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8
1.1. 연구의 배경 18
1.2. 연구의 목적 19
1.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1
2. 이론적 고찰 24
2.1. 도시 포용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24
2.1.1. 포용성의 이해 24
2.1.2. 포용적 성장과 포용도시 26
2.2. 정주환경과 사회적 배제에 관한 이론적 고찰 30
2.2.1. 정주공간의 정의 30
2.2.2. 정주의식과 정주환경 32
2.2.3. 정주환경 측면에서의 배제 특성 35
2.3. 포용도시와 회복력에 관한 논의 39
2.3.1. 포용도시와 회복력의 연관성 39
2.3.2. 포용도시를 위한 회복력 적용 사례 42
2.4. 포용적 정주환경의 개념과 특성 47
2.4.1. 포용적 정주환경 의미 47
2.4.2.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포용적 정주환경 특성 49
2.4.3. 포용적 정주환경을 위한 논의 50
2.5. 연구의 차별성과 소결 52
3. 분석의 틀 54
3.1. 분석을 위한 틀 54
3.1.1. 분석의 틀 54
3.1.2. 연구문제 57
3.2. 포용적 정주환경 진단지표 개발 58
3.2.1. 선행지표 개발사례 검토 58
3.2.2. 포용적 정주환경을 위한 진단 지표 영역 정립 76
3.3. 포용적 정주환경 진단지표 개발 과정 78
3.3.1. 예비지표 선정 78
3.4. 포용적 정주환경 진단지표 타당도 검증 84
3.4.1. 전문가 대상 타당성 설문조사 84
3.4.2. 내용 타당도 검증 분석결과 85
3.5. 포용적 정주환경 진단지표 구성 및 최종 선정 87
3.5.1. 포용적 정주환경 진단지표 구성 87
3.5.2. 최종 선정된 포용적 정주환경 진단지표 91
3.6. AHP에 의한 지표의 중요도 분석 93
3.6.1. 전문가 대상 중요도 (AHP) 분석 조사 93
3.6.2. AHP에 의한 지표의 중요도 분석 결과 94
3.7. 소결 101
4. 포용적 정주환경 실증분석 102
4.1. 연구방법론 102
4.1.1. 분석의 흐름과 방법 102
4.1.2. 종합 진단지수 도출 방법 104
4.2. 포용적 정주환경 종합진단지수 분석 105
4.2.1. 지역 종합진단지수 분석 105
4.2.2. 종합진단지수 변화 분포 및 특성 112
4.3. 포용적 정주환경 상태- - 변화에 따른 유형화 116
4.3.1. 유형화 분석 방법 116
4.3.2. 군집분석에 의한 유형 분류 117
4.3.3. 현황상태와 변화추세에 따른 유형화 정의 120
4.4. 포용적 정주환경 유형화 분석 132
4.4.1. 진단지표 분산 분석 132
4.4.2. 유형화에 대한 진단지표 회귀분석 139
4.5. 소결 145
5. 포용적 정주환경 유형화 및 개선방안 148
5.1. 유형 1 지속성장형 148
5.1.1. 영역별 특성 148
5.1.2. 영역별 세부진단지표 특성 149
5.1.3. 유형1 지속성장형 개선방안 155
5.2. 유형2 양호쇠퇴형 157
5.2.1. 영역별 특성 157
5.2.2. 영역별 세부진단지표 특성 158
5.2.3. 유형2 양호쇠퇴형 개선방안 163
5.3. 유형3 양호개선형 166
5.3.1. 영역별 특성 166
5.3.2. 영역별 세부진단지표 특성 167
5.3.3. 유형3 양호개선형 개선방안 172
5.4. 유형4 취약쇠퇴형 175
5.4.1. 영역별 특성 175
5.4.2. 영역별 세부진단지표 특성 176
5.4.3. 유형4 취약쇠퇴형 개선방안 181
5.5. 유형5 취약유지형 186
5.5.1. 영역별 특성 186
5.5.2. 영역별 세부진단지표 특성 187
5.5.3. 유형5 취약유지형 개선방안 192
5.6. 유형6 취약개선형 196
5.6.1. 영역별 특성 196
5.6.2. 영역별 세부진단지표 특성 197
