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2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1.2. 연구문제 17
1.3. 용어의 정의 18
1.3.1. 온라인 수업 18
1.3.2. 수업컨설팅 18
1.3.3. 상호작용 19
1.3.4. 온라인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19
2. 이론적 배경 20
2.1. 대학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수업 컨설팅 20
2.1.1. 대학에서의 이러닝 발전과정과 온라인 수업 20
2.1.2. 대학 온라인 수업을 위한 수업컨설팅 26
2.2. 온라인 수업에서 상호작용의 개념과 유형 및 활성화 방안 31
2.2.1. 온라인 수업에서 상호작용의 개념 31
2.2.2. 온라인 수업에서 상호작용의 유형 33
2.2.3. 온라인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활성화 방안 40
2.3. 대학 온라인 수업 컨설팅을 위한 상호작용 분석과 교수학습전략 43
2.3.1. 수업컨설팅에서 활용되는 상호작용 분석도구 43
2.3.2. 대학 온라인 수업 분석도구에서의 상호작용 분석 51
2.3.3.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전략 58
3. 연구방법 및 절차 70
3.1. 개발연구 방법 및 연구절차 70
3.1.1. 개발연구 방법론 70
3.1.2. 연구절차 73
3.2. 대학 온라인 수업 컨설팅을 위한 상호작용 분석도구 개발 76
3.2.1. 선행문헌 고찰 76
3.2.2. 심층면담 및 대학 온라인 수업 우수사례 분석 77
3.2.3. 상호작용 영역별 기초문항 도출 및 전문가 검토 82
3.2.4. 내적 타당화 83
3.2.5. 사용성 평가 87
4. 연구결과 92
4.1. 초기 분석도구 개발 92
4.1.1. 대학 교수자 및 학습자 대상의 심층면담 분석결과 92
4.1.2. 대학 온라인 수업 우수사례 인터뷰 분석결과 110
4.1.3. 상호작용 영역별 기초문항에 대한 전문가 검토 결과 113
4.1.4. 대학 온라인 수업 컨설팅을 위한 상호작용 분석도구 초안 개발 122
4.2. 내적 타당화 분석결과 128
4.2.1. 1차 전문가 내적 타당성 검증 결과 129
4.2.2. 2차 전문가 내적 타당성 검증 결과 135
4.3. 사용성 평가 분석결과 146
4.4. 최종 대학 온라인 수업 컨설팅을 위한 상호작용 분석도구 150
5. 결론 158
5.1. 연구의 요약 158
5.2. 논의 159
5.2.1. 실시간/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따른 문항 구분에 대한 필요성 160
5.2.2. 수업 컨설턴트가 관찰할 수 없는 문항에 대한 분석방안 162
5.2.3. 온라인 수업에 차별화된 분석도구 개발의 적절성 163
5.2.4. 온라인 수업 상호작용의 효과적인 정도 및 활용 수준에 대한 고려 165
5.2.5. 전공계열 및 수업 유형에 따른 분석도구의 활용범위 166
5.3. 결론 및 제언 168
참고문헌 173
ABSTRACT 190
부록 192
〈부록 1〉 교수자 대상 심층면담 질문지 192
〈부록 2〉 학습자 대상 심층면담 질문지 202
〈부록 3〉 내적 타당성 검증을 위한 전문가 검토지 207
〈부록 4〉 사용성 평가지 224
〈표 2.1〉 온라인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유형 36
〈표 2.2〉 국내외 선행문헌 고찰을 통해 도출한 6가지 상호작용 분석영역과 분석 영역별 개념 정의 39
〈표 2.3〉 Flanders의 언어 상호작용 분석을 위한 범주 및 범주별 하위 내용 45
〈표 2.4〉 Hyman의 수업 중 질의응답 분석 사례 48
〈표 2.5〉 비언어적 소통 분석을 위한 범주 50
〈표 2.6〉 대학에서의 온라인 수업 분석도구 52
〈표 2.7〉 대학 실시간 온라인 수업 분석도구 54
〈표 2.8〉 I 대학의 온라인 수업 자가진단 분석도구 1에서의 상호작용 분석 56
〈표 2.9〉 I 대학의 온라인 수업 자가진단 분석도구 2에서의 상호작용 분석 57
〈표 2.10〉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전략 60
〈표 2.11〉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전략과 전략별 적합한 온라인 수업 유형 63
〈표 2.12〉 국내외 선행문헌 고찰을 통해 정리한 6가지 상호작용 분석영역별 활성화 전략 67
〈표 3.1〉 개발연구의 유형 71
〈표 3.2〉 이 연구의 단계별 주요 연구방법 72
〈표 3.3〉 심층면담에 참여한 대학 교수자 프로필 78
〈표 3.4〉 심층면담에 참여한 학습자 프로필 79
〈표 3.5〉 S 대학에서 온라인 수업 우수사례로 선정된 교수자 프로필 81
〈표 3.6〉 전문가 검토에 참여한 전문가 프로필 82
〈표 3.7〉 내적 타당성 검증에 참여한 전문가 프로필 83
〈표 3.8〉 1, 2차 내적 타당성 검증에 사용된 설문 내용 84
〈표 3.9〉 사용성 평가에 참여한 전문가 프로필 88
〈표 3.10〉 사용성 평가에 사용된 설문 내용 90
〈표 4.1〉 대학 교수자 및 학습자 대상의 심층면담 주요 내용 106
〈표 4.2〉 S 대학 온라인 수업 우수사례 인터뷰 영상에서 도출한 주요 내용 110
〈표 4.3〉 전문가 검토 주요 내용 114
〈표 4.4〉 선행문헌 고찰, 심층면담, 온라인 수업 우수사례 인터뷰 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 종합 116
〈표 4.5〉 대학 온라인 수업 컨설팅을 위한 상호작용 분석도구 초안 122
〈표 4.6〉 대학 온라인 수업 상호작용 분석도구 초안에 대한 1차 전문가 내적 타당성 검증 결과 129
〈표 4.7〉 1차 전문가 내적 타당성 검증에서의 문항별 타당성 및 중요성 평균 및 표준편차 130
〈표 4.8〉 1차 전문가 내적 타당성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된 주요 내용 133
〈표 4.9〉 대학 온라인 수업 상호작용 분석도구 초안에 대한 2차 전문가 내적 타당성 검증 결과 135
〈표 4.10〉 2차 전문가 내적 타당성 검증에서의 문항별 타당성 및 중요성 평균 및 표준편차 136
〈표 4.11〉 2차 전문가 내적 타당성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된 주요 내용 139
〈표 4.12〉 1차 및 2차 내적 타당성 검증을 통해 수정된 대학 온라인 수업 컨설팅을 위한 상호작용 분석도구 140
〈표 4.13〉 수정된 대학 온라인 수업 상호작용 분석도구에 대한 사용성 평가 결과 147
〈표 4.14〉 사용성 평가에서 대학 온라인 수업 상호작용 분석도구에 대해 전문가들이 제시한 주요 의견 147
〈표 4.15〉 최종 대학 온라인 수업 컨설팅을 위한 상호작용 분석도구 150
[그림 2.1] 수행공학 기반 수업컨설팅 모형 28
[그림 3.1] 연구절차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