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이후 도시성장의 동력이 되어온 공업지역은 현재 경제성과 공간 환경적 쾌적성이 충돌하고 있다. 도시의 확장과 인구 성장에 따라 낮은 지가의 공업지역에 주거용지가 공급되며, 산업 활동 위축과 주거환경 저하의 공간 구조적 문제가 일어난 것이다. 하지만 대도시 내 공업시설의 이전은 어려운 실정이며, 특히 레미콘 공장의 경우 조달 시간이 중요한 특수성을 가지기 때문에 더욱 이전이 불가능하다. 이에 현재의 평면적 도시계획으로 해결되지 않는 주-공 충돌의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Vari-topos(다중 지형 전략)'을 제안하고, 주-공 경계부의 토지이용 효율화 및 정주 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인천시는 경인 지역의 주요 공업지로 주거와 공업의 토지이용이 혼재한 특징을 갖고 있다. 지속적인 내측 시가지 확장 및 외측 신도시 개발로 남동 국가산단이 도시 내부로 상대적 이동을 하게 되었으나, 그 경계부의 공업지역의 경우 구체적 관리수단이 부재하다. 특히 삼표산업 송도공장 일대의 경우 역세권의 양호한 입지에도 불구하고 토지이용효율이 낮고, 분진과 차량 통행으로 인한 지속적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업시설 기능의 유지 및 밀도높은 역세권 개발, 주민의 정주 환경 개선을 위해 인천 삼표산업 송도공장 일대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진행한다. 선행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해 산업시설의 역할과 복합화된 시설의 설계 조건 및 전략을 도출하며, 현행법규 및 정책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보완할 제도 및 방향을 제시한다.
대상지 개발을 위한 키워드 네 가지-주공 공생, 역세권 개발, 입체복합시설, 지하 플랜트-에 따른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설계 시 고려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먼저 주거-공업의 각 동선을 명확히 분리하여 계획하고, 지상부의 경우 녹지를 통해 보행친화 환경을 조성 및 주거여건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공공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이를 역사와 연계해 역세권 일대 복합 개발을 진행한다. 위의 고려 요소들과 사례분석을 통해 정리한 공간전략들을 연계하여 본 연구의 주요 전략을 수립한 결과는 네가지로 ① 녹지의 확장 및 형성, ② 도시 기능의 허브, ③ 다양한 레벨의 연결, ④ 상층 용도의 적층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공업 용도의 충돌을 해결하기 위해 주변 주거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레미콘 제조 시설의 수직적 분리와 지하시설의 이용을 전제로 지역사회에 부족한 공공시설을 조성하는 기회로 활용하는 입체적 공간 계획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위해서는 토지이용 규제와 도시계획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기(旣)제도 개선의 필요성 및 개발 효과를 설득하는 근거로써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