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 필요성 15
제2절 연구목적 19
제3절 연구문제 20
제4절 용어 정의 22
1. 신중년 22
2. 신중년 (재)취업 교육 22
3. 자아효능감 23
4. 자기조절학습능력 23
5. 사회적지지 24
6. 학습전이 기대 24
7. 학습동기 25
8. 전이설계 25
9. 교육 만족도 26
제2장 이론적 배경 27
제1절 신중년 27
1. 신중년의 개념 27
2. 신중년 교육 현황 31
제2절 재취업 교육 32
1. 재취업 교육 개념 32
2. 재취업 교육 과정 33
제3절 자아효능감 36
제4절 자기조절학습능력 38
제5절 사회적지지 43
제6절 학습전이 기대 45
제7절 학습동기 48
제8절 전이설계 50
제9절 교육 만족도 51
제3장 연구방법 54
제1절 연구절차 54
제2절 연구모형 57
제3절 연구대상 60
제4절 연구도구 61
1. 측정도구 61
2. 자아효능감 62
3. 자기조절학습능력 62
4. 사회적지지 63
5. 학습전이 기대 63
6. 학습동기 63
7. 전이설계 64
8. 교육 만족도 64
제5절 자료처리 및 분석 65
제4장 연구결과 및 논의 67
제1절 학습자 개인적 특성 분석 67
제2절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 만족도 차이 분석 69
1. 성별에 따른 차이 검증 69
2. 연령에 따른 차이 검증 70
3. 학력에 따른 차이 검증 72
4. 은퇴 여부에 따른 차이 검증 74
5. 수강 경험에 따른 차이 검증 76
제3절 교육 만족도 관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78
1. 변인설정(Variable set)과 모형인정(Model identification) 78
2. 자료 수집 및 자료 점검 79
3. 모형 적합도 평가 및 해석 85
4. 구조방정식 모형의 모수추정 및 가설검증 91
5. 잠재변인 간 효과 분해(effect decomposition) 및 해석 98
제4절 논의 100
제5장 결론 및 제언 106
참고문헌 110
부록 125
[부록 1] 설문지 125
[부록 2] 매트릭스 자유수 130
[부록 3] windows SAS 9.4에 의해 수행된 통계치, 방법, 목적 133
[부록 4] windows SAS 8.7에 의해 수행된 통계치, 방법, 목적 134
[부록 5] 다변인 정규 분포성 검증 Q-Q 플롯 135
[부록 6] 다변인 정규 분포 Mahalanobis D2 135
ABSTRACT 136
〈표 2-1〉 신중년 관련 선행연구 및 근거 30
〈표 2-2〉 재취업 교육 관련 선행연구 및 근거 35
〈표 2-3〉 자아효능감 관련 선행연구 및 근거 37
〈표 2-4〉 자기조절학습능력 관련 선행연구 및 근거 42
〈표 2-5〉 사회적지지 관련 선행연구 및 근거 45
〈표 2-6〉 학습전이에 대한 정의 46
〈표 2-7〉 학습전이 관련 선행연구 및 근거 47
〈표 2-8〉 학습동기 관련 선행연구 및 근거 50
〈표 2-9〉 교육만족도 관련 선행연구 및 근거 53
〈표 3-1〉 연구절차 56
〈표 4-1〉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 67
〈표 4-2〉 성별에 따른 자아효능감, 자기조절학습능력, 사회적지지, 학습전이 기대, 학습동기, 전이설계, 교육 만족도 70
〈표 4-3〉 연령에 따른 자아효능감, 자기조절학습능력, 사회적지지, 학습전이 기대, 학습동기, 전이설계, 교육 만족도 71
〈표 4-4〉 학습자의 학력에 따른 잠재변인별 차이 검증 73
〈표 4-5〉 학습자의 은퇴 여부에 따른 잠재변인별 차이 검증 75
〈표 4-6〉 학습자의 수강 경험에 따른 잠재변인별 차이 검증 76
〈표 4-7〉 잠재변인 간의 상관관계 매트릭스 82
〈표 4-8〉 조건검증 진단 결과 83
〈표 4-9〉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검증결과 86
〈표 4-10〉 측정모형의 변인별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결과 (내생잠재변인) 88
〈표 4-11〉 측정모형의 변인별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결과 (외생잠재변인) 90
〈표 4-12〉 구조방정식 모형의 경로별 모수추정치 검증 결과 93
〈표 4-13〉 구조방정식 모형의 직접·간접·총 효과 분석 결과 99
[그림 2-1] 인생3모작 개념도 28
[그림 2-2] 학습영역별 평생학습 참여율 31
[그림 3-1] 연구모형 58
[그림 4-1] 구조방정식 모형을 위한 a-priori 표본 크기 계산 80
[그림 4-2] 구조방정식 최종모형 96
[그림 4-3] 구조방정식 최종모형(유의한 경로)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