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4
제2절 연구목적 18
제3절 용어의 정의 19
1. 축구심판 19
2. 직무요인 20
3. 이탈의도 21
제4절 연구의 제한점 22
제2장 이론적 배경 23
제1절 축구심판 23
1. 축구심판의 역할 23
2. 축구심판의 자질 24
3. 대한축구협회 심판현황 30
제2절 허즈버그의 동기위생이론 37
1. 개념적 접근 37
2. 동기위생이론의 적용 40
3. 동기요인의 구성요인 41
4. 위생요인의 구성요인 46
제3절 이탈의도 51
1. 이탈의 개념 51
2. 이탈의도 53
제4절 선행연구 고찰 55
1. 동기위생이론과 직무이탈 55
2. 심판과 이탈의도 59
제3장 연구방법 65
제1절 혼합연구 65
1. 혼합연구 방법과 절차 65
2. 혼합연구 설계 67
제2절 연구윤리 68
제3절 실증적 연구방법 69
1. 연구문제 69
2. 연구설계 70
3. 연구대상 72
4. 조사도구 75
5.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80
6. 자료처리 87
제4절 심층면담 연구방법 88
1. 연구 참여자 88
2. 연구 절차 및 자료 수집 90
3. 자료 분석 91
제4장 연구결과 93
제1절 실증적 연구결과 93
1. 축구심판의 직무요인에 대한 인식 93
2. 축구심판의 직무요인이 이탈의도 미치는 영향 112
제2절 심층면담 결과 117
1. 만족과 즐거움 117
2. 책임감 120
3. 보수 122
4. 안정 125
5. 체력 127
6. 모욕적 경험 129
7. 시간 할애 131
8. 행정과 정책 133
제5장 논의 136
제1절 내재적 직무요인과 이탈의도 136
제2절 특징적 직무요인과 이탈의도 139
제3절 외재적 직무요인과 이탈의도 142
제6장 결론 및 제언 146
제1절 결론 146
제2절 제언 149
1. 이탈 방지 방안을 위한 실천적 제언 149
2.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150
참고문헌 152
부록 156
〈부록 1〉 실증적 연구 설문지 156
〈부록 2〉 심층면담 연구 참여자 설명문 및 동의서 161
〈부록 3〉 심층면담 질문지 166
ABSTRACT 167
〈표 1〉 대한축구협회 심판 급수 및 관장경기 31
〈표 2〉 대한축구협회 심판 승급 규정 33
〈표 3〉 2022년 대한축구협회 심판 등록 현황 35
〈표 4〉 서울시립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 승인 정보 68
〈표 5〉 연구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74
〈표 6〉 설문 문항의 구성 내용 75
〈표 7〉 내재적 직무요인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82
〈표 8〉 특징적 직무요인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83
〈표 9〉 외재적 직무요인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84
〈표 10〉 내재적 직무요인의 신뢰도 분석 결과 85
〈표 11〉 특징적 직무요인의 신뢰도 분석 결과 86
〈표 12〉 외재적 직무요인의 신뢰도 분석 결과 86
〈표 13〉 이탈의도의 신뢰도 분석 결과 87
〈표 14〉 심층면담 연구 참여자의 특성 89
〈표 15〉 심층면담 질문 내용 91
〈표 16〉 직무요인과 이탈의도에 대한 축구심판들의 인식 93
〈표 17〉 성별에 따른 축구심판들의 직무요인에 대한 인식 94
〈표 18〉 급수 및 레벨에 따른 축구심판들의 내재적 직무요인에 대한 인식 96
〈표 19〉 급수 및 레벨에 따른 축구심판들의 특징적 직무요인에 대한 인식 97
〈표 20〉 급수 및 레벨에 따른 축구심판들의 외재적 직무요인에 대한 인식 99
〈표 21〉 급수 및 레벨에 따른 축구심판들의 이탈의도에 대한 인식 100
〈표 22〉 나이에 따른 축구심판들의 내재적 직무요인에 대한 인식 102
〈표 23〉 나이에 따른 축구심판들의 특징적 직무요인에 대한 인식 103
〈표 24〉 나이에 따른 축구심판들의 외재적 직무요인에 대한 인식 105
〈표 25〉 나이에 따른 축구심판들의 이탈의도에 대한 인식 106
〈표 26〉 심판 외 직업에 따른 축구심판들의 내재적 직무요인에 대한 인식 107
〈표 27〉 심판 외 직업에 따른 축구심판들의 특징적 직무요인에 대한 인식 108
〈표 28〉 심판 외 직업에 따른 축구심판들의 외재적 직무요인에 대한 인식 110
〈표 29〉 심판 외 직업에 따른 축구심판들의 이탈의도에 대한 인식 111
〈표 30〉 내재적 직무요인의 하위요인과 이탈의도의 상관관계분석 112
〈표 31〉 내재적 직무요인의 하위요인과 이탈의도의 다중회귀분석 113
〈표 32〉 특징적 직무요인의 하위요인과 이탈의도의 상관관계분석 114
〈표 33〉 특징적 직무요인의 하위요인과 이탈의도의 다중회귀분석 115
〈표 34〉 외재적 직무요인의 하위요인과 이탈의도의 상관관계분석 115
〈표 35〉 외재적 직무요인의 하위요인과 이탈의도의 다중회귀분석 116
〈그림 1〉 대한축구협회 전체 등록 심판 변화 36
〈그림 2〉 동기요인과 위생요인의 관계 39
〈그림 3〉 설명적 순차 혼합 방법 65
〈그림 4〉 연구절차 66
〈그림 5〉 전체 연구설계 67
〈그림 6〉 축구심판의 직무요인과 이탈의도 모형 72
〈그림 7〉 온라인 설문조사 과정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