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축구심판의 직무요인에 대한 인식과 이탈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한 후 실제 이탈 심판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축구심판의 이탈 원인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를 활용한 양적 연구와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연구를 함께 수행하는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대한축구협회에 소속된 242명의 심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6명의 이탈 심판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각 연구를 통해 축구심판의 이탈 원인을 종합적으로 규명하고 이해할 수 있었다. 실증적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축구심판들의 직무요인과 이탈의도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급수 및 레벨에 따라 축구심판들은 승급/승격요인, 모욕요인, 관리요인, 보수요인, 시설요인, 안정요인, 이탈의도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나이에 따라 축구심판들은 만족요인, 승급/승격요인, 관리요인, 보수요인, 시설요인, 안정요인, 이탈의도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심판 외 직업에 따라 축구심판들은 만족요인, 승급/승격요인, 관리요인, 동료요인, 보수요인, 시설요인, 안정요인, 이탈의도에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축구심판의 이탈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내재적 직무요인은 만족요인, 책임요인으로 나타났다. 만족요인은 이탈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책임요인은 이탈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축구심판의 이탈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징적 직무요인은 모욕요인, 체력요인, 재미요인으로 나타났다. 모욕요인과 체력요인은 이탈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재미요인은 이탈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축구심판의 이탈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외재적 직무요인은 동료요인, 보수요인, 안정요인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요인은 모두 이탈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심층면담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판 활동을 통한 만족감과 즐거움은 이탈의도를 감소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이를 극대화하기 위해 동료관계를 강화하고 충분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상위 레벨의 심판으로 성장할수록 책임감이 증가하며, 부정적 인식이 늘어나 이탈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책임감이 커질수록 충분한 권한과 보상,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판 활동을 통한 보수는 충분하지 않았으며, 보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이탈의도를 증가시켰다. 심판들이 심판 외 본업을 가지고 심판활동을 병행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제도를 개선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심판은 안정적인 직업이 될 수 없었고 미래에 대한 불안감은 이탈의도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안정적인 기틀 안에서 심판 활동을 병행하는 것이 심판 활동을 장기간 지속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체력이나 신체 상태에 대한 부담감은 이탈의도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축구심판들은 노화나 부상, 임신과 출산 등을 겪으며 체력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모욕적 경험은 심판 모두가 겪는 부정적인 경험으로 이탈의도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모욕적 상황은 심판으로 겪는 하나의 과정일 수 있지만 지속적이고 심한 모욕은 이탈의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곱째, 축구심판들은 직장, 가정, 육아 등 다양한 이유로 심판 활동을 위한 시간 할애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시간 할애의 어려움은 축구심판의 이탈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덟째, 일부 정책들이 심판 활동을 이어나가는 데 제약이 되었으며, 잘못된 정책은 심판들의 이탈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경험 많은 심판들이 잘못된 정책으로 심판 활동을 이탈하지 않도록 제도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