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3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1.2. 연구 문제 19
1.3. 용어의 정의 19
1.3.1. 온라인 수업 19
1.3.2. 역량 20
1.3.3. 수업 역량 20
1.3.4. 온라인 수업 역량 21
2. 이론적 배경 22
2.1.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원격교육 22
2.1.1.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교육의 변화 22
2.1.2. 고등교육에서의 원격교육 활용 24
2.1.3. 고등교육정보화와 온라인 수업의 확대 26
2.2. 고등교육 혁신으로서의 온라인 수업 28
2.2.1. 온라인 수업의 의미와 전통적 대면 수업과의 차이 28
2.2.2. 코로나 19의 등장과 온라인 수업의 변화 32
2.2.3. 온라인 수업에서의 교수-학습 방법 36
2.3. 역량과 수업역량 39
2.3.1. 역량의 개념과 특성 39
2.3.2. 역량모델링 43
2.3.3. 교수역량 47
2.4. 효과적인 온라인 수업을 위한 교수자의 역량 52
2.4.1.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 52
2.4.2. 온라인 수업을 위한 다양한 테크놀로지 활용 역량 54
2.5. 대학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역량 59
2.5.1.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변화와 역할 59
2.5.2.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온라인 수업 역량 62
3. 연구 방법 66
3.1. 연구절차 66
3.2. 연구 대상 69
3.2.1. 행동사건면접(BEI) 및 초점집단인터뷰(FGI) 참여자 69
3.2.2. 델파이 조사 연구 참여자 71
3.2.3. 요구도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 대상 73
3.3. 연구 도구 및 자료수집·분석 방법 74
3.3.1. 문헌 연구를 통한 자료수집 및 분석 74
3.3.2. 행동사건면접(BEI)을 통한 자료수집 및 분석 75
3.3.3. 초점집단인터뷰(FGI)를 통한 자료수집 및 분석 77
3.3.4. 타당성 검증을 위한 델파이 조사 80
3.3.5. 역량 수준 분석과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요구도 조사 83
4. 연구 결과 86
4.1.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역량 모형 개발 86
4.1.1. 온라인 수업 역량 모형 개발을 위한 문헌탐색 결과 86
4.1.2. 온라인 수업 역량 모형 개발을 위한 인터뷰 결과 93
4.1.3. 잠정적 역량 도출 결과 112
4.1.4. 델파이 조사를 통한 적합성 검증 결과 123
4.1.5. 최종 역량 모형 개발 결과 144
4.2. 대학 온라인 수업을 위한 교수자 역량 수준 분석 152
4.2.1. 온라인 수업 역량의 현재 실행수준과 중요수준의 차이 분석 153
4.2.2. Borich 요구도를 통한 역량의 요구도 차이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 비교 분석 155
4.2.3. 교수자의 연령별, 경력별, 계열별 역량요구 차이 분석 159
4.2.4. 역량 모형 개발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의 비교결과 종합 174
5. 결론 180
5.1. 연구의 요약 180
5.2. 논의 186
5.2.1. 실시간,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른 역량 구분 186
5.2.2. 온라인 수업에서 특별히 강조되는 역량 187
5.2.3. 온라인 수업 역량군 분류에 대한 논의 189
5.2.4. 교육요구도 최우선 역량으로서의 '교육환경 변화에 대한 민감성' 190
5.3. 시사점 및 제언 192
참고문헌 196
ABSTRACT 214
부록 217
〈부록 1〉 행동사건면접(BEI) 질문지 217
〈부록 2〉 초점집단인터뷰(FGI) 질문지 221
〈부록 3〉 1차 델파이 설문지 223
〈부록 4〉 역량 수준 진단 설문지 251
〈표 2.1〉 온라인 수업의 유사 용어 간 구분 29
