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4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4
1.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16
제2장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론적 고찰 18
2.1. 공공도서관의 정의와 역할 18
2.1.1. 공공도서관의 정의와 목적 18
2.1.2.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역할 19
2.2. 공공도서관의 변화 21
2.2.1.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역할 변화 21
2.2.2. 공공도서관의 복합화 23
2.2.3. 공공도서관의 공간변화 24
2.2.4. 공공도서관의 변화 양상 26
2.3. 공공도서관과 지역 커뮤니티 27
2.3.1. 공공도서관과 지역사회의 관계 27
2.3.2. 공공도서관의 지역 커뮤니티 28
2.3.3.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공간구성 30
제3장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32
3.1. 특화도서관의 개념과 의미 32
3.1.1. 특화도서관의 개념 32
3.1.2. 특화도서관의 필요성 33
3.2. 특화도서관의 현황 34
3.2.1. 국내 특화도서관 현황 34
3.2.2. 특화도서관의 공간구성 38
3.3. 특화도서관 선진사례 분석 42
3.3.1. Utopia, a Library 42
3.3.2. Hamilton Public Library 44
3.3.3. Jiashan Museum & Library 46
3.3.4. Antipode Music, Youth and Cultural Center 48
3.3.5. Yuen Long District Library 50
3.3.6. Billie Jean King Main Library 52
제4장 특화도서관 계획 및 설계 54
4.1. 대상지 선정 및 분석 54
4.1.1. 대상지 선정 54
4.1.2. 대상지 현황 59
4.2. 계획의 목표 및 전략 66
4.2.1. 특화프로그램 도입 66
4.2.2. 지역 커뮤니티 형성 67
4.2.3. 디자인 전략 68
4.3. 특화도서관 공간 계획 71
4.3.1. 프로그램 계획 71
4.3.2. 공원과 연계한 저층부 73
4.3.3. 수직적 소통 공간 75
4.3.4. 오픈 플랜 76
4.3.5. 중심 특화 공간 77
4.4. 특화도서관 설계안 78
4.4.1. 배치계획 78
4.4.2. 평면계획 80
4.4.3. 단면계획 83
4.4.4. 입면계획 84
4.4.5. 내·외부 이미지 85
제5장 결론 87
5.1. 연구의 결과 87
5.2. 연구의 의의와 한계 88
참고문헌 89
ABSTRACT 92
표 1.1. 연구의 흐름도 17
표 2.1. 공공도서관의 기능 19
표 2.2. 공공도서관의 역할 20
표 2.3. 복합화의 의의 23
표 2.4. 공공도서관 건축의 변화 25
표 2.5. 공공도서관의 커뮤니티 공간계획 31
표 3.1. 지역 커뮤니티에서의 특화도서관 34
표 3.2. 국내 특화도서관 현황 36
표 3.3. 선행연구 내 특화 공간 유형 40
표 3.4. 특화도서관의 특화 공간 유형 41
표 3.5. Utopia, a Library 개요 42
표 3.6. Utopia, a Library 공간구성 43
표 3.7. Hamilton Public Library 개요 44
표 3.8. Hamilton Public Library 공간구성 45
표 3.9. Jiashan Museum & Library 개요 46
표 3.10. Jiashan Museum & Library 공간구성 47
표 3.11. Antipode Music, Youth and Cultural Center 개요 48
표 3.12. Antipode Music, Youth and Cultural Center 공간구성 49
표 3.13. Yuen Long District Library 개요 50
표 3.14. Yuen Long District Library 공간구성 51
표 3.15. Billie Jean King Main Library 개요 52
표 3.16. Billie Jean King Main Library 공간구성 53
표 4.1. 부평 캠프마켓의 역사 55
표 4.2. 부평 애스컴시티 내 클럽 현황 56
표 4.3. 음악 관련 부평 정책 및 사업 57
표 4.4. 대상지 주변 지역 커뮤니티 요소 58
표 4.5. 대상지 개요 61
표 4.6. 대상지 현황 분석 65
표 4.7. 시민참여 프로그램 설문조사 결과 68
표 4.8. 프로그램 구성표 72
그림 2.1. 공공도서관의 기능 21
그림 2.2. 공공도서관의 변화 24
그림 2.3. 공공도서관의 변화 양상 26
그림 2.4. 지역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역할 27
그림 2.5. 지역 커뮤니티 구성요소 29
그림 3.1. 국내 특화도서관 관련 사업 진행 35
그림 3.2. 특화도서관 공간구성 39
그림 4.1. 대상지 내 특화도서관 위치 59
그림 4.2. 부평 캠프마켓 마스터플랜 60
그림 4.3. 부평 캠프마켓 구역 61
그림 4.4. 주변 문화맥락 62
그림 4.5. 주변 음악문화 현황 63
그림 4.6. 주변 역사문화 현황 64
그림 4.7. 음악의 아카이빙 66
그림 4.8. 특화도서관 디자인 전략 70
그림 4.9. 배치계획 73
그림 4.10. 배치 동선계획 74
그림 4.11. 수직적 소통 계획 75
그림 4.12. 평면 오픈 플랜 계획 76
그림 4.13. 중심 특화 계획 77
그림 4.14. 배치도 및 1층 평면도 79
그림 4.15. 2층 평면도 81
그림 4.16. 3층 평면도 82
그림 4.17. 단면계획 83
그림 4.18. 입면계획 84
그림 4.19. 메인이미지 85
그림 4.20. 내부투시도 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