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13
제2절 선행연구 검토 17
제3절 연구 범위와 방법 23
제2장 영화와 데칼코마니 미학 26
제1절 미장센의 역설적 배치 27
1. 이미지 텍스트(image-text) 작용 27
2. 기표와 기의의 장면화 32
3. 미장센 중첩의 형식 36
제2절 내러티브의 반어적 구성 41
1. 텍스트 이미지(text-image) 효과 41
2. 외연과 내포의 서술화 46
3. 내러티브 중첩의 형상 50
제3절 미장센과 내러티브의 데칼코마니 54
1. 미장센과 내러티브 중첩: 반어적 필체 54
2. 미장센과 내러티브 확장: 역설적 사인 58
3. 초월적 감관: 지각된 존재로서의 현시 64
제3장 봉준호 영화의 데칼코마니 구조 69
제1절 데칼코마니의 1단계: 상징계의 중첩 69
1. 문, 슈퍼돼지, 돈의 장면화 69
2. 자리, 가치, 계급의 서술화 83
제2절 데칼코마니의 2, 3단계: 상상계의 중첩과 확장 93
1. 열차의 전복, 미자의 구출, 기우의 계획 93
2. 연결문과 출입문, 순금과 새끼돼지, 상승과 하강 113
제3절 데칼코마니의 4단계: 실재계의 확장 136
1. 요나, 미자, 기우에 투영된 욕망의 주체화 137
2. 타자화된 결핍의 현시: 자유, 소통, 평등 154
제4절 소결 163
제4장 데칼코마니 미학의 영화적 고찰 175
제1절 데칼코마니 영화의 효용성 175
제2절 영화적 데칼코마니의 초현실화 186
제5장 결론 196
참고문헌 201
ABSTRACT 207
〈표 1〉 상징계 상상계 실재계의 데칼코마니 구조 59
〈표 2〉 데칼코마니 구조의 중첩과 확장의 4단계 67
〈표 3〉 설국열차의 자리 86
〈표 4〉 커티스의 계획 94
〈표 5〉 커티스의 출발 95
〈표 6〉 커티스와 남궁민수의 조우 95
〈표 7〉 커티스와 남궁민수의 목적 96
〈표 8〉 커티스와 남궁민수의 정면과 측면 관계 96
〈표 9〉 커티스와 남궁민수의 점선 97
〈표 10〉 옥자와 네 인물의 관계 99
〈표 11〉 네 인물의 스토리와 플롯 99
〈표 12〉 미자의 첫 번째 구출 시도 100
〈표 13〉 루시의 욕망 100
〈표 14〉 미자의 두 번째 구출 시도 101
〈표 15〉 미자의 세 번째 구출 시도 102
〈표 16〉 욕망의 성취 여부 102
〈표 17〉 옥자의 점선 103
〈표 18〉 동익, 기택, 근세 가족 104
〈표 19〉 믿음의 벨트 시퀀스 105
〈표 20〉 계단 위의 집(부조화) 106
〈표 21〉 기택 가족과 문광 가족의 상승과 하강(지하 공포) 106
〈표 22〉 테이블 경계 1(다혜-기우) 107
〈표 23〉 테이블 경계 2(동익과 연교-기택과 기정) 108
〈표 24〉 비의 하강과 반지하의 침수 109
〈표 25〉 죽음의 벨트 110
〈표 26〉 닫힌 구조의 결말 112
〈표 27〉 길리엄과 윌포드의 통로(수화기) 115
〈표 28〉 어른과 아이, 단절과 연대의 손 116
〈표 29〉 성냥 시퀀스 117
〈표 30〉 출입문과 연결문 보여주기 118
〈표 31〉 폐공장과 산속의 절벽과 비탈길 119
〈표 32〉 도시의 하강과 상승 120
〈표 33〉 낙하, 착륙, 죽음의 내리막길 121
〈표 34〉 뉴욕과 생산 공장의 하강과 상승 121
〈표 35〉 금속 유리의 차가운 질감 122
〈표 36〉 미자와 낸시의 순금돼지 123
〈표 37〉 산골 가족의 소통 124
〈표 38〉 전반부 미자의 소통 124
〈표 39〉 후반부 미자의 소통 125
〈표 40〉 변기의 높이와 유무 127
〈표 41〉 상승과 하강의 계단과 집 128
〈표 42〉 기정이의 상승 계단 131
〈표 43〉 기택과 동익의 마주침(냄새의 장면화) 133
〈표 44〉 문 너머를 예언하는 요나 140
〈표 45〉 문 너머를 보여주는 요나 141
〈표 46〉 관계에 따른 주체의 욕망 146
〈표 47〉 기우의 상승과 하강의 단계단 151
〈표 48〉 반지하 창문 계단 152
〈표 49〉 세 작품에 나타난 데칼코마니 162
〈그림 1〉 데이비드 보드웰의 스토리 플롯의 형식체계 45
〈그림 2〉 데칼코마니 구조의 3단계 59
〈그림 3〉 데칼코마니의 스크린 작용 60
〈그림 4-11〉 커티스의 정면(위)과 측면(아래) 71
〈그림 12-19〉 남궁민수의 측면 71
〈그림 20-27〉 남궁민수의 정면 72
〈그림 28-35〉 루시의 시선 74
〈그림 36-43〉 낸시의 시선 75
〈그림 44-51〉 미자의 시선 77
〈그림 52-59〉 기택 가족의 집 79
〈그림 60-67〉 동익 가족의 집 79
〈그림 68-75〉 기택의 집 계단 80
〈그림 76-83〉 동익의 집 계단 80
〈그림 84-91〉 근세의 집과 계단 81
〈그림 92-99〉 몽타주 형식의 장마 시퀀스 82
〈그림 100-103〉 커티스의 문 84
〈그림 104-107〉 남궁민수의 문 84
〈그림 108-111〉 earth의 상반된 내러티브 85
〈그림 112-119〉 옥자와 미자의 표층의 내러티브 87
〈그림 120-123〉 미란도와 슈퍼돼지의 가치 89
〈그림 124-131〉 반지하의 계급 상승 91
〈그림 132-139〉 지상의 계급 유지 92
〈그림 140-143〉 피고용인을 교체하는 고용주 가족 92
〈그림 144-147〉 근세 가족의 돈의 내러티브 92
〈그림 148-155〉 문광과 기정의 죽음의 벨트 129
〈그림 156-163〉 보이지 않는 계급의 경계(냄새) 132
〈그림 164-169〉 동익의 계단 134
〈그림 170-175〉 기택의 계단 135
〈그림 176-188〉 루시의 욕망 이미지 143
〈그림 189-194〉 루시의 경계와 낸시의 감시 144
〈그림 195〉 감독-스크린-관객의 동일시된 시선 176
〈그림 196〉 데칼코마니의 경계 177
〈그림 197〉 데칼코마니 중첩과 확장의 경계 이동 177
〈그림 198〉 봉준호 영화의 데칼코마니 구조 178
〈그림 199〉 영화적 데칼코마니 구조의 초현실화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