〈표 2.2〉 코로나 19 온라인 수업의 유형 33
〈표 2.3〉 온라인 수업에서의 교수학습 전략에 관한 선행연구 탐색 결과 38
〈표 2.4〉 학자별 역량의 정의 40
〈표 2.5〉 학자별 역량모델링 과정 비교 44
〈표 2.6〉 고전적 역량모델과 단축형 역량모델 개발 방법 46
〈표 2.7〉 교수역량의 정의 48
〈표 2.8〉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50
〈표 2.9〉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구성요소 57
〈표 2.10〉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온라인 수업 교수자 역량 변수 및 하위요인 64
〈표 3.1〉 최종 선정된 행동사건면접(BEI) 참여자 기본 정보 69
〈표 3.2〉 초점집단인터뷰(FGI) 참여자 기본 정보 70
〈표 3.3〉 델파이 조사 연구 참여자 72
〈표 3.4〉 요구도 분석 설문조사 유효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분포 73
〈표 3.5〉 행동사건면접(BEI) 질문지 요약본 76
〈표 3.6〉 초점집단인터뷰(FGI) 질문지 구성 78
〈표 3.7〉 2차 델파이 조사 조사지 예시 82
〈표 4.1〉 문헌탐색을 통해 추출한 온라인 수업 교수활동 예시 및 추출역량 87
〈표 4.2〉 행동사건면접(BEI)을 통해 추출한 역량 요소 및 지지하는 인용문 예시 102
〈표 4.3〉 교수자별 도출된 온라인 수업 역량과 합의된 역량명 105
〈표 4.4〉 의견 합의를 통해 도출된 역량의 정의 108
〈표 4.5〉 문헌연구, BEI, FGI에서 도출된 역량 비교 112
〈표 4.6〉 문헌연구, BEI, FGI의 역량 POOL과 범주화 과정 정리 114
〈표 4.7〉 잠정적 역량 118
〈표 4.8〉 1차 델파이 조사의 전문가 종합의견 결과 124
〈표 4.9〉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역량 및 역량의 정의 수정 126
〈표 4.10〉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행동지표 수정 예시 131
〈표 4.11〉 1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수정·보완된 역량 133
〈표 4.12〉 2차 델파이 조사의 전문가 종합의견 결과 138
〈표 4.13〉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역량 및 역량의 정의 수정 139
〈표 4.14〉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행동지표 수정 예시 143
〈표 4.15〉 최종 역량과 역량의 정의 및 행동지표 145
〈표 4.16〉 역량군별 실행수준과 중요수준의 차이 153
〈표 4.17〉 역량별 실행수준과 중요수준의 차이 154
〈표 4.18〉 역량군별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155
〈표 4.19〉 역량별 Borich 요구도 및 LFF모델 분석 결과 156
〈표 4.20〉 연령별 중요수준에 대한 F검증 결과 159
〈표 4.21〉 연령별 역량요구도 차이비교 161
〈표 4.22〉 경력별 중요수준에 대한 F검증 결과 164
〈표 4.23〉 경력별 역량 요구도 차이비교 166
〈표 4.24〉 소속계열별 중요수준에 대한 F검증 결과 169
〈표 4.25〉 소속계열별 역량 요구도 차이비교 171
〈표 4.26〉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우선순위 종합분석 174
〈표 4.27〉 배경변인별 온라인 수업 최우선 역량 177
[그림 2.1] 빙산 모델과 역량의 구조 42
[그림 3.1] 연구 절차 및 흐름도 67
[그림 3.2] 초점집단인터뷰(FGI)에서 도출된 결과물 79
[그림 3.3] Borich 공식 84
[그림 3.4] The Locus for Focus Model 84
[그림 4.1] 온라인 설문지 예시 화면 152
[그림 4.2] 역량별 The Locus for Focus Model 158
[그림 4.3] 연령에 따른 The Locus for Focus Model 163
[그림 4.4] 경력에 따른 The Locus for Focus Model 168
[그림 4.5] 소속계열에 따른 The Locus for Focus Model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