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1
1.1. 연구 배경 및 선행연구 11
1.2. 문제 제기 27
1.3. 연구 목적 30
1.4.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3
2. 원형서사와 참여문화, 트랜스텍스트성과 스토리월드 42
2.1. 각색과 트랜스미디어에서의 원형서사 46
2.2. 세계성을 공유하는 향유자의 참여문화 54
2.3. 각색 작품 집단의 네트워크 구조 66
2.4. 각색과 트랜스미디어에서의 스토리월드 변형 양상 82
3. 트랜스미디어로 접근하는 『로미오와 줄리엣』 98
3.1. 『로미오와 줄리엣』 텍스트, 원형서사의 적용 101
3.2. 『로미오와 줄리엣』의 세계성과 참여문화 107
3.3. 『로미오와 줄리엣』의 트랜스텍스트성과 각색 작품 네트워크 114
3.4. 『로미오와 줄리엣』의 스토리월드 구축과 변형 양상 142
4. 뉴미디어 시대 트랜스미디어콘텐츠의 "원형", 〈웨스트사이드 스토리〉 152
4.1. 〈웨스트사이드 스토리〉의 텍스트, 원형서사의 적용 154
4.2. 〈웨스트사이드 스토리〉의 세계성과 참여문화 162
1. 세계성 형성의 시작: 1957년 브로드웨이 프로덕션 뮤지컬 165
2. 세계성의 구축과 공유: 로버트 와이즈 감독의 1961년 영화 166
3. 세계성의 확립: 로빈스의 1980년 브로드웨이 프로덕션 166
4. 세계성의 확장: 아서 로렌츠의 2009년 브로드웨이 프로덕션 뮤지컬 167
4.3. 〈웨스트사이드 스토리〉의 트랜스텍스트성과 각색 작품 네트워크 168
4.4. 뉴미디어 시대의 향유자 담론으로 변형하는 스토리월드 작동 양상 181
5. 세계성의 경험: 이보 반 호브의 브로드웨이 프로덕션 뮤지컬 184
6. 세계성의 탐험: 스티븐 스필버그의 2021년 영화 190
5. 결론 197
참고문헌 203
ABSTRACT 214
표 2.1. 미디어 용어 구분에 대한 프래튼의 정의 44
표 2.2. 윤혜영이 제시한 향유자 역할과정 59
표 2.3. 향유자 참여의 측정 과정 61
표 2.4. 트랜스텍스트성 종류와 특징 75
표 2.5. 향유자 참여구조 77
표 3.1. 『로미오와 줄리엣』 원형서사의 변형 범주 105
표 3.2. 『로미오와 줄리엣』 스크린미디어 각색 작품 연보 121
그림 2.1. 로스 메이필드가 제시한 "참여하는 힘의 법칙"(Mayfield, " Power Law of Participation") 57
그림 2.2. 토스카와 클라스트럽의 트랜스미디어 경험구조 63
그림 2.3. 트랜스텍스트성을 기반으로 한 원작텍스트와 각색 작품의 네트워크 구조 79
그림 2.4. 스토리월드 확장, 변형의 세 가지 주요 동력 85
그림 2.5. 제1동력(시대 담론)으로 작동하는 스토리월드 88
그림 2.6. 제2동력(반영 담론)으로 작동하는 스토리월드 90
그림 2.7. 빌렘 플루서의 극장형 담론(Flusser 24) 91
그림 2.8. 제3동력(향유자 담론)으로 작동하는 스토리월드 95
그림 3.1. 〈욜로 줄리엣〉 제1막 (Wright 26-27) 135
그림 3.2. 『로미오와 줄리엣』 각색 작품의 트랜스텍스트성 네트워크 구조 140
그림 3.3. 제1동력 (시대 담론)으로 변형되는 『로미오와 줄리엣』 스토리월드 145
그림 3.4. 제2동력 (반영 담론)으로 변형되는 『로미오와 줄리엣』 스토리월드 149
그림 3.5. 제3동력 (향유자 담론)으로 변형되는 『로미오와 줄리엣』 스토리월드 151
그림 4.1.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파생된 〈웨스트사이드 스토리〉 중심의 네트워크 구조 169
그림 4.2. 〈웨스트사이드 스토리〉 중심 각색 작품의 트랜스텍스트성 네트워크 구조 180
그림 4.3. 뉴미디어 시대에 이르러 향유자 담론으로 변화를 맞은 〈웨스트사이드 스토리〉 스토리월드 189
그림 4.4. 스필버그의 작품을 통해 향유자 담론에 의한 이야기 변화의 필연성을 맞은 〈웨스트사이드 스토리〉 스토리월드 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