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ABSTRACT 13
제1장 서론 15
1.1. 연구배경 및 목적 15
1.2. 국내·외 연구동향 17
1.3. 연구내용 및 방법 19
제2장 이론적 배경 20
2.1. 폐기물매립지 현황 및 내진설계기준 20
2.1.1. 폐기물매립지 현황 20
2.1.2. 폐기물 매립시설의 내진등급 22
2.1.3. 폐기물 매립시설의 내진성능목표 23
2.1.4. 행정구역을 이용한 설계 지반운동 수준 결정 24
2.1.5. 지진재해도를 이용한 설계지반 운동 수준결정 25
2.1.6. 지진에 의한 지반운동 26
2.2. 성토제체 및 시험방법 28
2.2.1. 폐기물성토제체 및 사면 28
2.2.2. 1g 진동대 시험 30
2.2.3. 동적 모형 시험 31
2.2.4. 다운홀테스트 32
2.3. 사면의 안정해석 36
2.3.1. 전응력 및 유효응력해석 36
2.3.2. 한계평형해석법 37
2.3.3. 마찰원법 39
2.3.4. 절편법 41
2.4. 연약지반 개량공법 45
2.4.1. 연약지반의 개요 45
2.4.2. 압성토 공법 47
제3장 지반조사 및 실내실험 49
3.1. 개요 49
3.2. 연구대상지역 49
3.3. 지반조사 50
3.3.1. 표준관입시험 50
3.3.2. 표준관입시험 결과 52
3.3.3. 다운홀테스트 53
3.3.4. 다운홀테스트 결과 54
3.4. 1g진동대를 이용한 실내실험 55
3.4.1. 유압 서보 1g 진동시험기 55
3.4.2. 연성토조(Laminar Shear Box) 57
3.4.3. 응답가속도 계측장비 58
3.4.4. 실험 수행 모델 60
3.4.5. 축소모형 조성 65
3.5. 입력 지진파에 따른 실내모형의 PGA 분석 67
3.5.1. 가속도계 매설깊이 별 무 보강 지반의 PGA 분석 67
3.5.3. 가속도계 매설깊이 별 압성토 10m 보강 지반의 PGA 분석 70
3.5.4. 가속도계 매설깊이 별 압성토 15m 보강 지반의 PGA 분석 73
3.6. 가속도계 위치별 PGA 분석 76
3.6.1. 수평거리 변화에 따른 Ofunato파의 PGA 분석 76
3.6.2. 수평거리 변화에 따른 Hachinohe파의 PGA 분석 77
3.6.3. 수평거리 변화에 따른 경주지진파의 PGA 분석 78
3.6.4. 수평거리 변화에 따른 인공지진파의 PGA 분석 79
3.7. 입력 지진파에 따른 실내모형의 SA 분석 80
3.7.1. Ofunato지진파 가진 시 SA분석 결과 80
3.7.2. Hachinohe지진파 가진 시 SA분석 결과 82
3.7.3. 경주지진파 가진 시 SA분석 결과 84
3.7.4. 인공지진파 가진 시 SA분석 결과 86
제4장 수치해석 결과 88
4.1. 1차원 지반응답해석 88
4.1.1. 개요 88
4.1.2. 입력 물성값 90
4.2. 실내 실험과 1차원지반응답해석의 SA분석 결과 91
4.2.1. Ofunato지진파 가진 시 SA분석 91
4.2.2. Hachinohe지진파 가진 시 SA분석 92
4.2.3. 경주지진파 가진 시 SA분석 93
4.2.4. 인공지진파 가진 시 SA분석 94
4.3. 매립지반의 내진 안정성 검토 95
4.3.1. 개요 95
4.3.2. 입력 물성값 96
4.3.3. 1차원 지반응답해석 결과 및 설계 가속도 산정 97
4.4. 사면안정해석 99
4.4.1. 입력 물성값 99
4.4.2. 모델링 100
4.5. 사면안정해석 결과 102
4.5.1. 매립지 1공구 안정성 검토 결과 102
4.5.2. 매립지 2공구 안정성 검토 결과 104
4.5.3. 매립지 3공구 안정성 검토 결과 106
4.6. 압성토 보강에 따른 안정성 검토 109
4.6.1. 압성토 10m 보강 109
4.6.2. 압성토 15m 보강 111
제5장 결론 114
참고문헌 116
표 2.1. 매립시설 현황 21
표 2.2. 기초 구조물의 내진등급 22
표 2.3. 내진성능수준 분류체계 23
표 2.4. 구조물의 내진등급별 내진성능수준 23
표 2.5. 지진구역 24
표 2.6. 지진구역계수 (재현주기 500년 해당) 24
표 2.7. 지반분류체계 26
표 2.8. 지진계수 27
표 2.9. 흙 쌓기 비탈면 표준경사 29
