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1
1.1. 연구의 필요성 11
1.2. 연구 목적 14
1.3. 연구 가설 14
1.4. 연구의 제한점 16
2. 이론적 배경 17
2.1. 무릎 관절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17
2.2. 외반슬 19
2.3. 스쿼트 22
3. 연구방법 24
3.1. 기관생명윤리위원회 24
3.2. 연구대상 24
3.3. 연구 일정 25
3.4. 측정 도구 26
3.5. 연구설계 및 절차 27
3.6. 자료 산출 30
3.7. 통계처리 34
4. 연구 결과 35
4.1. 한 발 스쿼트 시 운동학적 변인 35
4.1.1. 엉덩 관절 각도 35
4.1.2. 무릎 관절 각도 38
4.1.3. 발목 관절 각도 41
4.2. 한 발 스쿼트 시 운동역학적 변인 44
4.2.1. 압력 중심 44
4.3. 한 발 스쿼트 시 하지 근육의 근활성도 특성 46
4.3.1. 집단에 따른 하지 근육 근활성도 특성 차이 비교 46
5. 논의 49
5.1. 한 발 스쿼트 시 운동학적 및 운동역학적 변인 분석 49
5.2. 한 발 스쿼트 시 근활성도 특성 분석 52
6. 결론 및 제언 55
6.1. 결론 55
6.2. 제언 56
참고문헌 57
ABSTRACT 68
Table 1. Demographic information of participants 24
Table 2. Research schedule 25
Table 3. Experiment equipment 26
Table 4. Morley's classification of genu valgum 28
Table 5. Anatomical plane and movement direction 30
Table 6. Result of hip kinematic variables 35
Table 7. Result of knee kinematic variables 38
Table 8. Result of ankle kinematic variables 41
Table 9. Result of center of pressure variables 44
Table 10. Result of lower extremity muscle activation 46
Figure 1. Components of the knee joint 17
Figure 2. Mechanical axis of the normal knee alignment 19
Figure 3. Mechanical axis of the valgus and varus alignment 20
Figure 4. Q-angle and tibiofemoral angle 21
Figure 5. Measurement of tibiofemoral angle and intermalleolar distance 27
Figure 6. Marker set 29
Figure 7. Anatomical plane 31
Figure 8. EMG attachment site 32
Figure 9. Events and phases 33
Figure 10. Hip flexion angle 36
Figure 11. Hip abduction angle 37
Figure 12. Hip external rotation angle 37
Figure 13. Knee flexion angle 39
Figure 14. Knee valgus angle 40
Figure 15. Knee external rotation angle 40
Figure 16. Ankle dorsiflexion angle 42
Figure 17. Ankle eversion angle 42
Figure 18. Ankle external rotation angle 43
Figure 19. AP SDCOP 45
Figure 20. ML SDCOP 45
Figure 21. Average muscle activation of VMO 47
Figure 22. Average muscle activation of VLO 47
Figure 23. Average muscle activation of RF 48
Figure 24. Average muscle activation of GAS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