1〉 연구의 구성 흐름도 23
〈그림 2.1〉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연령대별 인력구성 및 실제 필요인력 결과 30
〈그림 2.2〉 연령별 산업단지의 일반적 인식 32
〈그림 2.3〉 산업단지가 지역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요인 33
〈그림 2.4〉 산업단지가 지역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요인 34
〈그림 2.5〉 범죄 및 안전사고 불안감을 유발시키는 환경요인 35
〈그림 2.6〉 청년층 문화를 반영한 청년층이 선호하는 공간특성, 참조하여 재구성 74
〈그림 3.1〉 남동산업단지의 과거와 현재 모습 84
〈그림 3.2〉 단지별 구분 계획도 87
〈그림 3.3〉 산업시설구역 용도별 배치도 88
〈그림 3.4〉 남동산업단지 업종별 배치도 89
〈그림 3.5〉 남동산업단지 년도별 시설 노후도 90
〈그림 3.6〉 남동산업단지 공원 및 녹지 현황 92
〈그림 3.7〉 남동산업단지 지원시설 현황 93
〈그림 4.1〉 연구가설 검증을 위한 분석흐름도 97
〈그림 4.2〉 연구모형 97
〈그림 6.1〉 워라밸 공간개선을 위한 영향요인 설계도 156
〈그림 6.2〉 성장학습 공간개선을 위한 영향요인 설계도 158
〈그림 6.3〉 로컬감성 공간개선을 위한 영향요인 설계도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