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 혁명은 정부, 시민, 기업을 연결할 수 있는 기술적 혁신을 통해 결국 정부의 효율성과 사회의 민주주의에 기여한다. 전자 거버넌스로 대표되는 이러한 기술 변화로 인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시민 참여의 수준을 향상시켜 시민들의 의사 결정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미 있는 피드백을 제공하고, 정책개발을 도우며, 정책집행의 진행과정과 성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정부의 효율성 제고에 기여한다. 또한 정부가 제공하는 정보에 쉽게 접근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의견을 개진할 수 있게 하여 결국 민주주의 향상에도 기여한다. 몽골 역시 시민 참여와 공공 서비스 향상을 위해 전자 거버넌스 활용을 강조하고 있으며, 시민들의 온라인 참여는 정부의 정책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몽골의 온라인 참여를 온라인 참여의도에 초점을 두고 레드테이프, 신뢰, 그리고 공공서비스 동기를 주요 결정요인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몽골이 처한 독특한 사회정치적 지형을 고려하여 온라인 참여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온라인 참여 현황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참여에 대한 시민들의 의도를 밝히고 온라인참여에 대한 발전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몽골의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의 일반 시민 354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통계분석을 통해 그 결과를 해석하는 정량적 방법을 채택하였다. 레드테이프, 정부에 대한 신뢰와 공공서비스 동기가 개인의 온라인 참여 의도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8 개의 가설과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설정하여 모든 경로를 검정하였고, 다양한 통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변수들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온라인 참여 의도에 대해서 공공서비스 동기와 정부에 대한 신뢰는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레드테이프는 온라인 참여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여부, 인터넷 접근성, 성별 등은 공공서비스 동기와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반면, 지역과 연령은 공공서비스 동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민들은 온라인 플랫폼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공공서비스를 제공받을 가능성이 높아진 반면, 피드백이나 토론, 투표를 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몽골에서 시민들의 온라인 참여 의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레드테이프를 줄이고, 공공서비스에 대한 동기를 높이며, 정부에 대한 신뢰를 올리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