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5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5
1.1.1. 연구 배경 15
1.1.2. 연구 목적 17
1.2. 연구 범위 및 방법 19
1.2.1. 연구 범위 19
1.2.2. 연구 방법 20
2. 이론적 고찰 23
2.1. 문화와 도시 경쟁력 23
2.1.1. 문화의 개념 23
2.2. 문화와 도시의 패러다임 변화 26
2.2.1. 문화도시의 이론적 논의 26
2.2.2. 창조 도시의 이론적 논의 39
2.2.3. 도시성장과 문화전략 이론 45
2.2.4. 주민 삶의 질과 도시 경쟁력 강화 49
2.3. 도시 경쟁력 강화 요인 55
2.3.1. 협력적 거버넌스 55
2.3.2. 지역정체성 62
2.3.3. 차별화된 지역문화 65
2.3.4. 컬처노믹스 68
2.4. 선행연구 고찰 71
2.4.1.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71
3. 부평 문화도시 비교 사례 분석 76
3.1. 개요 76
3.1.1. 문화도시 부평 76
3.1.2. 문화도시 부평의 사례 분석 78
3.2. 국내외 사례 비교 92
3.2.1. 국내 사례 92
3.2.2. 해외 사례 96
3.3. 사례 분석 결과 종합 101
4. 도시의 문화적 성장요인 분석모형 구축 105
4.1.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105
4.1.1. 연구모형 105
4.1.2. 연구의 가설 106
4.2. 변수의 구성과 조작적 정의 107
4.2.1. 종속변수 107
4.2.2. 독립변수 110
4.2.3. 매개변수 114
4.3.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방법 116
5. 도시의 문화적 성장 분석 결과 120
5.1. 표본의 특징과 측정 도구의 검증 120
5.1.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120
5.1.2. 측정 도구의 검증 122
5.2. 실증연구 분석 결과 124
5.2.1. 변수의 요인과 신뢰도 분석 124
5.2.2. 주요 변인들의 인식 차이 분석 결과 132
5.3. 가설검증 결과 및 논의 143
5.3.1. 가설검증 143
5.3.2. 가설 검증 요약 152
6. 도시의 문화적 성장전략의 실효성 확보 방안 155
6.1. 도시의 창조성 기반 산업과 문화의 상호 연계 157
6.2. 지역민이 공감하는 지역정체성을 기반한 문화적 활동 161
6.3. 차별화된 문화자원 발굴과 적극적 마케팅 165
6.4. 지역정체성을 함께하는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168
6.5. 지역의 성장 기재로서의 컬처노믹스 전략 수립 170
7. 결론 175
7.1. 연구 결과 논의 175
7.2. 연구의 시사점 176
7.3. 연구의 한계 179
참고문헌 180
Abstract 190
부록 194
〈표 1〉 문화도시 정책의 비전과 목표 30
〈표 2〉 문화도시의 전략 소개 32
〈표 3〉 문화도시의 유형별 개념 및 특징 33
〈표 4〉 문화 중심 도시성장의 효과 34
〈표 5〉 문화도시 유형의 개념과 특징 36
〈표 6〉 문화도시 전략의 성공 요인 47
〈표 7〉 도시의 창조적 기반 발전 전략의 세 차원 48
〈표 8〉 OECD의 참여 단계별 주민 참여 유형분석 59
〈표 9〉 문화예술을 도입한 주요 거버넌스 사례연구 61
〈표 10〉 선행연구 72
〈표 11〉 문화적 장소 관련 사업 내용 84
〈표 12〉 문화적 콘텐츠 관련 사업 내용 85
〈표 13〉 문화도시 부평 사업추진 현황 86
〈표 14〉 컬처노믹스 대표 사례지 97
〈표 15〉 컬처노믹스 유형별 전략과 성장요인 103
〈표 16〉 개념적 가설 및 조작적 가설 107
〈표 17〉 삶의 질 개선 변인의 문항 내용 109
〈표 18〉 도시 경쟁력 강화 변인의 문항 내용 110
〈표 19〉 협력적 거버넌스와 변인과 문항의 내용 111
〈표 20〉 지역정체성 변인의 문항 내용 112
〈표 21〉 지역문화 자원 변인의 문항 내용 113
〈표 22〉 컬처노믹스 변인의 문항 내용 115
〈표 23〉 설문지 항목 구성 116
〈표 24〉 자료 분석 방법 119
〈표 25〉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1 120
〈표 26〉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121
〈표 27〉 독립/매개 변인별 요인분석 결과 (타당도 검증) 125
〈표 28〉 종속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126
〈표 29〉 신뢰도 분석 (전체) 128
〈표 30〉 기술 통계량 분석(N=397) 129
〈표 31〉 변인 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N=397) 131
〈표 32〉 집단 간 변인 차이 검증 133
〈표 33〉 결혼 유무에 따른 변인 차이 검증 135
〈표 34〉 자녀 유무에 따른 변인별 인식 차이 검증 136
〈표 35〉 부평의 문화 활동 참여 경험 유무 차이 검증 137
〈표 36〉 연령 별 인식 차이 (일원배치 분산분석) 139
〈표 37〉 직업군에 따른 인식의 차이 검증 141
〈표 38〉 컬처노믹스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144
〈표 39〉 도시 경쟁력에 대한 독립변인의 영향(직접 효과 경로) 145
〈표 40〉 도시 경쟁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146
〈표 41〉 지역주민 삶의 질 개선에 대한 독립변인의 영향 147
〈표 42〉 지역주민 삶의 질 개선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148
〈표 43〉 지역경쟁력에 대한 효과 분해 및 bootstrap 검증 150
〈표 44〉 삶의 질에 대한 효과 분해 및 bootsstrap 검증 151
〈표 45〉 가설 검증 요약 154
〈표 46〉 대표 학자들의 연구 대상과 전략 요인 158
〈그림 1〉 연구 흐름도 22
〈그림 2〉 문화도시 부평의 문화전략도 77
〈그림 3〉 시민의 문화 성장과 실천 88
〈그림 4〉 지속 가능한 문화생태계 구축 89
〈그림 5〉 장소 가치 발굴을 통한 미래가치 창출 90
〈그림 6〉 창조적 문화 생산 구조 강화 90
〈그림 7〉 지역 주체 간의 상호연대 91
〈그림 8〉 문화도시 부평의 문화거점 공간 91
〈그림 9〉 서울 동대문의 디자인플라자 전경 93
〈그림 10〉 문래동의 자원 96
〈그림 11〉 과거와 현재 빌바오구겐하임미술관 모습 98
〈그림 12〉 일본 동경의 미술관 모습 101
〈그림 13〉 연구모형도 106
〈그림 14〉 도시 경쟁력에 대한 경로 모형 149
〈그림 15〉 지역주민 삶의 질에 대한 경로 모형 151
〈그림 16〉 문화도시 부평의 문화적 성장전략 157
〈그림 17〉 문화도시 부평의 거버넌스 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