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4
1. 연구의 배경 14
2. 연구의 목적 17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내용 18
제3절 연구의 흐름 18
제2장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20
제1절 생활권계획과 공원 20
1. 서울 생활권계획 20
2. 공원 24
제2절 접근성과 접근환경 34
1. 접근성 34
2. 접근환경 37
제3절 연구의 차별성 43
제3장 분석의 틀 45
제1절 분석의 대상 및 개요 45
1. 분석 대상 45
2. 분석 개요 47
제2절 분석 방법 50
1. 공원 충분성 인식 50
2. 접근성 분석 51
3. 사분면 분석 56
제4장 지역생활권별 생활권공원의 충분성-접근성 분석 58
제1절 공원 충분성 인식 58
제2절 생활권공원의 접근성 차이 60
1. 공원시설의 접근성 차이 60
2. 하천의 접근성 차이 68
제3절 사분면 분석 결과 76
제4절 소결 82
제5장 결론 84
제1절 연구요약 및 결론 84
제2절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86
참고문헌 88
부록 95
부록 1. 공원 충분성 인식 결과 95
부록 2. 생활권공원(공원시설) 접근성 차이 및 사분면 결과 99
부록 3. 생활권공원(하천) 접근성 차이 및 사분면 결과 103
부록 4. 생활권공원 접근성 차이 및 사분면 결과 107
ABSTRACT 111
[표 2-1] 생활서비스시설 계획수립 항목 및 기준 21
[표 2-2] 생활권계획에서 공원의 분석 대상 21
[표 2-3] 생활서비스시설의 공급-수요에 관한 선행연구 23
[표 2-4] 서울시 공원 분류표 25
[표 2-5] 공원의 질적 서비스에 관한 선행연구 29
[표 2-6] COVID-19로 인한 공원의 변화에 관한 선행연구 32
[표 2-7] 공원 접근성에 관한 선행연구 개념 분류 35
[표 2-8] 선행연구에서 정의하는 공원 접근성 흐름 36
[표 2-9] 공원 접근성 저해요소(시설물)에 관한 선행연구 39
[표 2-10] 경사를 저항요소로 한 접근성에 관한 선행연구 42
[표 3-1] 생활권계획 상 공원의 분석 대상 46
[표 3-2] 본 연구에서의 분석 대상 46
[표 3-3] 활용 데이터 개요 47
[표 4-1] 공원시설(250M)의 접근성 차이 상·하위 5개 지역생활권 62
[표 4-2] 공원시설(500M)의 접근성 차이 상·하위 5개 지역생활권 64
[표 4-3] 공원시설(전체)의 접근성 차이 상·하위 5개 지역생활권 66
[표 4-4] 공원시설 접근성 차이 상·하위 5위 내에 해당하는 지역생활권의 우선 공급시설 선정 현황 67
[표 4-5] 하천(250M)의 접근성 차이 상·하위 5개 지역생활권 70
[표 4-6] 하천(500M)의 접근성 차이 상·하위 5개 지역생활권 72
[표 4-7] 하천(전체)의 접근성 차이 상·하위 5개 지역생활권 73
[표 4-8] 접근성 차이(%)가 양의 값을 갖는 지역생활권 74
[표 4-9] 접근성 차이(%)가 -50% 이상인 지역생활권 74
[표 4-10] 서울 생활권계획에서의 공원 분석 결과 75
[표 4-11] 생활권공원 사분면 분석 결과 78
[그림 1-1] 사회적 변화에 따른 생활반경 내 공원 필요성 증대 15
[그림 1-2] 서울시 지형과 공원 현황 16
[그림 1-3] 지역생활권별 공원 충분성 인식 차이(공급불균형분석-주민의견분석) 17
[그림 1-4] 연구 흐름도 19
[그림 2-1] 서울시 1인당 공원면적 26
[그림 2-2] 서울시 공원 분포(시가지 내·외) 26
[그림 2-3] 서울시 도시공원 현황 27
[그림 2-4] 공원 관련 선행연구 흐름 다이어그램 28
[그림 2-5] 공원 접근성 개념의 흐름 변화 37
[그림 3-1] 분석 흐름도 48
[그림 3-2] 소규모시설에 대한 주민의견분석 결과 50
[그림 3-3] 중규모시설에 대한 주민의견분석 결과 50
[그림 3-4] 버퍼 영역과 경사 가중치 거리를 적용한 서비스 영역 54
[그림 3-5] 공급자-수요자 측면의 접근성 차이(%) 해석 방법 55
[그림 3-6] 사분면 해석 방법 57
[그림 4-1] 지역생활권별 수요자의 공원 충분성 인식 59
[그림 4-2] 이용 반경별 공원시설의 접근성 차이 60
[그림 4-3] 지역생활권별 공원시설(250M)의 접근성 차이(%) 결과 62
[그림 4-4] 지역생활권별 공원시설(500M)의 접근성 차이(%) 결과 64
[그림 4-5] 지역생활권별 공원시설(전체)의 접근성 차이(%) 결과 66
[그림 4-6] 이용 반경별 하천의 접근성 차이 68
[그림 4-7] 지역생활권별 하천(250M)의 접근성 차이(%) 결과 70
[그림 4-8] 지역생활권별 하천(500M)의 접근성 차이(%) 결과 71
[그림 4-9] 지역생활권별 하천(전체)의 접근성 차이(%) 결과 73
[그림 4-10] 지역생활권별 공원시설 사분면 분석 결과 76
[그림 4-11] 지역생활권별 하천 사분면 분석 결과 76
[그림 4-12] 생활권공원의 사분면 분석 결과 그래프 77
[그림 4-13] 생활권공원의 사분면 분석 결과 도면 78
[그림 4-14] 생활권공원의 1사분면 지역생활권 80
[그림 4-15] 1사분면 1-1그룹 80
[그림 4-16] 1사분면 1-2그룹 80
[그림 4-17] 1사분면 1-3그룹 80
[그림 4-18] 1사분면 2-1그룹 80
[그림 4-19] 1사분면 2-2그룹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