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3
1.1. 연구필요성 13
1.2. 용어정의 18
1.3. 연구목적 19
2. 문헌고찰 21
2.1. 독립의 의미 21
2.2. 장애인의 독립 25
2.3. 장애 담론의 변화 29
2.3.1. 개별적 모델(Individual Model) 30
2.3.2. 사회적 모델(Social Model) 32
2.3.3. 자립생활 모델(Independent Living Model) 35
2.3.4. 인권 모델(Human Rights Model) 38
2.3.5. 소결 41
2.4. 한국의 독립 장애인 현황과 지원실태 42
2.4.1. 독거·1인가구 장애인 현황 42
2.4.2. 독거·1인가구 장애인 지원실태 44
2.4.3. 탈시설 현황과 정책지원 52
2.4.4. 소결 56
2.5. 선행연구 58
2.5.1. 탈시설·자립생활 경험, 과정, 의미에 관한 연구 58
2.5.2. 독거·1인가구 장애인 관련 연구 63
2.5.3. 소결 65
3. 연구방법 69
3.1. 일반적 질적연구(Generic Qualitative Research) 69
3.2. 연구진행 및 절차 71
3.2.1. 연구참여자 선정기준 및 모집방법 71
3.2.2. 예비조사 72
3.2.3. 연구참여자 73
3.3. 자료수집 및 분석 76
3.3.1. 연구질문 76
3.3.2. 자료수집 77
3.3.3. 인터뷰 과정에서 어려움과 대응 83
3.3.4. 자료분석 84
3.4. 윤리적 고려 88
3.5. 연구의 진실성 89
4. 연구결과 91
4.1. 연구참여자 독립 전개 과정 91
4.2. 주제분석 결과 101
4.2.1. 원가정 환경 105
4.2.2. 독립 이유 112
4.2.3. 독립 과정 120
4.2.4. 독립 이후의 변화된 자기인식 128
4.2.5. 독립을 위한 지원욕구 145
4.2.6. 독립의 의미 153
4.3. 종합분석 158
4.3.1. 재가장애인 독립과 탈시설장애인 자립의 차이점 159
4.3.2. 장애유형별 독립의 차이 168
4.3.3. 생애주기별 독립의 특징과 욕구 172
5. 결론 및 제언 175
5.1. 연구요약 및 논의 175
5.1.1. 연구요약 175
5.1.2. 논의 178
5.2. 제언 182
5.2.1. 정책 제언 182
5.2.2. 담론 제언 187
5.3. 연구의 의의와 한계 188
참고문헌 191
ABSTRACT 211
〈표 2.1〉 Kurtz의 비장애/장애 분류법 30
〈표 2.2〉 장애의 개별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의 비교 34
〈표 2.3〉 장애인의 재활모델과 자립생활모델의 비교 37
〈표 2.4〉 장애유형별 가구원수 43
〈표 2.5〉 1인·독거 장애인 대상 지원사업(보건복지부) 44
〈표 2.6〉 1인·독거 장애인 대상 지원사업(지방자치단체) 46
〈표 2.7〉 지방자치단체의 탈시설 장애인 자립정착금 54
〈표 2.8〉 지방자치단체의 탈시설 장애인 주거 지원 서비스 54
〈표 2.9〉 탈시설 장애인 대상 지자체별 추가 지원 현황 56
〈표 3.1〉 참여자 일반 사항 74
〈표 3.2〉 질적연구에서 인터뷰 유형 및 특징 79
〈표 4.1〉 주제분석 결과 102
〈표 4.2〉 재가장애인 독립 과정과 의미 종합분석 161
〈표 4.3〉 재가장애인의 독립 경로 164
〈표 4.4〉 신체적 장애인의 독립 과정 169
〈표 4.5〉 감각적 장애인의 독립과정 170
〈표 4.6〉 정신적 장애인의 독립과정 172
〈표 4.7〉 생애주기별 독립의 특징과 욕구 173
〈그림 2.1〉 서울시 1인가구 지원 현황 57
〈그림 4.1〉 탈시설장애인의 자립경로 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