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6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6
1.1.1. 연구의 배경 16
1.1.2. 연구의 목적 19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1
1.2.1. 연구의 범위 21
1.2.2. 연구 방법 22
1.2.3. 용어의 조작적 정의 26
2. 연구 문헌 고찰 및 연구 설계 28
2.1. 선행 연구 고찰 28
2.1.1. 지역사회 계속 거주(Aging in Place, AIP) 28
2.1.2. 고령자 주거 30
2.1.3. 지속 가능한 주거 32
2.1.4. 모듈식 건축과 주거 34
2.1.5. 연구의 차별성 36
2.2. 이론적 고찰 37
2.2.1. 주거권과 고령자 주거환경 요소 37
2.2.2. 스마트홈과 스마트하우징 48
2.2.3. 지속 가능한 디자인과 고령자 주거 60
2.2.4. 제조화 건설(OSC)과 모듈식 건축(Modular Construction) 70
2.2.5. 지속 가능한 주거 공급 패러다임 83
2.3. 연구 설계 100
2.3.1. 연구 가설 100
2.3.2. 설문조사 계획 101
2.3.3. 설문지 구성 및 설문 내용 102
3. 초고령 사회와 고령자 주거 공급 106
3.1. 고령자 주거실태조사 분석 106
3.1.1. 지역사회 계속 거주(AIP) 선호도 106
3.1.2. 고령자 주거 현황 113
3.2. 초고령화 사회 특징과 주거 전망 118
3.2.1. 활동적인 장년(Active Senior)의 고령층 유입 118
3.2.2. 고령기의 생활단계별 서비스 욕구 123
3.2.3. 고령자 단독가구의 증가 127
3.3. 소결 133
4. 설문 조사 결과 및 분석 136
4.1. 설문 조사 결과 136
4.1.1. 조사대상자의 특성 136
4.1.2. 신뢰도 분석 137
4.1.3. 분석 방법 138
4.2. 분석 결과 139
4.2.1. 기술통계 분석 139
4.2.2. 노인시설 참여 경험에 따른 차이 분석 140
4.2.3. 상관관계 분석 142
4.2.4. 모듈식 건축에 대한 인식이 주거환경에 미치는 영향 145
4.2.5. 스마트홈에 대한 인식이 주거환경에 미치는 영향 152
4.3. 분석 결과 종합 158
5. 결론 162
5.1. 모듈식 건축과 고령자 주거 적합성 162
5.2. 고령자 주거복지 관련 정책 제언 168
5.2.1. 예비고령자 주거의식 정기조사를 통한 주거공급 계획 169
5.2.2. 정부 부처 간 협업을 통한 고령자 주거 공급 172
5.2.3.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고령자 주거공급 체계 정비 173
5.3. 연구 결과 요약 175
5.4. 연구 의의와 한계점 178
참고문헌 180
ABSTRACT 186
부록 192
〈표 1.1〉 AIP의 분야별 개념 요소 27
〈표 2.1〉 건강한 주거환경 요소(일반주거) 41
〈표 2.2〉 고령자를 위한 주거시설 요구 조건 42
〈표 2.3〉 스마트홈 기술 분야 51
〈표 2.4〉 주거환경 요소와 스마트 홈 서비스 55
〈표 2.5〉 주거환경 요소와 지속 가능한 디자인 69
〈표 2.6〉 모듈식 건축의 지속가능성 특징 83
〈표 2.7〉 건설폐기물 처리 현황 89
〈표 2.8〉 산업재해 발생현황 90
〈표 2.9〉 부문별 감축목표 92
〈표 2.10〉 시나리오별 탄소배출량 저감 비율 94
〈표 3.1〉 건강유지 시 희망거주형태(AIP) 선호도 107
〈표 3.2〉 건강 상태에 따른 AIP 선호도 변화 109
〈표 3.3〉 AIP를 위한 생활지원 서비스 요구 수준 110
〈표 3.4〉 고령자 유료서비스 이용 의향 111
〈표 3.5〉 고령자 주거 현황 113
〈표 3.6〉 고령자 주거생활 편리성 114
〈표 3.7〉 고령자 거주 주택 만족도 115
〈표 3.8〉 고령자 주거 불만족 이유 116
〈표 3.9〉 고령자 생활단계별 서비스 지원 126
