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폐업주유소는 2010년 이후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활용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으나 이와 관련한 연구 사례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서울시 폐업주유소의 지역 (중심지 행정구 및 일반권 행정구) 과 용도별 활용 현황에 대한 기본 분석과 그로부터 대도시 지역재생의 계획 요소를 근거로 추출된 유형 및 주제별 질적 사례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기존 문헌 고찰과 해외의 성공사례를 분석을 하였다. 아울러 2013년부터 2022년까지 10년간 서울시에서 폐업하고 다른 용도로 사용 중인 132개 폐업주유소에 대하여 과거에는 없었던 신규 모델, 지역의 상징성 등을 고려하여 공익적 사용 5개, 적응형 재사용 3개, 정량적 성과 우수 3개, 민. 관 협력 5개 사례의 총 16개 사례를 추출하였다. 각 사례로 부터 현장 조사와 이슈별 관련인 개별 인터뷰 내용을 질적 분석 코딩하여 결론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지역재생의 연구 질문은 (1) 사용자를 위한 공공성과 지속가능성, (2) 소유자를 위한 기존 건물 보존 차원의 적응형 재사용, (3) 정량적 성과가 정성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4) 바람직한 민관 협력의 방향의 네 가지이며 각 테마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사용자를 위한 공공성과 지속가능성
효율적으로 공공성을 가지고 지속 가능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공의 일관된 정책 아래 문화재와 같은 지역 가치자산과 연계된 용도로 폐업주유소를 활용하면 사용자 만족도가 높았다. 아울러 인수 및 활용과정에서의 지역주민의 의견제시 및 참여는 지역 활성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2) 소유자를 위한 기존 건물 보존 차원의 적응형 재사용
적응형 재사용 사례는 서울의 중심지 또는 상업지역에서는 찾기 어려웠으나, 근린 지역 특히 자동차전용도로 폐업주유소 재사용은 자동차 관련 업종의 용도로 좋은 방안이었다. 업종 및 고객 특성을 정확히 분석하여 재사용한다면 경제적 만족도가 높은 사례였다.
(3) 정량적 성과가 정성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구 유입, 상가 분양, 차별화 용도의 비즈니스 모델 등 폐업주유소 활용의 정량적 성과가 정성적 성과에 단기간의 직접적 관련은 없었다. 지역주민이 만족하는 지역 활성화의 정성적 성과 도달까지는 장기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우선 도로변 상가의 조기 개업이 필요하다.
(4) 바람직한 민관 협력의 방향
민관 협력, 민간 참여는 폐업주유소 재활용의 중요 재생 정책이다. 이를 성공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일관된 정책 아래 지역적 갈등 해소가 필요하였다. 아울러 기부채납으로 쉽게 확보된 공간에 대해서는 지역에 적합한 용도 활용뿐 아니라 치밀한 관리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아울러 협력 주체 간 필요한 토지 교환은 상호 혜택이 되는 좋은 방안이라고 생각된다.