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세계 경제는 미·중 무역분쟁, 코로나 19 대유행,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같은 여러 위기 요인을 겪으며 큰 변화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는 국제무역에 불확실성을 증대시키고, 수요와 공급 네트워크 형성에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특히 대외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수출중소기업에는 큰 위협요인과 기회 요인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다. 중소수출기업들이 글로벌 위협요인들은 극복하고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성공적인 글로벌시장의 진입과 글로벌경쟁자와 차별적인 경쟁전략이 필요한 시점임을 고려하여 글로벌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한 주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글로벌 경영성과와 영향 관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영자의 글로벌역량 요인과 수출중소기업의 글로벌마케팅 요인을 선정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그리고 수출중소기업의 글로벌마케팅역량이 경영자 글로벌역량과 글로벌 경영성과 간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상거래유형에 따라 기업을 B2B 기업과 B2C 기업으로 나누어 글로벌 마케팅역량과 글로벌 경영성과 간의 영향 관계에서 상거래유형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수출중소기업에서 근무하는 임직원을 대상으로 수집한 총 285명의 유효 설문 응답 자료를 표본으로 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경영자 글로벌역량 요인의 네트워크는 글로벌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는 못하였으나, 글로벌 마인드는 글로벌경영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영자 글로벌역량 요인인 네트워크와 글로벌마인드는 수출중소기업의 글로벌마케팅역량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수출중소기업의 글로벌마케팅역량 요인인 조사 및 분석은 글로벌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는 못하였고, 수출전략수립과 커뮤니케이션은 글로벌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출중소기업의 글로벌마케팅역량이 경영자 글로벌역량과 글로벌 경영성과 간 영향 관계에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상거래유형에 따라 구분한 B2B 기업과 B2C 기업의 조절 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커뮤니케이션과 경영성과 간의 경로에서 B2B 기업과 B2C 기업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학문적인 시사점은 첫째, 그동안 선행연구에서는 수출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경영자 글로벌역량, 기업의 글로벌마케팅역량과 글로벌 경영성과 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통합하여 분석한 연구가 부족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들 요인 간의 영향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둘째, 자원기반이론의 관점과 관계적 관점에서 글로벌 경영성과 결정요인을 실증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셋째, 기업을 상거래유형에 따라 B2B 기업과 B2C 기업으로 구분하고, 상거래유형의 특성 차이에 따른 글로벌마케팅전략의 차이를 실증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실무적인 시사점으로 첫째, 글로벌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고 학습, 교육, 및 해외 진출 경험 등을 통한 경영자의 글로벌마인드 함양으로 글로벌 경영성과 제고를 위한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상거래유형별 차별화된 글로벌마케팅 전략의 수립으로 경영성과를 향상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중소기업 경영자와 정책지원기관에서 중소기업의 글로벌화를 위한 실무적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