표 2.10. 화성암과 변성암의 풍화도 및 파쇄도에 따른 P파 속도 34
표 2.11. 탄성파속도에 따른 암석의 분류 35
표 2.12. 토질 특성에 따른 연약지반 판정기준 45
표 2.13. 개량목적과 적용지반에 대한 대책공법 46
표 2.14. 프리로딩과 압성토 공법의 비교 48
표 3.1. 공구별 지반조사 결과 52
표 3.2. 진동대 시험기 주요 제원 56
표 3.3. Accelerometer 주요 제원 59
표 3.4. Data logger 주요제원 59
표 3.5. 실내모형실험 시료의 물성값 61
표 3.6. 시험수행모델 61
표 3.7. 측정된 PGA - 무 보강 69
표 3.8. 측정된 PGA - 압성토 10m 보강 72
표 3.9. 측정된 PGA - 압성토 15m 보강 75
표 4.1. 입력 물성값 90
표 4.2. 1차원 지반응답해석을 위한 지반의 물성값 96
표 4.3. 행정구역상 지진재해도에 따른 설계지반가속도 산정 97
표 4.4. 1차원 지반응답해석에 의한 설계지반가속도 산정 97
표 4.5. 사면안정해석을 위한 층별 지반의 물성값 99
표 4.6. 폐기물매립지 내 성토 제방의 안정성 검토 결과 108
표 4.7. 매립지 3공구의 압성토 보강에 따른 사면안정해석 결과 113
그림 2.1. 매립시설 현황 연도별 추이 21
그림 2.2. 500년 재현주기 국가지진위험지도 25
그림 2.3. 다운홀테스트 32
그림 2.4. 주시곡선 및 구간속도 산출 방법 33
그림 2.5. 마찰원법 39
그림 2.6. 사면 경사와 안정계수 41
그림 2.7. 절편법 42
그림 2.8. mα을 구하는 도표[이미지참조] 45
그림 2.9. 압성토 공법의 개념 47
그림 3.1. 연구대상지역 49
그림 3.2. 지반조사 위치도 50
그림 3.3. 표준관입시험 전경 51
그림 3.4. 다운홀테스트 전경 53
그림 3.5. 다운홀테스트 결과 54
그림 3.6. 유압 서보 1g 진동시험기 55
그림 3.7. 진동대 시험기 주요 제원 56
그림 3.8. 연성토조 57
그림 3.9. 계측장비 Accelerometer 58
그림 3.10. 입도분포곡선 60
그림 3.11. 입력 지진파 62
그림 3.12. 모형사면 조성에 따른 가속도계 매설 위치 63
그림 3.13. 가속도 센서 분석 위치도 64
그림 3.14. 모형사면 조성 65
그림 3.15. 가속도계 매설깊이에 따른 PGA 결괏값 분석 - 무 보강 67
그림 3.16. 가속도계 매설깊이에 따른 PGA 결괏값 분석 - 압성토 10m 70
그림 3.17. 가속도계 매설깊이에 따른 PGA 결괏값 분석 - 압성토 15m 73
그림 3.18. 수평 거리별 PGA 분석 - Ofunato 76
그림 3.19. 수평 거리별 PGA 분석 - Hachinohe 77
그림 3.20. 수평 거리별 PGA 분석 - Hachinohe 78
그림 3.21. 수평 거리별 PGA 분석 - 인공지진파 79
그림 3.22. 실내실험결과의 SA 분석 - Ofunato 80
그림 3.23. 실내실험결과의 SA 분석 - Hachinohe 82
그림 3.24. 실내실험결과의 SA 분석 - 경주지진파 84
그림 3.25. 실내실험결과의 SA 분석 - 인공지진파 86
그림 4.1. Deepsoil 프로그램 89
그림 4.2. 실내 실험과 1차원 지반응답해석의 SA 분석결과 - Ofunato 91
그림 4.3. 실내 실험과 1차원 지반응답해석의 SA 분석결과 - Hachinohe 92
그림 4.4. 실내 실험과 1차원 지반응답해석의 SA 분석결과 - 경주지진파 93
그림 4.5. 실내 실험과 1차원 지반응답해석의 SA 분석결과 - 인공지진파 94
그림 4.6. 입력 지진파 95
그림 4.7. 1차원 지반응답해석 결과 98
그림 4.8. 매립지 검토 단면도 100
그림 4.9. 공구별 검토 단면도 101
그림 4.10. 매립지 1공구 안정성 검토결과 102
그림 4.11. 매립지 2공구 안정성 검토결과 104
그림 4.12. 매립지 3공구 안정성 검토결과 106
그림 4.13. 매립지 3공구 안정성 검토결과 - 압성토 10m 109
그림 4.14. 매립지 3공구 안정성 검토결과 - 압성토 15m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