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ABSTRACT 11
Ⅰ.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13
2. 연구 목적 17
3. 연구 문제 17
4. 연구의 제한점 19
5. 용어의 정의 19
1) 다승제 19
2) 심리적 욕구 19
3) 인지된 경기력 19
4) 경쟁상태 불안 20
Ⅱ. 이론적 배경 21
1. 태권도 겨루기 경기의 이해 21
1) 태권도 겨루기의 정의 21
2) 태권도 겨루기 경기의 변화 22
2. 심리적 욕구 29
(1) 자율성(Autonomy) 29
(2) 유능성(competence) 30
(3) 관계성(Relatedness) 30
3. 인지된 경기력 31
4. 경쟁상태 불안 34
Ⅲ. 연구 방법 37
1. 연구 대상 37
2. 연구 절차 38
3. 조사 도구 39
1) 심리적 욕구 39
2) 인지된 경기력 40
3) 경쟁상태 불안 40
4.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40
1) 심리적 욕구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41
2) 인지된 경기력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43
3) 경쟁상태 불안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45
5. 자료처리 47
Ⅳ. 연구 결과 48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48
1) 성별에 따른 차이 48
2) 연령에 따른 차이 50
3) 선수경력에 따른 차이 52
2. 태권도 겨루기 다승제 참여 선수들의 심리적 욕구, 인지된 경기력, 경쟁상태 불안의 상호작용 54
1) 심리적 욕구가 인지된 경기력과 경쟁상태 불안에 미치는 영향 54
2) 인지된 경기력이 경쟁상태 불안에 미치는 영향 57
3. 태권도 겨루기 다승제 참여 선수들의 심리적 욕구, 인지된 경기력, 경쟁상태 불안의 인과 관계 59
1) 세부 요인별 상관관계 결과 59
2)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60
3) 가설검증 결과 61
Ⅴ. 논의 63
1. 일반적 특성의 차이 63
2. 참여 선수들의 심리적 욕구, 인지된 경기력, 경쟁상태 불안의 상호작용 65
Ⅵ. 결론 및 제언 68
1. 결론 68
2. 제언 68
참고문헌 70
부록 77
표 1. 1982년 겨루기 경기 규칙 23
표 2. 1992년 겨루기 경기 규칙 24
표 3. 2002년 겨루기 경기 규칙 25
표 4. 2012년 겨루기 경기 규칙 26
표 5. 2022년 겨루기 경기 규칙 27
표 6. 2023년 겨루기 경기 규칙 28
표 7. 설문 참여자 일반적 특성 37
표 8. 설문지 세부 구성 내용 39
표 9. 심리적 욕구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41
표 10. 심리적 욕구 척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의 적합성 결과 42
표 11. 인지된 경기력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43
표 12. 인지된 경기력 척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의 적합성 결과 44
표 13. 경쟁상태 불안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45
표 14. 경쟁상태 불안 척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의 적합성 결과 47
표 15. 성별에 따른 차이 49
표 16. 연령에 따른 차이 51
표 17. 선수경력에 따른 차이 53
표 18. 다승제 참여 선수들의 자율성이 인지된 경기력과 경쟁상태 불안에 미치는 영향 54
표 19. 다승제 참여 선수들의 유능성이 인지된 경기력과 경쟁상태 불안에 미치는 영향 55
표 20. 다승제 참여 선수들의 관계성이 인지된 경기력과 경쟁상태 불안에 미치는 영향 56
표 21. 다승제 참여 선수들의 경기수행력이 경쟁상태 불안에 미치는 영향 57
표 22. 다승제 참여 선수들의 경기만족이 경쟁상태 불안에 미치는 영향 58
표 23. 각 요인별 상관관계 59
표 24.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도 검증 결과 60
표 25. 경로계수 추정 및 통계적 유의성 62
그림 1. 연구 모형 18
그림 2. 연구 절차 38
그림 3. 심리적 욕구의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 42
그림 4. 인지된 경기력의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 44
그림 5. 경쟁상태 불안의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 46
그림 6. 연구 모형의 적합도 검증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