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 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0
1.1. 연구 배경 10
제2장 재료 및 방법 12
2.1. 재료 준비 및 합성 12
2.2. TNBSA 분석 13
2.3. 하이드로겔 전구 용액 준비 14
2.4. 3D 프린팅 과정 15
제3장 결과 16
3.1. 합성된 Gel-Nor 치환도 분석 16
3.2. 하이드로겔 전구 용액 조성 결정 17
3.3. 다양한 구조의 3D 프린팅 19
3.4. 결합 방식과 구조물 결합 및 신체 장기 모방 프린팅 21
3.5. 고찰 25
제4장 결론 27
4.1. 결론 27
참고문헌 28
Abstract 29
그림 2.1. 3D 프린팅을 위한 재료 및 장비 구성. A) PEGDA, NIPAAm, Gel-Nor, LAP, 4PEG-SH 및 Tartrazine 구조. 16
그림 3.1. 합성된 Gel-Nor의 TNBSA 분석. 순수한 젤라틴과 합성된 생체재료의 흡광도-농도 검량선을 제작한 후, 그래프의 기울기를 계산하여 Gel-Nor의... 17
그림 3.2. 타트라진 농도 및 고분자 농도에 따른 3D 프린팅, A) 타트라진 유무에 따른 PEGDA 하이드로겔 프린팅 정확도 차이, 좌우 각각 0%, 0.1%이다. B) Gel-... 19
그림 3.3. 다양한 고분자를 이용한 복잡한 구조 3D 프린팅, A) 좌에서 우로 각각 PEGDA, NIPAAm/PEGDA, Gel-Nor 하이드로겔이며 위에서 아래로 각각 볼트,... 21
그림 3.4. PEGDA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결합과 신체 장기 모방 프린팅, A) 나사선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결합과 하이드로겔 접착제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