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3
1. 연구배경 13
2. 연구목적 18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20
1. 연구범위 20
2. 연구 방법 22
3. 연구의 분석체계 24
제2장 지역 격차 결정요인에 관한 이론적 검토 27
제1절 지역 격차의 개념 27
제2절 지역 격차의 결정요인에 관한 이론적 논의 29
1. 신고전파 성장이론 30
2. 성장거점이론과 역 U자형 가설 32
3. 산업구조이론 34
4. 지역종속이론 35
제3절 지역 격차 결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38
1. 지역 격차 결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38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40
제4절 지역 격차 결정요인에 관한 대안적 논의 41
1. 산업구조 41
2. 재정 분권 47
3. 규제정책 54
제3장 지역 격차 결정요인의 분석모형설정 67
제1절 분석모형의 설정 67
1. 분석모형의 설정 67
2. 연구가설의 설정 69
제2절 변수의 설정 76
1. 독립변수 76
2. 종속변수 86
3. 통제변수 90
제3절 분석 방법 92
1. 자료수집 92
2. 분석 방법 93
제4장 경기도 남·북 지역 격차 실태분석 97
제1절 경기도 남·북 지역 격차 결정요인 실태분석 97
1. 경기도 남·북 현황 97
2. 인구 98
3. 산업구조 106
4. 재정 분권 117
5. 규제정책 122
제2절 경기도 남·북 지역 격차 실태분석 129
1. 시군별 지역격차 특징 129
2. 경기 남북 간 지역 격차 실태 131
제3절 소결 134
제5장 지역격차 결정요인의 실증분석 138
제1절 통계분석 결과 138
1. 기술통계 분석 결과 138
2. 상관분석 139
3. 경기 남부와 경기 북부의 차이 분석 140
4. 지역 격차 결정요인 분석 142
제2절 소결 152
제6장 결론 154
제1절 연구 요약 154
제2절 연구의 시사점 155
1. 이론적 함의 155
2. 정책적 함의 157
제3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162
참고문헌 163
ABSTRACT 179
〈표 2-1〉 산업의 한국표준산업기준표 42
〈표 2-2〉 수도권 규제의 권역 범위 56
〈표 2-3〉 경기도 경기도 중첩규제현황 57
〈표 3-1〉 산업구조 다양성 측정 관련 선행연구 80
〈표 3-2〉 재정 분권 측정 관련 선행연구 83
〈표 3-3〉 규제정책(수도권 규제 관련) 측정 관련 선행연구 85
〈표 3-4〉 지역 격차 측정 관련 선행연구 90
〈표 3-5〉 통제변수 측정 관련 선행연구 91
〈표 3-6〉 변수의 측정 및 출처 91
〈표 4-1〉 경기 남·북의 일반지역현황 97
〈표 4-2〉 시 군별 인구 특징 100
〈표 4-3〉 경기도 남·북간 인구변동 비교 103
〈표 4-4〉 시·군별 산업구조특징 (사업체) 109
〈표 4-5〉 시·군별 산업구조특징 (종사자) 110
〈표 4-6〉 경기도 남북 간 산업구조 비교 113
〈표 4-7〉 인구천명당 산업체 종사자수 비교 115
〈표 4-8〉 시군별 재정 분권 특징 118
〈표 4-9〉 경기도 남북 간 세입·세출·재정자립도 비교 120
〈표 4-10〉 시군별 규제정책특징 123
〈표 4-11〉 경기도 남북 간 규제 비교 127
〈표 4-12〉 시군별 지역격차 특징 130
〈표 4-13〉 경기 남북 간 지역내총생산 비교 133
〈표 5-1〉 기술통계 분석 결과 139
〈표 5-2〉 상관분석 140
〈표 5-3〉 경기 남부와 경기 북부의 차이 분석 141
〈표 5-4〉 패널GLS 모형 분석결과 144
〈표 5-5〉 분석 결과 147
〈표 5-6〉 가설검증 결과 151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26
〈그림 3-1〉 연구 모형 68
〈그림 4-1〉 경기도 남북간 인구 추이 비교 104
〈그림 4-2〉 경기도 남북간 인구순이동률 추이 비교 104
〈그림 4-3〉 경기도 남북간 인구자연증가율 추이 비교 105
〈그림 4-4〉 경기도 남북간 65세노인율 추이 비교 105
〈그림 4-5〉 경기남북간 1차산업제 추이비교 114
〈그림 4-6〉 경기남북간 2차산업체 추이비교 114
〈그림 4-7〉 경기남북간 3차산업체 추이비교 114
〈그림 4-8〉 경기남북간 인구천명당 1차산업종사자 추이비교 116
〈그림 4-9〉 경기남북간 인구천명당 2차산업종사자 추이비교 116
〈그림 4-10〉 경기남북간 인구천명당 3차산업종사자 추이비교 116
〈그림 4-11〉 경기남북간 1인당 세입액 추이 비교 121
〈그림 4-12〉 경기남북간 1인당 세출액 추이 비교 121
〈그림 4-13〉 경기남북간 재정자립도 추이비교 121
〈그림 4-14〉 경기남북간 공장용지 추이비교 128
〈그림 4-15〉 경기남북간 개발제한구역 추이비교 128
〈그림 4-16〉 경기남북간 4년제 대학 추이비교 128
〈그림 4-17〉 경기남북간 지역내총생산 추이비교 133
〈그림 4-18〉 경기 남북 간 1인당 지역내총생산 추이비교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