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4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4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5
1.3. 선행연구 고찰 17
제2장 장사시설 문제 분석 및 대응 방향 수립 19
2.1. 장사시설 현황 문제 분석 19
2.1.1. 장사시설 문제 현황 19
2.1.2. 핵심 문제 도출 21
2.1.3. 장사시설과 도시의 물리적 분리 23
2.2. 대응 방향 수립 26
제3장 친환경 장례 방식 도입 및 공간계획 검토 28
3.1. 친환경 장례 방식의 도입 28
3.1.1. 친환경 시신 처리방식 28
3.1.2. 친환경 매장 방식 31
3.2. 장례 방식 변화에 따른 공간계획 검토 33
3.2.1. 공간구성의 변화 33
3.2.2. 동선 흐름의 변화 38
제4장 선례 분석을 통한 공간디자인 전략 도출 41
4.1. 분석 대상 및 틀 41
4.2. 조닝 및 동선 44
4.3. 상징적 특성 및 체험의 구조 49
제5장 친환경 장례 방식 기반 장사시설 설계 제안 56
5.1. 디자인 목표 56
5.2. 대상지 선정 56
5.2.1. 입지 조건 56
5.2.2. 대상지 선정 58
5.3. 대상지 분석 61
5.3.1. 자연환경 61
5.3.2. 인문환경 63
5.4. 배치 계획 및 조닝 64
5.4.1. 대지 활용계획 64
5.4.2. 주요 공간 프로그램 67
5.4.3. 실 구성 및 조닝 71
5.5. 이용자별 동선 계획 72
5.5.1. 추모객 및 복합시설 이용자 72
5.5.2. 유가족 74
5.5.3. 관리자 76
5.6. 세부 공간 계획 78
5.6.1. 수분해장 공간 계획 78
5.6.2. 메모리얼 공간 계획 82
5.6.3. 복합시설 공간 계획 86
5.7. 최종 계획안 90
5.7.1. 설계 개요 90
5.7.2. 배치 계획 91
5.7.3. 평면 계획 92
5.7.4. 단면 계획 94
5.7.5. 입면 계획 97
제6장 결론 98
참고문헌 100
ABSTRACT 103
표 1.1. 선행 연구 17
표 2.1. 하늘 e 등록 서울시 장사시설 23
표 3.1. 시신의 매장 및 안치 방식의 종류 31
표 3.2. 기존 화장시설의 일반적 공간구성 33
표 3.3. 기존 화장방식 장사시설 대비 공간 요소 변화 36
표 4.1. 선례 분석 대상 건축물 41
표 4.2. 분석의 틀 43
표 4.3. 조닝 및 동선 전략 44
표 4.4. 상징체계 구성 전략 49
표 4.5. 체험의 구조에 따른 사례분석 54
표 5.1. 대상지 후보 개요 59
표 5.2. 주요 프로그램 구성 67
표 5.3. 수유 지역생활권 생활서비스시설 주민의견 분석 70
표 5.4. 설계 개요 90
그림 1.1. 연간 사망자 수 예측 14
그림 1.2. 연구의 흐름 16
그림 2.1. 장사시설을 둘러싼 문제 간 순환 관계 21
그림 2.2. 장사시설을 둘러싼 문제 간 관계 종합 22
그림 2.3. 서울시 공설 매장·안치 시설 위치도 (만장 시설 제외) 25
그림 2.4. 문제점 및 해결 방안 27
그림 3.1. 알칼리 가수분해장의 화학 반응 메커니즘 28
그림 3.2. 알칼리 가수분해장 작동 프로세스 29
그림 3.3. Resomator사의 알칼리가수분해 유닛 30
그림 3.4. 에덴낙원의 유수식 자연장 32
그림 3.5. 화장 절차에 따른 유가족 및 조문객의 동선 흐름 38
그림 3.6. 화장 절차에 따른 시신의 동선 흐름 38
그림 3.7. 관리자의 병렬적 동선 흐름 39
그림 3.8. 화장시설 이용자의 동선 흐름 종합 39
그림 3.9. 이용자의 동선 흐름 변화 40
그림 4.1. 장사시설 공간적 특성 종합 53
그림 5.1. 서울시 권역별 생활 서비스 시설 분포 57
그림 5.2. 후보지 위치 58
그림 5.3. 주변 경관 61
그림 5.4. 복개전 위성사진 62
그림 5.5. 자연환경 현황 62
그림 5.6. 지형 단면도 62
그림 5.7. 도시기능분포 63
그림 5.8. 형태 구성 64
그림 5.9. 주요 공간의 연결 관계 도식 65
그림 5.10. 주요 시설 배치 계획 66
그림 5.11. 1층 평면도 71
그림 5.12. 2층 평면도 71
그림 5.13. 추모객 및 복합시설 이용자 동선 72
그림 5.14. 유가족 동선 74
그림 5.15. 관리자 동선 76
그림 5.16. 수분해장 공간 1층 평면 조닝 78
그림 5.17. 수분해장 공간 2층 평면 조닝 79
그림 5.18. 수분해장 공간 단면 조닝 80
그림 5.19. 유족대기실 투시도 81
그림 5.20. 분향의식 공간 투시도 81
그림 5.21. 메모리얼 공간 1층 평면 조닝 82
그림 5.22. 메모리얼 공간 2층 평면 조닝 83
그림 5.23. 메모리얼 공간 단면 조닝 84
그림 5.24. 수중정 투시도 84
그림 5.25. 추모공원 투시도 85
그림 5.26. 복합시설 공간 1층 평면 조닝 86
그림 5.27. 복합시설 공간 2층 평면 조닝 87
그림 5.28. 복합시설 공간 단면 조닝 88
그림 5.29. 진입 회랑 투시도 88
그림 5.30. 휴식 공간 투시도 89
그림 5.31. 배치도 91
그림 5.32. 1층 평면도 92
그림 5.33. 2층 평면도 93
그림 5.34. 수분해장 공간 단면도 94
그림 5.35. 메모리얼 공간 단면도 95
그림 5.36. 복합시설 공간 단면도 96
그림 5.37. 입면도 97
그림 5.38. 보행 레벨 투시도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