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RT7 (SIRT7)은 종양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스트레스 반응과 종양 세포 사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 스트레스의 강력한 조절제로 특징지어져 왔으나, sorafenib 후천성 저항성에 대한 SIRT7 의 영향력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으며 간세포암종에서 이와 관련한 항종양 메커니즘은 현재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간세포암종에서 항종양제 저항성을 극복하기 위해 빅테이터 분석을 통한 SIRT7 을 sorafenib 과 병행하여 종양세포사멸이 가능한 새로운 타겟으로 발굴하여 약물 저항성 극복여부를 테스트하였으며, SIRT7 이 sorafenib 저항성 간세포암종에서 상향 조절되는 사실을 바탕으로 SIRT7 의 억제가 sorafenib 민감성을 효과적으로 복원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매커니즘적으로, 후천성 sorafenib 저항성은 높은 수준의 ERK1/2 인산화와 관련이 있으며 과활성화된 ERK1/2 는 NLRP3 염증조절복합체의 형성으로 생성된 IL-1β 의 신호를 조절하는 DDX3X 의 SIRT7 의존적 탈아세틸화에 의해 조절되어질 수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를 역으로, SIRT7 억제를 통한 DDX3X 결핍으로 저하된 NLRP3 염증복합체 매개 IL-1β 로 과활성된 ERK1/2 의 신호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후천성 sorafenib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결과를 새롭게 도출하게 되었다.
요약하자면, 본 연구는 sorafenib 에 후천성 sorafenib 저항성 간암세포암종에서 DDX3X 탈아세틸화를 매개하여 ERK1/2 신호 활성화를 조절하는 핵심 분자 역할을 하는 SIRT7 의 기능적 역할을 제시하며, sorafenib 과 결합된 SIRT7 의 억제는 sorafenib 민감성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음을 밝혀, 본 연구에서 확인된 조합 요법을 통해 sorafenib 저항성을 가진 진행성 간세포암종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