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머리말 14
1. 연구사 15
Ⅱ. 조선전기 수군제도의 변화 19
1. 조선 전기 19
2. 조선 후기 22
Ⅲ. 유적 입지 및 현황 25
1. 경상우수영 및 관하 제진 25
1) 유적 입지 26
2) 유적 현황 28
2. 경상좌수영 및 관하 제진 42
1) 유적 입지 43
2) 유적 현황 44
Ⅳ. 구조 분석과 축성기법 50
1. 삼포왜란 이전 50
1) 축성기법 51
2) 출토유물 54
2. 삼포왜란 이후 ~ 임진왜란 이전 57
1) 축성기법 58
2) 출토유물 59
3. 임진왜란 이후 61
1) 축성기법 62
2) 출토유물 64
Ⅴ. 수군진의 이동과 특징에 대한 검토 68
1. 수군진의 이동 68
2. 특징 82
1) 구조 82
2) 읍성과의 비교 102
3. 고찰 118
Ⅵ. 맺음말 123
참고 문헌 127
Abstract 132
표 1. 『경국대전』 경상도 수군의 진관체계, 20
표 2. 중종 17년·39년 경상도 수군의 진관체계 개편 21
표 3. 조선 후기 경상도 지역 수군 편제 23
표 4. 경상우수영 제진 입지 분류(그래프) 27
표 5. 경상좌수영 제진 입지 분류(그래프) 43
표 6. 조선 전기 읍성 축조관련 문헌기록 내용 51
표 7. 가덕진성 초축 체성벽 출토 유물 비교(그래프) 60
표 8. 경상우수영 관하 제진 시기별 이동 70
표 9. 수군진 이동 사례 분류 73
표 10. 경상우수영 제진 이동 분류(그래프) 74
표 11. 경상좌수영 제진 이동(그래프) 75
표 12. 경상우수영 제진 평면형태(그래프) 82
표 13. 경상좌수영 제진 평면형태(그래프) 84
표 14. 경상우수영 관하 수군진성 규모 87
표 15. 경상좌수영 관하 수군진성 규모 88
표 16. 개운포진성 동문지 및 북문지 옹성부 97
표 17. 읍성 및 수군진성 시기별 성곽 축조표 102
표 18. 읍성과 수군진성 옹성 둘레 비교(그래프) 111
표 19. 읍성과 수군진성 개구부 너비 비교(그래프) 112
표 20. 읍성과 수군진성 성문 너비 비교(그래프) 113
표 21. 읍성과 수군진성 해자 이격거리 비교(그래프) 114
표 22. 읍성 - 수군진성 해자 깊이 비교(그래프) 115
표 23. 읍성 치성 규모(그래프) 116
표 24. 읍성과 수군진성 치성 규모 비교(그래프) 117
도면 1. 경상우수영 관하 제진 분포도 25
도면 2. 통제영성지 평면도 29
도면 3. 일제강점기 지적원도 가덕진성 평면도 30
도면 4. 일제강점기 지적원도 천성진성 부분 31
도면 5. 구 율포진성 평면도 33
도면 6. 구 영등포진성 평면도 34
도면 7. 구 조라포진성 평면도 35
도면 8. 지세포진성 평면도 36
도면 9. 옥포진성 평면도 37
도면 10. 가배량진성 평면도 38
도면 11. 소을비포진성 평면도 39
도면 12. 평산포진성 평면도 41
도면 13. 경상좌수영 관하 제진 분포도 42
도면 14. 일제강점기 경상좌수영 지적원도 44
도면 15. 개운포진성 평면도 45
도면 16. 서생포진성(좌 : 서생포만호진성, 우 : 서생포왜성) 46
도면 17. 두모포진성 평면도 47
도면 18. 다대포진성 평면도 48
도면 19. 칠포진성 추정범위 평면도 49
도면 20. 삼포왜란 이전 수군진성 외벽부 축조수법 52
도면 21. 조선시대 기와 문양 형식 분류 54
도면 22. 개운포진성 출토 기와 55
도면 23. 개운포진성 출토 분청사기 56
도면 24. 소을비포진성 출토 조선 전기 자기류 56
도면 25. 삼포왜란 이후 수군진성 외벽부 축조수법 58
도면 26. 천성진성 출토 명문 암막새 59
도면 27. 삼포왜란 이후 수군진성 출토 자기류 60
도면 28. 임진왜란 이후 수군진성 외벽부 축조수법 62
도면 29. 임진왜란 이후 수군진성 내벽부 축조수법 63
도면 30. 통제영성 체성부 출토 평기와 64
도면 31. 백자 접시 저부 및 굽 형태 분류 65
도면 32. 가덕진성 남쪽 해자 출토 자기류 66
도면 33. 개운포진성 출토 백자류 66
도면 34. 소을비포진성 출토 백자류 67
도면 35. 경상우수영 관하 제진 이동 68
도면 36. 경상우수영 관하 제진 이동 거제도 지역 일원 69
도면 37. 경상좌수영 관하 제진 이동 71
도면 38. 경상좌수영 관하 제진 이동 부산 지역 일원 72
도면 39. 가덕진성 및 천성진성 축조수법, 출토유물 비교 77
도면 40. 천성진성 내벽부 축조수법 78
도면 41. 소을비포진성 출토 자기류 편년 79
도면 42. 서생포왜성 해자 평면도 80
도면 43. 서생포왜성 해자 출토 유물 81
도면 44. 경상우수영 직선계 평면 계통 83
도면 45. 경상우수영 곡선계 및 불명 평면 계통 84
도면 46. 경상좌수영 직선계 평면 계통 85
도면 47. 경상좌수영 곡선계 평면 계통 86
도면 48. 경상우수영 관하 제진 축성수법 89
도면 49. 소을비포진성 외벽부 기단 수평화 90
도면 50. 천성진성 초축 체성 사직선기단 91
도면 51. 한양 도성 축성형태 92
도면 52. 경상좌수영 관하 제진 축조수법 92
도면 53. 개운포진성 남체성 외벽부 기단수평화 공법 93
도면 54. 두모포진성 북체성 평면도 94
도면 55. 천성진성 북문지 단면도 96
도면 56. 소을비포진성 북문지 수축 과정 96
도면 57. 천성진성 치성 형태 98
도면 58. 소을비포진성 해자(좌 : 서문지, 우 : 서남쪽) 99
도면 59. 가덕진성 남쪽 해자 폐기 과정 100
도면 60. 조선 연해 및 내륙 읍성 축조 수법 103
도면 61. 기장읍성 남체성 외벽 104
도면 62. 웅천읍성 축조 수법 105
도면 63. 고성읍성 외벽 단면도 106
도면 64. 고현읍성 북벽 내벽 단면도 107
도면 65. 치성의 평면형태 116
도면 66. 수군진성 축성기법, 및 출토 유물 시기 분류 121
사진 1. 통제영성 축성기법 (좌 : 남문지, 우 : 서쪽 체성) 91
사진 2. 다대포진성 목주흔 94
사진 3. 통제영성 남문지 육축부 95
사진 4. 천성진성 북문지 옹성 95
사진 5. 기장읍성 동체성 외벽 104
사진 6. 기장읍성 북체성 외벽 104
사진 7. 언양읍성 축조수법(좌: 외벽부, 우: 내벽부) 107
사진 8. 청도읍성 서문지 체성 외벽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