5.6.3. 유형6 취약개선형 개선방안 202
5.7. 소결 205
6. 결론 208
6.1. 연구의 종합 208
6.2. 정책 제언과 연구의 한계 212
참고문헌 215
ABSTRACT 220
부록 225
표 2.1. 사회발전과 정주공간 및 인구이동 방향의 변화 31
표 2.2. 사회적 배제에 대한 연구자별 정의 및 구분요소 36
표 2.3. OECD의 포용도시를 위한 회복력 프레임 42
표 2.4. 랜드연구소의 도시의 회복력 요소들 44
표 2.5. 미국 록펠러재단의 회복력 도시 프레임 44
표 2.6. 회복력 도시의 영역과 지표들 45
표 3.1. 선행지표 목록 58
표 3.2. 국토관리의 지속가능성 지표 59
표 3.3. 도시의 지속가능성 및 생활 인프라 평가지표(2019, 개정) 60
표 3.4. 최종 선정된 지역회복력 진단지표 63
표 3.5. 도시개발 및 관리지표 (2019) 64
표 3.6. 회복력 진단 최종지표 65
표 3.7. 도시의 포용성 측정지표의 체계 67
표 3.8. 서울형 포용도시 지표체계 68
표 3.9. 도시 포용성 평가지표 최종변수 선정결과 70
표 3.10. 포용도시 지표의 구분 및 정의 71
표 3.11. 부산시의 포용실태 관련 주요 지표(2019) 72
표 3.12. 경기도 포용성 분석을 위한 지표체계 73
표 3.13. 인천광역시 포용성 진단을 위한 지표(2022) 74
표 3.14. 포용적 정주환경을 위한 진단 지표별 세부 목표 77
표 3.15. 예비지표 선정 1차 79
표 3.16.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예비 지표 80
표 3.17. 최종 포용적 정주환경 진단지표 83
표 3.18. 타당성 검증을 위한 응답자 특성 84
표 3.19. 측정항목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85
표 3.20. 인구·사회 영역 후보지표 87
표 3.21. 주거·환경 영역 후보지표 88
표 3.22. 안전 영역 후보지표 89
표 3.23. 경제·산업 영역 후보지표 90
표 3.24. 교육·문화 영역 후보지표 90
표 3.25. 의료·복지 영역 후보지표 91
표 3.26. 최종 선정된 포용적 정주환경 진단지표 92
표 3.27. 쌍대비교의 기본척도 94
표 3.28. 상위지표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 95
표 3.29. 인구·사회 영역 하위지표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 96
표 3.30. 주거·환경 영역 하위지표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 96
표 3.31. 안전 영역 하위지표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 97
표 3.32. 경제·산업 영역 하위지표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 98
표 3.33. 교육·문화 영역 하위지표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 98
표 3.34. 의료·복지 영역 하위지표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 99
표 3.35. 전체 지표의 종합중요도 및 우선순위 100
표 4.1. 2020년 종합진단지수(순위별) 106
표 4.2. 2010년 종합진단지수(순위별) 108
표 4.3. 종합진단지수 변화량(순위별) 110
표 4.4. 종합진단지수 분포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112
표 4.5. 서울시 종합진단지수 (2020년 기준 순위별) 113
표 4.6. 인천시 종합진단지수 (2020년 기준 순위별) 114
