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대학 온라인 수업 컨설팅에서 수업 컨설턴트가 온라인 수업에서의 상호작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문제를 발견하여 개선안을 제시할 수 있는 상호작용 분석도구를 개발하여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분석도구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둘째,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분석도구는 타당한가?
위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먼저 대학 온라인 수업, 온라인 수업 컨설팅, 온라인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상호작용 분석도구 등에 관한 국내외 선행문헌들을 고찰하였다. 국내외 선행문헌을 심층적으로 고찰한 뒤,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유형을 6가지로 구분하였으며, 이를 상호작용의 분석영역으로써 도출하였다.
6가지 분석영역인 교수자-내용간 상호작용, 교수자-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내용간 상호작용, 학습자 내적 상호작용, 교수자 내적 상호작용별 문항의 내용을 구성하기 위해 대학 온라인 수업 경험이 있는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에서의 상호작용에 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와 더불어서 대학 온라인 수업 우수사례 교수자의 인터뷰 내용분석을 통해 대학 온라인 수업 상호작용 분석도구의 기초문항을 도출하였다. 이후 도출된 기초문항에 대해 교육공학을 전공하고, 온라인 수업 및 수업컨설팅 경험이 있는 전문가 2인을 대상으로 문항 검토를 실시하여 분석도구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아울러 개발된 분석도구의 초안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내적 타당성 검증과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내적 타당성 검증은 대학 온라인 수업 전문가 6인을 대상으로 2차례 실시하였으며,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도구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또한, 수정 및 보완된 분석도구에 대해 1급 수업 컨설턴트 자격을 보유한 6인의 수업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도구를 수정 및 보완한 뒤, 최종적으로 대학 온라인 수업 컨설팅을 위한 상호작용 분석도구를 개발하였다.
최종 분석도구는 총 6개의 상호작용 분석영역에 대한 36개 문항으로 개발되었으며, 각 문항의 하단에 문항의 내용을 적절히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예시와 추가적인 설명을 함께 기재하였다. 이에 상호작용 분석영역별로 교수자-내용간 상호작용 영역 5개 문항,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영역 11개 문항, 학습자-학습자간 상호작용 5개 문항, 학습자-내용간 상호작용 5개 문항, 학습자 내적 상호작용 5개 문항, 교수자 내적 상호작용 5개 문항이 최종적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온라인 수업 컨설팅을 위한 상호작용 분석도구를 개발하고 활용하는 측면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의의와 더불어서 추후 후속연구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대학 온라인 수업 컨설팅을 위한 상호작용 분석도구는 수업 전문가가 대학 온라인 수업 컨설팅 과정에서 온라인 수업에서의 상호작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상호작용 활성화를 통해 온라인 수업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개선안을 제시하는 데 유용한 분석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서 향후 온라인 수업 컨설팅 분석도구 및 온라인 수업에서의 상호작용에 관한 다양한 연구 분야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