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 초록 11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3
제2절 연구방법 및 구성 18
제2장 수출중소기업에 관한 이론적 배경 20
제1절 수출중소기업에 관한 이론적 고찰 20
1. 수출중소기업의 개념 및 현황 20
2. 수출중소기업의 현황 25
3. 중소기업의 글로벌화 선행연구 28
제2절 상거래유형의 개념과 특성 30
1. B2B 기업과 B2C 기업의 개념
2. B2B 기업과 B2C 기업의 특성 34
제3장 경영자 글로벌역량, 글로벌마케팅역량과 글로벌 경영성과에 관한 이론적 배경 38
제1절 경영자 글로벌역량에 관한 이론적 고찰 38
1. 경영자 글로벌역량의 개념과 구성요소 38
2. 경영자 글로벌역량에 관한 선행연구 50
제2절 글로벌마케팅역량에 관한 이론적 고찰 52
1. 글로벌마케팅역량의 개념과 구성요소 52
2. 글로벌마케팅역량에 관한 선행연구 59
제3절 글로벌 경영성과에 관한 이론적 고찰 61
1. 글로벌 경영성과의 개념과 구성요소 61
2. 글로벌 경영성과에 관한 선행연구 68
제4장 실증연구 75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 75
1. 연구모형의 설계 75
2. 구성개념의 조작적 정의 76
3. 연구가설 설정 83
제2절 연구대상 및 자료 수집 94
1. 연구대상 및 자료 수집 94
2. 표본의 구성 95
3. 설문지 구성 98
제3절 측정항목의 평가 98
1. 탐색적 요인분석 99
2. 신뢰성 분석 102
3. 측정변수의 기초분석 103
제4절 구조방정식모형 검증 및 가설 검증 105
1.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모형 검증 105
2. 타당성 평가 110
3.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검증 113
4. 연구가설의 검증 114
제5장 수출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영성과 향상 방안 130
제1절 경영자 글로벌역량 강화를 통한 향상 방안 130
1.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글로벌 경영성과 향상 방안 131
2. 글로벌마인드 강화를 통한 글로벌 경영성과 향상방안 132
제2절 글로벌마케팅역량 강화를 통한 향상 방안 133
1. 조사 및 분석 강화를 통한 글로벌 경영성과 향상 방안 136
2. 수출전략수립 강화를 통한 글로벌 경영성과 향상 방안 137
3.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통한 글로벌 경영성과 향상 방안 138
제3절 상거래유형별 경영성과 향상 방안 139
1. B2B 기업의 경영성과 향상 방안 140
2. B2C 기업의 경영성과 향상 방안 141
제6장 결론 및 향후 연구 143
제1절 결론 및 시사점 143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148
참고문헌 150
부록 189
ABSTRACT 195
〈표 2-1〉 주요국가 중소기업 분류기준 21
〈표 2-2〉 우리나라 중소기업 현황 22
〈표 2-3〉 주요국가 중소기업 현황 23
〈표 2-4〉 우리나라 중소기업체 수 25
〈표 2-5〉 연도별 총수출액 대비 중소기업 수출액의 비중 26
〈표 2-6〉 해외 시장 진출 시 중소기업 애로사항 26
〈표 2-7〉 관계기관별 수출기업 유형과 선정기준 27
〈표 2-8〉 B2B 기업과 B2C 기업의 특성 비교 37
〈표 3-1〉 경영자 역량 유형의 변화 41
〈표 3-2〉 글로벌마케팅역량의 구성 요소 58
〈표 3-3〉 재무적 성과의 구성요소 66
〈표 3-4〉 비재무적 성과의 구성요소 68
〈표 4-1〉 변수의 측정도구 구성 82
〈표 4-2〉 설문 수집 결과 94
〈표 4-3〉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및 일반적 특성 95
〈표 4-4〉 수출중소기업의 특성 97
〈표 4-5〉 설문지 구성 98
〈표 4-6〉 경영자 글로벌역량 변수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00
〈표 4-7〉 기업의 글로벌마케팅역량 변수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01
〈표 4-8〉 글로벌 경영성과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02
〈표 4-9〉 측정변수의 신뢰성 분석 결과 103
〈표 4-10〉 측정변수의 기술통계 분석 결과 104
〈표 4-11〉 상관관계 분석 결과 105
〈표 4-12〉 확인적 요인분석의 모형적합도 분석 결과 107
〈표 4-13〉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109
〈표 4-14〉 집중타당성 분석 결과 111
〈표 4-15〉 판별타당성 분석 결과 112
〈표 4-16〉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검증결과 114
〈표 4-17〉 경영자 글로벌역량과 글로벌 경영성과 간 영향 검증결과 116
〈표 4-18〉 경영자 글로벌역량과 글로벌마케팅역량 간 영향 검증결과 120
〈표 4-19〉 글로벌마케팅역량과 경영성과 간 영향 검증결과 121
〈표 4-20〉 팬텀변수로 검증한 매개효과의 부트스트래핑 결과 125
〈표 4-21〉 측정모델 동일성 검증결과 127
〈표 4-22〉 상거래유형에 따른 조절 효과 검증결과 128
〈그림 1-1〉 논문 구성도 19
〈그림 4-1〉 연구의 모형 75
〈그림 4-2〉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 108
〈그림 4-3〉 구조모형의 AMOS 분석모형 113
〈그림 4-4〉 연구모형의 검증결과 115
〈그림 4-5〉 팬텀 변수를 사용한 매개 효과 분석모형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