〈표 3.10〉 고령화율과 고령가구 및 65세 이상 1인가구 증가 추이 129
〈표 3.11〉 최근 5년간 도시화율과 인구성장율 및 합계출산율 130
〈표 3.12〉 거주 지역별 고령자(65세 이상) 현황 131
〈표 3.13〉 거주지역별 1인 가구 현황 131
〈표 3.14〉 AIP를 위한 지속 가능한 고령자 주거환경 요소 135
〈표 4.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52) 136
〈표 4.2〉 변인별 신뢰도 분석 137
〈표 4.3〉 각 하위요인의 기술통계 140
〈표 4.4〉 노인시설 프로젝트 참여경험에 따른 차이분석 141
〈표 4.5〉 제조화 건설의 기여도에 대한 인식과 고령자 주거환경 간의 상관관계 143
〈표 4.6〉 스마트홈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고령자 주거환경 간의 상관관계 144
〈표 4.7〉 제조화 건설의 기여도 인식이 고령자 주거환경_쾌적성에 미치는 영향 146
〈표 4.8〉 제조화 건설의 기여도 인식이 고령자 주거환경_편리성에 미치는 영향 147
〈표 4.9〉 제조화 건설의 기여도 인식이 고령자 주거환경_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148
〈표 4.10〉 제조화 건설의 기여도 인식이 고령자 주거환경_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150
〈표 4.11〉 제조화건설 기여도 인식이 고령자 주거환경_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151
〈표 4.12〉 스마트홈 서비스 인식이 고령자 주거환경_쾌적성에 미치는 영향 152
〈표 4.13〉 스마트홈 서비스 인식이 고령자 주거환경_편리성에 미치는 영향 153
〈표 4.14〉 스마트홈 서비스 인식이 고령자 주거환경_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155
〈표 4.15〉 스마트홈 서비스 인식이 고령자 주거환경_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156
〈표 4.16〉 스마트홈 서비스 인식이 고령자 주거환경_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157
〈표 4.17〉 주거환경 요소와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159
〈표 4.18〉 주거환경 요소와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160
〈그림 1.1〉 연구 흐름도 25
〈그림 2.1〉 주거환경요소와 AIP 개념도 47
〈그림 2.2〉 지속 가능한 스마트하우징 주거서비스 생태계 53
〈그림 2.3〉 2040년 돌봄 인력 수요 증가율 58
〈그림 2.4〉 UN 지속가능한개발 17가지 목표 61
〈그림 2.5〉 지속 가능성 3요소 62
〈그림 2.6〉 캠브리지 지속 가능한 주택 디자인 5원칙 63
〈그림 2.7〉 건강한 주거를 만드는 요소 65
〈그림 2.8〉 건설산업 총요소생산성 추이(2001~2020) 85
〈그림 2.9〉 건설산업 연령별 종사자(2011년과 2020년 비교) 86
〈그림 2.10〉 건설산업 생산성 향상 4가지 방향 87
〈그림 2.11〉 모듈식 건축 공종별 재활용율과 공종별 건설폐기 비용 96
〈그림 2.12〉 건설업 현안과 모듈식 건축의 패러다임 99
〈그림 3.1〉 베이비 부머 세대별 현황 120
〈그림 3.2〉 초고령사회 고령기 세대 공존 122
〈그림 3.3〉 세계 100세 인구 분포(2009-2050) 124
〈그림 3.4〉 연령대별 1인가구 변화 추이 130
〈그림 5.1〉 AIP를 위한 고령자 주거 요소와 모듈식 건축의 적합성 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