표 4.7. 경기도 종합진단지수 (2020년 기준 순위별) 115
표 4.8. 2020년 종합진단지수 유형별 현황 (3개 군집) 118
표 4.9. 종합진단지수 현황-변화 최종유형 (6개 유형) 119
표 4.10. 현황상태와 변화추세에 따른 유형화 121
표 4.11. 유형별 영역 특성 (2020년 현황기준) 126
표 4.12. 유형별 영역 세부진단지표 특성 (2020년 현황 기준) 127
표 4.13. 유형별 영역 특성 (변화량 기준) 129
표 4.14. 유형별 영역 세부진단지표 특성 (변화량 기준) 130
표 4.15. 유형별 ANOVA & 사후검정 분석 (2020년 현황 기준) 132
표 4.16. 영역별 ANOVA & 사후검정 분석 (2020년 현황 기준) 132
표 4.17. 지표별 ANOVA & 사후검정 분석 (2020년 현황 기준) 134
표 4.18. 유형별 ANOVA & 사후검정 분석 (변화량 기준) 135
표 4.19. 영역별 ANOVA & 사후검정 분석 (변화량 기준) 135
표 4.20. 지표별 ANOVA & 사후검정 분석 (변화량 기준) 136
표 4.21. 유형별 차이 분석 결과 137
표 4.22. 인구·사회 영역 회귀분석 139
표 4.23. 주거·환경 영역 회귀분석 140
표 4.24. 안전 영역 회귀분석 141
표 4.25. 경제·산업 영역 회귀분석 142
표 4.26. 교육·문화 영역 회귀분석 143
표 4.27. 의료·복지 영역 회귀분석 144
표 5.1. 유형1 지속성장형 영역별 특성 149
표 5.2. 유형1 지속성장형 진단지표 특성 153
표 5.3. 유형1 지속성장형 특성 154
표 5.4. 유형1 지속성장형 주요 문제점과 개선방안 155
표 5.5. 유형2 양호쇠퇴형 영역별 특성 157
표 5.6. 유형2 양호쇠퇴형 진단지표 특성 161
표 5.7. 유형2 양호쇠퇴형 특성 162
표 5.8. 유형2 양호쇠퇴형 주요 문제점과 개선방안 163
표 5.9. 유형3 양호개선형 영역별 특성 166
표 5.10. 유형3 양호개선형 진단지표 특성 170
표 5.11. 유형3 양호개선형 특성 171
표 5.12. 유형3 양호개선형 주요 문제점과 개선방안 172
표 5.13. 유형4 취약쇠퇴형 영역별 특성 175
표 5.14. 유형4 취약쇠퇴형 진단지표 특성 179
표 5.15. 유형4 취약쇠퇴형 특성 180
표 5.16. 유형4 취약쇠퇴형 주요 문제점과 개선방안 181
표 5.17. 유형5 취약유지형 영역별 특성 186
표 5.18. 유형5 취약유지형 진단지표 특성 190
표 5.19. 유형5 취약유지형 특성 191
표 5.20. 유형5 취약유지형 주요 문제점과 개선방안 192
표 5.21. 유형6 취약개선형 영역별 특성 196
표 5.22. 유형6 취약개선형 진단지표 특성 200
표 5.23. 유형6 취약개선형 특성 201
표 5.24. 유형6 취약개선형 주요 문제점과 개선방안 202
표 5.25. 유형별 성장요인과 극복요인 207
그림 1.1. 연구 흐름도 23
그림 2.1. 포용적인 정주환경의 관련요소 53
그림 3.1. 회복력 개념도 55
그림 3.2. 포용적 정주환경 진단지표 도출 56
그림 3.3. 포용적 정주환경 진단지표를 위한 개념적 틀 77
그림 3.4. 최종 포용적 정주환경 진단지표 구조도 82
그림 3.5. AHP 기법의 절차 94
그림 4.1. 연구 분석 과정 103
그림 4.2. 종합진단지수 도출과정 105
그림 4.3. 유형 1. 지속성장형 지역별 유형화 분포도 122
그림 4.4. 유형 2. 양호쇠퇴형 지역별 유형화 분포도 122
그림 4.5. 유형 3. 양호개선형 지역별 유형화 분포도 123
그림 4.6. 유형 4. 취약쇠퇴형 지역별 유형화 분포도 123
그림 4.7. 유형 5. 취약유지형 지역별 유형화 분포도 124
그림 4.8. 유형 6. 취약개선형 지역별 유형화 분포도 124
그림 4.9. 지역별 유형화 분포도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